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4-24 21:32
[질문] 국내 개발 위그선의 경우 고도 150m 유지가능 시간이?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3,059  



 고도 유지  지속가능 시간   정보가 없군요?

 예를 들면,   150m 높이로  10분 운항 가능한지요??
 속도는 시속 200 ~    500 km  까지 거론되더군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레드빈 21-04-24 21:46
   
150미터 높이로 비행하면 그건 비행정입니다 위그선은 지면효과를 받기위해 고도를 해수면과 아주 가깝게 유지합니다
     
조지아나 21-04-24 21:47
   
아뇨,  해당 링크들어가 보시면,  언급되는것이  150m 높이까지  고도조절 가능토록  개발 상용화 되어서 ,  해경에서 도입해서  사용할것이라고  거론되는군요.

유툽 국내 위그선 개발 관련  영상 모두,  고도조절 가능성만 언급할뿐,  고도유지 지속 가능시간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군사 비밀인가요??
소투킹 21-04-24 22:04
   
큰 파도 칠때나... 잠깐  위로 올라갈 필요 있을 때만  잠깐 올라가면 되죠.

어차피  이동거리 대비.. 연료 아낄려면  자공 비행이 유리.
     
조지아나 21-04-24 22:09
   
남중국해의 경우    크고 작은 섬들이 많더군요.
  고도 유지 지속가능 시간이 길면...    다소 큰섬도 뛰어넘을수 있기에 군사전략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예를 들면, 위그선이 거제도를 뛰어 넘을수 있을까??
          
소투킹 21-04-24 22:11
   
속도 반동 받아서... 잠깐 위로 뜰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하는...

양력 높힐려면.. 프로펠러  더 많이 돌려야 하는데....
그럼 에너지 소모가...
               
조지아나 21-04-24 22:17
   
남중국해와 인도양은  바로 인접해 있는데...    길게 내리뻗은  좁은대륙의  태국과 말레이시아로 인해    인도양과 남중국해가  나뉘어 져있지요.

 폭이좁은 지역에서  인도양에서 뛰어서 (태국~말레이시아 반도  횡단) 남중국해로  바로 넘어갈수 없는가?  생각해 보게되더군요.
  배로 가면,  한참 돌아가야 하는데.... ?
                    
와우73 21-04-24 23:52
   
그래서 비행기라는 물건이 있지요.
조지아나 21-04-24 22:22
   
위그선에  추가하여  육상항공기 쓰는  발통만  달면,  육상에서도 이,착륙 가능한것 아닌가요??
Coollord 21-04-24 22:28
   
위그선이 150미터 이상 상공으로 오르게 개발된 이유는 섬이나 그런것 때문이 아니라,

해양에서 만나는 거대한 선박들 때문입니다.

빠른 속도에 선회반경도 넓어서 갑작스럽게 맞닥들인 거대 컨태이너 선 같은 장애물을 뛰어넘어 회피기동하기 위해서이기 때문에, 굳이 오랫동안 날아오를 필요성은 없습니다.
     
조지아나 21-04-24 22:35
   
그렇게 되면 날씨변화에 따라서  파도가 높으면  운행이 제한될수 있는것 아닌가요??
          
괴개 21-04-24 22:50
   
풍랑치는데 위그선 쓴다는건 자.살하겠다는겁니다
애초에 상용화 안된 이유가 너무나 명확해요
          
와우73 21-04-24 22:58
   
당연히 제한받지요.

지면효과를 이용해서 추가 양력의 도움을 받아야 날수있는 방식이라 악천후등  기상상황이 나쁘면 이륙이 안되요. 악천후를 이겨낼 정도의 양력을 발생시킬 능력은 애시당초  없다는. ..  또한 파도가 조금만 쳐도 구조적으로 파랑을 이겨낼 구조적  강성이 부족해요. 착륙하다가 두동강나기 십상이에요 . 그렇다고 견고하게 만들자면 더 무거워지는 딜레마. 덩치가 커지면 더 취약해져요. 결국 경제성 안 따지는 무기라면 모를까 다른 나라들이 관심없는 이유가 있는겁니다.  잔잔한 내해에서 기상상황 좋을때만 운항가능한겁니다.
도나201 21-04-24 22:58
   
원래 법제상  50미터 이하만이 선박으로 인정했는데....
이번 법제화를 겨우 국회 통과 승인되어서 이 법이 150미터이하로 선박을 인정하게 되어서
법제상 선박으로 인정받게 되었죠.

위그선이 시험운항을 할때 이부분을 엄청나게 요구했고 그에 대한 한계성을 엄청나게 이야기햇죠.

결국 안전운항고도가 150미터로 정한것이 바로 파고때문이라는 소리가 높습니다.
태풍에의한 파고가 30미터가 훌쩍넘는경우가 많아서
(15미터 대형파고 상하 출렁이면  30미터가 넘는경우가 태반이라고 합니다. )

결국 상승고도에 제한을 풀어야 하기에....결국 안정성때문에 150미터 로 잡는 것이라고 합니다.

가끔 이야기할때........잠깐 오르는게 아니고,  원체 떠있는 비행하는 상황이라서
150미터상공에서 운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파고가 3미터 이상일때 가장 위험하다고 하는데.
파고가 일정하게 온다면 그리 큰위험은 아닌데.
원체 파도가 사방팔방에서 치기 때문에 
이에 의한 와류가 생겨버려서 기체가 뒤집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러시아에서 위그선은 크기를 키위서 파도를 누느려는 사상으로 접근했다면.
우리나라는 위그선의 기체를 가벼이해서 고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접근.
이게 가장 큰차이라고 합니다.

거기에 그래도 위그선의 가장 큰약점이 바로 방향전환이 고속일때 가장 어려운데.
해상에서 선박을 피하는 경우가 힘들다고 합니다.

거기다 해상 대형선박의 형체특성상 길이가 커서 순간적인 방향성으로 회피기동하는게 아닌 상황인지라,
바로 넘어버리는 방식으로 대형선박의 높이와 비례해서 안정성을 확보하게 됩니다.

거제도......육상비행을 이야기 하지만 웬만하면 육상비행하려면
이게 또 법상으로 불법이라서
정확한 내용은 알수가 없지만,  현재로서는 육상비행은  나무상공위에.. 걸치기도 해서.
상당히 위험할듯 보입니다.

마치...인도네시아의 fa50 추락사고처럼말이죠.
     
와우73 21-04-24 23:07
   
위그선을 소형으로 할것 같으면 그냥 수상비행기를 뛰우고 말지요.
위그선은 배보다 빠른 속도, 비행기보다 많은 운송량이라는 장점이 있어야지요.

경제적인 비행이 되려면 아주 높게 날거나, 아주 낮게 날거나 인데, 아주 낮게 나는게 위험한 해역이라서 150m로 난다면 경제성이 있을까 싶습니다.

비행기보다 느리고, 비행기와 비슷한 적재량이면 비행기 써야합니다.
          
밀덕달봉 21-04-25 00:09
   
지금도 운항비가 10분의 1 값임. 비행체 가격도 소형헬기 10분의 1값이고 그래도 수십억대지만....
150m난다는건 기상악화 시에 안정성이 그정도 된다고 홍보하는 역할파고가 높을때 그거 타고 넘어오는 대형선박이랑 부딪치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안정장치일뿐 비상 시에 그렇게 할 수 있다는거지 .
평시에도 그렇게 다닌다는게 아님.
울릉도 같은 곳 배멀미 시간 때문에 못가는 사람들 많은데 한시간 반안에 배멀미 없이 바다 구경하면서 비행할 수 잇다면 운항비도 비행기 값의 두배정도 일겁니다.
10만원대 애기하던데...... 충분히 경쟁력 있죠.
배대절해서 낚시 가본 분들은 공감할 겁니다.
흑산도나 어디 낚시 포인트 갈때도 위그선으로 인당 10만원 받아도 많은 분들 줄 설겁니다.
     
조지아나 21-04-24 23:16
   
몰랐던 내용  좋은정보 감사 드립니다.~  ^^

    선박법에  정한 기준에  맞춰서  군사적 목적  위그기를 개발해야 한다? 
  이건  개발범위를  제한 시키는 독소 조항 아닐까? 생각해 보게됩니다.
 
군사적 측면에서  선박이냐? 항공기냐?  분류 보다는 _ 유용성이 얼마나 있을까?  그점을 더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장시간( 얼마나 ?)  150m 상공  지속 운행가능하다면...  큰 메리트로 보입니다.
 단  날씨 변화에 따라,파도 영향이 얼마나 미칠지? 그점이 궁금하기도 합니다.
          
밀덕달봉 21-04-25 00:13
   
1. 구조용으로 헬기 대비 싼가격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2. 북한 고속 공기부양정에 비싼 공격헬기 안쓰고 이놈을 써도 된다.
3. 도서지방에 빠른 병력 투입과 보급이 가능하다.
4. 일본과의 대립시에 독도 대마도 오키섬 등등 최전방 도서지역에 해병대및 특수전 병력을 빠르게 투입가능하다.
5. 저공침투가 가능해서 왠만한 함정도 근처 지나가도 20km 안짝이 아님 발견이 불가능하다.
대잠기로 볼 수 도 있지만 어차피 전면 시엔 전자전 (우리 함정 소나타 시스템 같은) 상황과 공군기가 뜨면 대놓고 장기간 보기 힘들고 해상 클러스터와 전자전 상황이 겹치면 장시간 추적이 불가능 하다.
새끼사자 21-04-24 23:08
   
제가 알기로도 150미터로 순항은 가능하다고 알고 있어요. 대신 효율이 매우 많이 떨어지는 상황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
보통 지면효과는 10미터부터 사라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우리나라 위그선 스펙을 보면 순항고도 5미터로 되어 있고 씨스테이터스 레벨 3또는 4까지를 스펙으로 해 놓았더라구요.
근데 이 조건은 아무래도 효율때문인 듯 합니다. 그 이상에서는 안하는건 효율이 떨어지니까 ...그런 듯 하다는 생각도 하고요.

또는 개인적으로 sea status 3이나 4 제한은 비행보다는 활주하는 동안의 안전성때문일 거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보통 여객선의 경우도 3미터 정도 되면 출항 연기하는 경우가 있는데..그게 Sea status 5 정도 그거에 비하면 운항 조건은 조금 떨어지긴 하네요. 아무래도 작아서 그런 듯
     
조지아나 21-04-24 23:20
   
sea staus  3 or  4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sea staus 5가 파도 높이 3m 이면...??    sea status 3, 4 는 파도 높이 몇 m?
          
새끼사자 21-04-24 23:44
   
0 0 metres (0 ft) Calm (glassy)
1 0 to 0.1 metres (0.00 to 0.33 ft) Calm (rippled)
2 0.1 to 0.5 metres (3.9 in to 1 ft 7.7 in) Smooth (wavelets)
3 0.5 to 1.25 metres (1 ft 8 in to 4 ft 1 in) Slight
4 1.25 to 2.5 metres (4 ft 1 in to 8 ft 2 in) Moderate
5 2.5 to 4 metres (8 ft 2 in to 13 ft 1 in) Rough
6 4 to 6 metres (13 to 20 ft) Very rough
7 6 to 9 metres (20 to 30 ft) High
8 9 to 14 metres (30 to 46 ft) Very high
9 Over 14 metres (46 ft) Phenomenal
싸만코홀릭 21-04-24 23:21
   
아놔 위그선... 저늠의 사업 무진장 오래되었는데 자금쪽 사기꾼들 엄청 달라붙어 있어요. 제가 아는 사기꾼 놈도 저기 한참 매달려서 돈 빼먹던데...에혀... 저걸 뭐하러 해. 그냥 드론이나 개발하지
바람노래방 21-04-24 23:34
   
연료가 허용 하는 한도 아닐까요?
고도를 높이면 당연히 연료소비량도 늘어 날 것이고
다잇글힘 21-04-25 00:29
   
굉장히 간단한 문제를 어렵게 생각하시네요.

위그선의 비행원리는 일반적인 항공기와 거의 같습니다. 단지 지면효과를 받을 수 있는 고도에서 난다는 차이밖에 없어요. 유지시간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습니다. 연료효율차이를 말씀하시는거면 모를까

지면효과라는게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그냥 윙팁와류로 인해 날개아래쪽의 압력이 커져서 양력을 늘려주는 것입니다. 문제는 이 윙팁와류는 항력을 키우는 요소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행고도로 고도를 높이게되면 양항비를 줄이는 효과로 나타납니다. 즉 비행효율을 떨어뜨리죠. 하지만 지면효과를 받는 고도에서는 이게 반대로 양항비를 늘려줍니다.

따라서 그냥 비행하면 됩니다. 비행기가 하늘위보다는 해면위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날도록 설계된것에 불과합니다. 주운항고도만 낮춘 비행기일뿐입니다.

ps: 참고로 원리는 좀 잘못되게 설명했네요. 윙와류감소로 인한 하방기류감소 공기가 몰리면서 생기는 날개밑 압력증가가 보다 정확한 설명입니다.
동키11111 21-04-25 00:40
   
위그선과 항공기는 출발이 다릅니다. 위그선은 수면위 표면효과로 떠있는 것이므로 파도에 굉장히 취약합니다. 그래서 위그선의 초기 개발시 호수나 내해에서 운용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그러다보니 항공기에 비해 작은 출력으로 많은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만든 배인데 필요에 따라 150m까지 상승할수 있다는 거지 150m에서 순항한다는건 아닙니다.
이건 연료의 문제가 아니라 설계의 문제입니다.
150m에서 순항하려면 비행기의 설계를 해야합니다.

그리고 위그선이 상업운항을 안하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했듯이 파고가 높으면 운행을 못하는데 처음 나왔던 항로가 울릉도 항로였습니다.

내해나 호수에서 쓰려는 개념으로 만든 위그선을 높은 풍랑의 동해에서 쓰려니 문제되는 거지묘.
배신자 21-04-25 04:00
   
위그선 사기 조심해야 합니다.

위그선을 해경에서 운용한다고요?


중형 위그선은 4급 항해사 또는 4급 운항사 자격 + 원양선박직원 2년 또는 연안선박직원 3년 경력
+ 고정익 또는 회전익 항공기 조종사로서 500시간 비행한 경력

소형 위그선은 5급 항해사 자격 + 원양선박직원 1년 또는 연안선박직원 2년 경력
+ 고정익 또는 회전익 항공기 조종사로서 500시간 비행한 경력

이런 자격이 되어야 겨우겨우 위그선 조종사 "자격시험"을 치를 수 있음

즉, 조종사 자격증 얻기가 너무 까다롭습니다.
해경에서 저런 조종사 키우면서 위그선 운용할 수 있을까유?

상업적인 운용을 한다고 해도 조종사 구하기가 쉽지 않을 예정임.
저정도 자격과 조건이면 도대체 연봉을 얼마나 줘야 할지도 모르겠고
고액 연봉을 주면서 소형 위그선을 운영하면서 이익을 낼 수 있을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