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7-20 23:44
[잡담] 진짜 핵융합이 상용화되면
 글쓴이 : qweqwe
조회 : 4,498  

레일건부터 시작해서 세상이 뒤집어 지겟죠 ㅠㅠ
모 다큐에서 레일건이 제대로 배치되면 미사일시대의  종말이 올꺼라던대 죽기전에 볼수 있을라나 모르겟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여시 14-07-21 00:03
   
아무리 레일건이 실용화되도 유도기능이 없기때문에 유도무기의 효용은 유지될겁니다.
더군다나 레일건은 장애물뒷편의 목표를 공격할수 없죠

그리고 전 직사(?)무기는 결국 레이저 무기로 갈걸로 봅니다.
     
에더리얼 14-07-21 01:44
   
레일건이 사실 직사무기는 아닌데요...
애초에 미군에서 레일건 무기를 개발할때 GPS연동되는 발사체를 이용할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고 있기때문에
곡사로 발사가 됨과 동시에 자체적인 탄도수정으로 160km 떨어진 곳에 있는 목표에 크루즈미사일정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타격하는 능력을 가질 예정입니다
(2016년 배치예정인 레일건 기준입니다. 아마 차기나 차차기 레일건은 더욱 사정거리나 파괴력, 탄도 수정능력이 늘어나겠죠)

물론 장애물 뒷편의 목표를 공격하기 위해선 순항미사일같은 자체 운동성능이 뛰어난 발사체가 필요하겠죠.
하지만 왠만한 직사나 곡사무기는 레일건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것이 분명합니다.
     
다른의견 14-07-21 10:56
   
엑스칼리버 라고 검색해 보세요...

스마트포탄이라고..  포탄에 GPS 를 다는 시대입니다.  저거 상용화되기 전에 더 강력하게 발전하겠죠.
          
갈나개비 14-07-21 11:19
   
1.레일건 속도를 볼 때 포탄 내부에 장착된 장비가 무사할지?
2.레일건 발사 형태를 볼 때 전자장비가 내장이 가능한지?
3.레일건의 발사체 속도로 볼 때 유도탄수준의 변침, 급격한 고도상승은
  불가능 하다고 보는데요.
               
현시창 14-07-21 13:10
   
1. 마하 10까지 가속되는 전술탄도탄 이스칸더의 내부 장비 멀쩡히 잘 작동합니다. 물론 레일건의 가속도를 생각하면 이보단 더 튼튼해야되겠지만. 현재 ICBM에 적용되는 기술이 이미 이 수준을 달성했기 때문에 충분히 근미래에 적용가능합니다.

2. 내장 가능합니다. 사실 2번의 경우 1번보다도 기술적 난이도가 떨어집니다.

3. 현재개발된 레일건의 최대비행속도는 마하7수준인데, 사실 마하 20수준에서도 회피기동을 하는 탄도탄의 예를 보면 오히려 레일건쪽이 더 적용하기 쉬워보입니다. 물론 탄도운동을 하는 물건이니, 급격한 고도상승이나 방위각 변이는 불가능하죠. 그런데 이만치 빠른 속도면 유도탄같은 복잡한 회피기동이나 경로점 비행을 통한 회피행위따위 할 필요가 없지 싶은데요...
                    
오디네스 14-07-21 19:58
   
2번에서.. 레일건을 쏠때 엄청난 자기장을 통과하게 되는데 탄두자체도 엄청난 자성을 지닌 자석이 됩니다. 그럼 탄투안에도 전자기유도로 인한 고전압이 걸릴태고..
그안에서 전자회로가 견딜수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네요
핵EMP방호기능이 개발되고 그걸 작은 탄두안에 집어넣을수 있을때까진 힘들겠죠
근데 그렇게되면 탄두가 엄청 비싸질테고... 결국 불가능하게 될듯
                         
딥블루 14-07-22 12:08
   
전자기 차폐현상에 대해서 공부하고 옵시다. 공부하면 남주는 거 아니니까 공부하세요.

그리고 포탄은 발사되기 전에 포심자체는 이탈피 안에 들어가있는 상태로 결합된 상황이고
포탄 발사후 포구 밖 일정거리에서 이탈피가 분리되고 포심만 날라가는 겁니다.
mago 14-07-21 00:46
   
그런 부정적인 면만 보지 마시구요. 일단 전기 펑펑 쓸수 있습니다. 발전소에 화석에너지 쏟아부울 필요 없겠죠? 환경파괴 줄어들겠네요. 그렇지만 핵융합 상용화보다는 차라리 태양열 에너지 활성화가 더 쉬워보이네요.
이공학 14-07-21 02:21
   
반동을 고려한다면 아무리 생각해도 레일건은 선박이나 고정포로밖에 운영을 못할것같은데, 핵융합발전은 적어도 우리 죽을때까지는 선박의 동력원으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고정포로 사용한다면 전황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테구요.
고로 핵융합이 상용화 된다 하더라도 별다른 변화는 없을거에요.
차라리 배터리 기술이 월등히 발전한다면, 그게 더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겁니다.

 (상용화 핵융합 설비에서의 플라즈마는 3억도를 목표로 하는데, 이 3억도의 플라즈마는 담아놓을수 있는 그릇(용기)이 없기에 자기장으로 밀폐용기 안에 띄워놓습니다. 그런데 마구잡이로 흔들리는 군용선박안에 동력원으로 핵융합설비를 설치해놓고 그 안의 플라즈마를 정교하게 컨트롤해서 용기와 접촉하지 않게 한다는건 기술적으로도 어렵거니와 위험부담도 너무 커보이네요. 당장 피탄이라도 되면 예측 불가능하게 엄청나게 흔들릴텐데, 단 한순간이라도 플라즈마가 용기에 닿는다면 용기는 당장 녹아버릴테고 발전설비는 동작을 멈출테니, 그순간 선박은 동력원을 잃게 되겠죠.
당장 원자력발전소를 대체할 핵융합장치의 상용화가 2050년경에 이루어지는게 현재 목표인데, 상용화에 성공한다고 해도 이걸 선박용으로 소형화시키는데 적어도 수십년은 걸릴겁니다.
따라서 우리 죽을때까지는 볼 일 없습니다.)
     
이공학 14-07-21 02:45
   
아참... 배터리가 비약적으로 발전한다면 레일건을 소형화시켜서 전차포로 쓸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핵융합과는 상관이 없겠지만요...
          
나가라쟈 14-07-21 08:51
   
아래 전함얘기들이 나와서 그러는데...고출력,고에너지 무기들이 개발 배치된다면 무대에서 내려온 전함 클래스들이 다시 컴백하는 계기가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갈나개비 14-07-21 11:22
   
배터리 성능이 발전해도 레일건의 순간출력을 감당할 배터리가 있을지 의문이군요.
     
술담배여자 14-07-22 10:33
   
에?상용화가 목표였나요? 상용화가 가능한지아닌지가 그때쯤 판가름이난다는거아니었나요?
SRK1059 14-07-21 03:23
   
핵융합이 상용화 된다면
지구상의 많은 갈등이 사라지게 될 것이고
따라서 많은 무기들도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지구상에서 벌어지는 갈등의 상당 부분이 에너지 문제에 기인한 것들인데
핵융합이 상용화 된다면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되고
동시에 환경 오염 문제까지 해결되므로
지구상에서 벌어지는 갈등의 상당 부분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됩니다.

그 때가 되면 레일건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될지도 모르지요.
     
일경 14-07-21 07:17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 하더라도 지구상 국가간 갈등은 여전할거 같습니다.

이유는 에너지던 다른 요인이던.. 갈등이 생기는 원천적인 요인은.. 바로 인간의 이기심이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화석 에너지가 부족해도 다른 방법으로 해결 방법이 없는것도 아니며 미국이니나 영국, 프랑스, 러시아 처럼 주로 천연 자원을 노리고 전쟁을 일으키는 국가들 대부분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선진국들입니다.

최소한 이들 국가는 지구상 20위권 안에드는 잘사는 국가임에도 더 못사는 국가들을 상대로 에너지 전쟁을 벌이죠.

이유는 하나 입니다. 더 많은 돈을 갖고 싶어서요.

미래 에너지 문제가 해결되는 다른 방안이 나온다하여도.. 이들 국가들은 에너지 외 다른분야

지하자원이나 기술, 영토, 경제 등의 다른 이유로 전쟁을 계속 할게 뻔합니다.

에너지 문제 해결이 갈등을 줄일거 같지만.. 아마 거의 영향을 주지 못 할 겁니다.

이유는 핵융합이 가능해지면.. 어떤 나라가 처음 성공을 하던 상위 선진국들이 핵융합을 모두 설비 하는데는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모두 평등해지는데... 강대국들은 그걸 원하지 않죠. 항상 남보다 더 많이 갖거나 더 위에 있어야 하기때문에 다른 이유를 만들게 뻔합니다.

부자가 가난한 사람을 계속해서 갈취하듯 그 욕심을 버리지 않는한 표면적 명분만 바뀔뿐 똑같을 겁니다.
깜쯱이 14-07-21 10:26
   
레일건에서 중요한건 빳떼리, 캐패시터 입니다.

바다에서 바가지로 물 퍼올리나
호수에서 바가지로 물 퍼올리나 같은 격이죠 ㅋ
적어도 드럼통으로 퍼야 레일건 쏩니다.

핵융합도 어차피 물끓여서 증기터빈돌려서 발전기 돌리는거라서리...
원자로도 마찬가지...
선박용 디젤발전기 충만히 돌리면 레일건 충분히 쏩니다.
어차피 다 같습니다.
샤랄라야 14-07-21 11:18
   
전기의 발생원이 화석발전에서 핵융합 에너지로 변환 될 뿐 사용되는 기기들의 자원들은 여전히 광물자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희토류가 대표적이죠. 물론 이에 대한 대체 자원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당장에는 여전히 자원의존이 불가피 하겠죠...선박이나 탱크, 전투기의 연료는 여전히 배터리나 핵융합이 아닌 석유자원에 의존해야 하니까요(우리가 죽기전까진 그럴거 같습니다.) 1000가지 갈등요인중에 1가지가 줄어드는 것일 뿐 여전히 지구상에는 분쟁이 사라지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식쿤 14-07-21 11:55
   
레일건이 상용화 된다면 전 가장 먼저 대공요격용 지상포대로 사용처가 생길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이런생각 하시는분이 없네요.
미국이 MD에 솓아붇는 돈 생각해보면 레일건 방공망 시스템이 상당히 매력적일것 같은데 말이죠.
     
mago 14-07-21 12:41
   
레일건을 재래식무기로 생각한다면 이제 겨우 화승총을 만드는 수준인데 레일건을 방공무기로 쓰려면 최소한 기관총 만드는 수준까진 끌어올려야 되지 않겠어요? 너무 먼 미래일듯 한데요.
          
팬더롤링어… 14-07-21 13:17
   
라이트 형제가 최초로 비행시작해서 최초의 제트기가 완성되기까지 40년이 안걸렸습니다..현대 무기의 발전속도는 무시무시할 정도죠...
술담배여자 14-07-22 10:36
   
지금이야 멀고 어려워보이지만..........생각보다 빨라질지도모르죠
밀게에서할말은 아니지만 레일건같은건 제쳐두고 핵융합!!!  이건정말 저죽기전에나왔으면좋겠네요
방사능 이 빌어먹을것땜에.......사실 일본 원전사태이후로 지금까지 생선까스랑 짬뽕빼고는
해산물을 안먹고있습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