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5-15 17:21
[잡담] [영상] 시속 130km 무인드론 세계 챔피언 13살 한국인 소년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2,187  

이 소년의 성인이 되었을때 향후 미래가 궁금 합니다. 
10년후에는,  KF21이 상용화 되어  창공을 함께 누빌   무인기  가오리 X  운영 되겠지요.

   저 연령 중심으로  "공군 참모총장배"  무인 드론 대회도  신설되었으면.... ㅋ 
   한국의 청소년들이  가상 현실 게임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이지요.
   이를  1인칭 시점 고글영상을 통한  무인 드론에 접목하면 ( 게임, 현실 모두 적용가능 사례), 
  무인 드론 저변 급속히 확산되어,  향후 국방분야  무인기  인력 조기 양성(개발과 조종)과   발전에 크게 기여할듯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최초 드론 경연 대회 - 프리스타일 부분  1위  
부친이 RC 헬리곱터 취미    3살때 부터  RC 헬리콥터  
드론 접한지  2달만에  - 세계대회 우승  상금 6천만원 


(118) 시속 130km를 조종하는 K-초딩의 동체시력! 드론 세계챔피언 김민찬┃World's Best Drone Racer, Kim MinChan! - YouTube



조회수 376,045회 
2022. 5. 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zaku 22-05-15 18:14
   
와 대단하네요

역시 조기교육이 중요한건가?
     
조지아나 22-05-15 18:59
   
부친의 영향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자연스럽게 관심과 흥미를 갖게된  환경 제공이  배경 아닐까?  생각 해 봅니다.

한국이 가상현실의 게이머들의 강국이라고 하지요. 그에 따른 게임 중독의 폐단도 뿐만 아니라,
단점으로는,  현실적으로 실생활에 적용할수 있는 분야가 많지 않습니다. 대다수 단순 오락에 끝나게 되지요.
 
그런나,  장기적 직업군으로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한분야로 ,
청소년들의 정신건강과 더불어,  1인칭 시점의  고글을 통한 가상시뮬레인션,  현실 적용 모두 가능한  형태로,  관심과 흥미를 끌수 있는것은  무인 드론이라고 생각해 봅니다.
 향후 개발될  무인 전차도 포함 할수 있겠군요.

 
국방분야, 소방분야, 농업분야 등 적용 폭이 넓다고 생각해 봅니다.
     
조지아나 22-05-15 22:06
   
최근에  드론 레이싱 1등한줄 알았는데.. 6년전 이야기 였군요.  죄송합니다.
동영상 게시날짜만 보고,  최근내용인줄 알았네요.
노세노세 22-05-15 19:07
   
아주 어릴 때 부터 RC모형 했네요...헬기를 자유자제로 다루네;;
나도 RC헬기 했는데...땅에 여러번 꼴아 박았는데;; 한 일년 반 정도 하다가 1500만원 정도 꼴아 박고 안했는데;;
재능이 없어서 돈이 너무 들어서;;
     
조지아나 22-05-15 19:11
   
ㅋㅋㅋㅋ 무인 드론 하세요 ^^  ,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것 같은데요 ??
 전시에는    무인드론 조종수로 차출 되실수도 ? ㅋ
빅터리 22-05-15 19:28
   
공군이 아니라 육군이 모집 해야죠
     
조지아나 22-05-15 19:38
   
그런가요  ??  군 기능적 편제를 잘몰라서 ..
 일반적인 소형 드론의 경우는 육군보병에 해당 되겠군요
사용빈도를 고려하면 육군이 맞는것 같은데,  기체 특성을 고려하면  공군에서 주관하는것이 맞아 보이기도 하군요.

 KFX  항공기에 같이 운영할  무인기 가오리 X,
  한국형 LH  헬기에  자폭 드론도  단다고 거론되던데??  공군아닌가요? 
 전차에 드론 추가  내용은  육군에 해당되겠군요. 

 공군, 육군, 해군 모두 적용 가능한 분야 라서 ....
     
도나201 22-05-15 20:30
   
그건 아니라서.... 육해공 각자  데려가려고 난리 일겁니다.

저정도능력이면  ai 가 필요없을 정도이기에...
거기에 . ..  아마도 군에 가지 않을 가능성이 더높을 겁니다.

아마도 무인기 테스트파일럿으로 해서 각종 ai 지표에 기준되는 테스트비행을 시행할수 잇는 인원이 극히 드물어서 .... 아마도 .. 그쪽으로 데려갈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여집니다.
          
조지아나 22-05-15 20:33
   
오  테스트 파일럿.!    한국형 무인기, 드론 개발시 테스트 목적으로  차출할수도..    저도 방금 그 생각 했는데요.
조지아나 22-05-15 20:32
   
KAI에서  홍보 측면에서 국제 경기 빈도를 고려하면  스폰서로 참여, 팀을 만들어도  될듯~
RC 헬리콥터를  3살이후 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익혔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밀덕달봉 22-05-16 07:07
   
이 분야도 애매한게 조종사들의 정신적인 피로도와 PTSD가 심해서 근미래에 AI와 유인조종사들과의 어시턴스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서 모르겠네요.
드론 조종사들이 워낙 실제 전쟁에 대한 팔다리 잘린 시체들과 죄책감에 자 살하거나 관두는 경우가 워낙 많아서 군인으로써 드론 조종사 직업이 좋을지는 저라면 추천 하고 싶지 않네요.
용접만8년 22-05-16 23:16
   
Rc헬기나 드론 미세 컨트롤이나 고난위도 비행하는사람들보면 정말 놀랍습니다.. 그 기체의 한계치 파악한후에 계속 몰아치는거보면...

한국사람들 손기술하나만큼은 정말 세계 탑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