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2-09 12:11
[질문] kfx에 들어가는 aesa 레이더 소자는 GaN 소재로 만든것인가요?
 글쓴이 : 피닉
조회 : 3,464  

혹시 아시는 분?
소자당 200w급 출력이라던데..진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렙터에 들어가는r게 소자당 4w 인가 8w 인가 했던것으로 기억나는데...
확실히 si 소재보다 GaN소자가 열효율이 좋은가 보네요...
 
kfx에 들어가는 데이트 링크는 어떻게 구성이 되는지도 궁금해요... 수행속도도 궁금하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달의왕 17-02-09 12:35
   
etri 에서 GaN 소자로 개발 했다고
기본적인 하드웨어 샘플은 이미 공개 했는데 문제는 소프트웨어와 통합이라  갈길이 너무나 멀어서

현재 이스라엘 엘타사와 협력하여 진행 중
첫 kfx 탑제 시제품 목표는 2020년경으로 잡고 있긴 합니다만
자주한반도 17-02-09 12:48
   
aesa 레이더는 이스라엘 제품이 들어가는 데, 부품 국산율은 어느정도 되는 지 공개가 안돼있습니다.
한국 자체적으로 sw통합이 어려운 걸로 결론이 났다고합니다.

국산 aesa레이더도 개발이 되는 데, block2 부터 투입이 되는 지, 수출 품목부터 투입이 되는 지는 잘 모르겠네요.

block1 부터 내부무장창이 들어가고, 길이도 16m-17m사이로 결정이 된다고합니다.(확정은 아니고요)
몽골메리 17-02-09 15:00
   
AESA 레이더는 이스라엘 엘타사를 해외기술협력업체로 선정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2006년 "레이더용 반도체 송수신기술"이라는 연구과제를, 2010년부터 "항공기 탑재 능동형배열 레이더기술"과제를 통해 국산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한국 자체적으로 sw통합이 어려운 걸로 결론이 났다고합니다."는 AESA레이더 자체의 개발과, 이를 항공기에 통합하는기술을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에 해당하는데다, 이 소프트웨어 통합기술은 미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이 불가하여 독자 개발 및 기타국가와 기술협력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소자기술은 ETRI가 담당하고 있으나, 전력밀도의 문제로 현재는 미국산을 수입하고있는 실정이며 이는 이정도의 전력밀도를 가진 소자를 만드는 업체가 미국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로 대부분의 서방레이더가 비슷한 실정이라고 합니다. 당근 국산화 예정입니다.
공대공모드는 2019년까지, 공대지모드는 2021까지 개발한다는데, 시제품은 2020년 하반기에 나올 예정이랍니다.(개발 완료전 시제품?)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bbs_id=BBSMSTR_000000000138&ntt_writ_date=20160811&parent_no=72

2021년부터 시제기(block 0)에 탑재하여 2026년까지 개발 완료한답니다.
축구사랑인 17-02-09 18:45
   
소자당 200w 나온다는건 이론적으로 가능한 수치이고,
현재 aesa레이더들은 보통 소자당 10w정도 출력이 나오죠.
우린 block1,2는 30w짜리 개발한걸 쓸 계획이고, 2019년까지 50w소자 개발 완료 예정으로 연구중입니다.  block3에 50w가 들어갈걸로 판단됩니다.
F-35가 50w소자가 쓰여지지 않나 여겨집니다.

기존 aesa레이더 개발국들은 출력이 낮아서 소자가 많아도 효율이 좋지 않아 업그레이드 할 계획을 갖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죠. 우리가 일본 f2 전투기 레이더를 대단히 무서운 aesa레이더로 여기는데 f2도 효율이 안좋아서 사거리100km밖에 안나와요. 그게 aesa라는게 기존 레이더랑 차이 나는거고 그걸 업그레이드 할려고 하는거죠. 일본은 심신 전투기레이더를 소자당 200w로 할려고 열심히 개념 연구하고 있죠. 우리도
50w끝나면 차근 차근 올리겠죠. 아마 kfx 전체 업글할땐 소자가 100w이상것을 적용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