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11-26 08:36
[잡담] 자폭무인기와 순항미사일
 글쓴이 : ㅣㅏㅏ
조회 : 1,884  


생각해보면. 순항미사일이 자폭무인기 아닌가요?
별도로 자폭무인기라는 말이 필요한 이유가 있는건지...
순항미사일과 뭐가 달라서 따로 자폭무인기라는 용어가 필요한지 모르겠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모래니 16-11-26 08:59
   
글쎄요, 무인기는 목표 지정없이 체공하고 있다가..
수상한 차량(지역)에 때려박는 식으로 운용될 여지가 있어서일까요?
오순이 16-11-26 09:08
   
군사 용어가 아니지 않나요?
체공하고 있다가 자폭할 생각이면
그냥 프레데터 처럼  체공하다 미사일을 자체에서
발사하고 돌아오는 게 경제적이죠.
무인기와 순항의 차이는 발사 후에 컨트럴에서 차이가 나지 않나요.
무인기는 발사 후에도 광범위하가 조종이 가능하고 순항은
제한적이라는 거..
근데 자폭무인기가 존재하긴 하나요. 실제 운영이 되는 경우가 있을런지..
밑에 하롭 기사가 있군요..
KCX2000 16-11-26 09:55
   
자폭무인기는 현재 국내에 이스라엘 하피가 100여대 들어와있습니다.
물론 북한도 러시아제 자폭무인기 도입해서 휴전선에 있습니다.
휴전선에 자폭 무인기들은 주로 적의 방공망이나 레이다 시설같은게 주요 타겟입니다.
레이다나 방공시설이 고정형이고 휴전선에서 멀면 순항미사일로 타격할수도있지만
휴전선에서 너무 가깝고 이동형에 레이더를 껏다 켯다를 반복하면 목표를 지정할수가 없죠.

순간순간 나타났다 사라지는 이런 목표를 위해서 유사시에 휴전선에 하피를 띄웠다가
목표가 나타나는 순간 공격명령을 내리는식입니다.

공군에 미국제 함 미사일이 있긴한데 이걸로 적 레어다망 대응할려면 목표가 뜨고 연락해서
우리전투기 뜰동안 목표는 이미 사라지고 없을수도 있고, 전투기가 공중에 항상 떠있다가는 적 방공 미사일에
격추될수도 있죠.
정봉이 16-11-26 10:41
   
순항미사일 : 발사-비행-타격

자폭무인기 : 발사-공중대기-타격

순항미사일은 발사순간부터 타격목표가 정해진 상태로 날아가고

자폭무인기는 지정된 타격목표가 없이 발사된후 일정시간 공중에서 대기를 하면서 타격목표를 탐색우 돌입
ㅣㅏㅏ 16-11-26 11:37
   
지금이라도 순항미사일 알고리즘만 수정하면 바로 적용가능할꺼 같고. 형상도 바꿀수 있을것 같고...
활공가능한 유도폭탄도 자폭무인기라고 할 수 있을 꺼 같고요.
archwave 16-11-26 12:38
   
순항 미사일과 자폭무인기 사이에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만이 아니라 하드웨어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순항미사일은 길어봐야 1500 km 사거리 정도죠. ( 다른 국가는 더 긴 것이 있을지 몰라도, 일단 한국 경우 ) 구조 자체가 초저공 비행, 최고 속력에서만 적절한 양력을 낼 수 있는 작은 날개를 갖고 있어서 장시간 체공용으로는 쓸 수 없습니다. 저공/최고 속력 유지한다면 체공시간이 2 시간도 안 되고, 아무리 늘려잡아도 4 시간 넘지 못 할 것으로 봅니다.

자폭무인기는 24 시간 이상의 체공시간을 갖고 있어야 의미있을거 같고요. 자폭무인기가 비행기스럽게 생긴 것도 적절한 크기의 날개가 있어야 적은 연료 소모로 떠 있을 수 있기 때문.

순항미사일은 제한적인 센서만 갖고 있습니다. 경로를 이탈하지 않는지와 목표물 확인을 위한 기능만 있죠.
중간에 경로 수정을 할 수 있는 기종이라도 제한적인 통신 기능만 갖고요.

자폭무인기는 정찰기로 쓸 수도 있을 정도의 충분한 센서와 지휘센터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합니다.
적국 상공에서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을 받아보고 지령을 내릴 수 있어야 하니까요. 사실 자폭무인기라는 것이 무인정찰기에 폭탄을 넣어둔것과 별 차이없을 듯.

적의 레이더망 파괴 목적에만 특화된 자폭무인기라면 실시간 영상이 꼭 필요하지는 않겠지만, 대단히 긴 체공 시간이 요구되겠네요.

하여튼 자폭무인기는 어디까지나 비행기 형태, 순항 미사일은 미사일 형태.
개구신 16-11-26 12:56
   
대레이더미슬은 레이더를 끄면 바로 무력화 되는데
이건 상대 레이더가 켜질때까지 기다렸다 때릴수 있죠
나무와바람 16-11-26 13:44
   
애초에 무인(항공)기 (UAV) 유인항공기를 무인화 한거라 항공기의 한 종류라서
정찰기능이 들어가있는게 대부분이고,
순항미사일은 별다른 고도나 속도의 변화 없이 순항하는 장거리를 날아가기 위해 제트엔진 같은 엔진을
장착한 미사일의 한 종류라서 애시당초 자폭무인기와 순항미사일은 비행패턴이 비슷해 보인다 해도
태생이 다르죠!

군사 무인기 분야가 점점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분야가 넓어지는 추세라서 미래는 어찌 변화하게 될지 몰라도
현재로만 보면 자폭무인기와 순항미사일은 쓰이는 용도도 다르고 생김새도 달라서 구분이 어려운게 아닌 것
같은데요!

무인잠수정(USV) 에 자폭기능을 장착했다고 이건 어뢰라고 하는 얘기와 같은 말이라...
밀리마니아 16-11-26 14:38
   
우리나라도 순항미사일을 UAV로 분류하죠
G스마트SM 16-11-27 05:54
   
배가 꾸준한 속도로 유유히 나아가는것 마냥.
비행체의 속도.고도의 변화가 작으면서. 일정하게 비행하는 특성 때문에.
크루즈. cruise란 단어가. 巡航. 배 항. 포함된  순항으로 번역된게 아닐까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58549&cid=50307&categoryId=50307]
"순항:통상 장시간의 비행을 위해 적절한 엔진 출력, 고도를 유지하는 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