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9-16 12:31
[해군] 대한민국 해군기 바꿔야하는 이유.
 글쓴이 : 솔루나
조회 : 4,910  

긴말 하지 않고 딱 사진 두장만 올리겠습니다.

보고 한번 판단해보세요.

현재 대한민국 해군기

한국.png


과거 조선 통감부 통감기
d0134613_54c65522a2348.png


개인적으로 해군기는 공군 라운델처럼 태극 문양에 양옆의 괘를 물을 뜻하는 괘로 바꾸었으면 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보거 16-09-16 12:36
   
바꾸긴 해야겠네요
참치 16-09-16 12:40
   
저런 이유 말고도..  그냥 깃발 자체가 존재감이 없음.. ㅎㅎ  바꿔야 할 이유는 깃발 자체에 있는 듯..
자그네브 16-09-16 12:50
   
그리고 멋대가리도 없네요. 남자 여자 성표시 한것같고...
홀로장군 16-09-16 12:50
   
그냥 써도 될듯
통일 후에나 바꾸면 될듯
안경도깨비 16-09-16 13:05
   
차라리 파란색 치우고 진짜 해적기처럼 만드는게 훨 나을듯....뭔가...임팩트가 없어서....
Marauder 16-09-16 16:17
   
두개만 올릴것이 아니라... 다른나라도 같이 보여줘야알죠
꾸물꾸물 16-09-16 17:22
   
색 배합이나 세부패턴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저러한 패턴의 해군기나 기타 기를 사용하는 나라들이 더러 있지요.

하지만.. 역시나 한국의 문제는 건국부터 친일정권이 들어서고, 군 장교(장성들 포함)들도 일본군 장교 출신들이 많다보니 그냥 복붙수준으로 쓰지 않았나 의심은 됩니다..
     
오롤로이요 16-09-16 22:32
   
대한민국 관보 제1호만 보더라도 건국 소리는 안나옵니다.
archwave 16-09-16 17:52
   
앞 뒤 짜르고 일본 것만 인용하면 괜히 정치적 해석만 난무하게 됩니다.

저런 스타일의 원조는 영국이에요. 영국의 해군기 스타일을 일본이 해군기도 아닌 것에 차용했던거고요.

영국 연방은 지금은 많이 쫄아들었다 해도 아직도 막강하죠. 53 개국으로 이뤄진 연방임. 그 중 16 개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등) 은 실제로 영국 여왕을 왕으로 삼는 영연방 왕국이고요.

한국 해군기를 다른 국가에서 보면 [영연방중 한 국가의 해군] 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오히려 문제임. 뜻하지 않은 불이익이 실제로 발생했던 적도 있고요.

일본인조차 한국 해군기를 일본과 연관지어서 생각하진 않을 것임.

친일이라 일본 계승.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것은 무리임. 해방 당시 물자가 귀했던 때에 흔하게 있던 통감기를 이용해서 쓴 것은 글쎄.. 어떤 면으로는 그냥 생각없이 물자 절약만 신경썼다 볼 여지도 있지만..
archwave 16-09-16 18:05
   
욱일승천기가 문제라 해서, 태양의 햇살 모양 디자인까지 모두 거부하는 것은 지나친 것이겠죠.

한국 해군기를 일본과 연결해서 생각하는 것은 지나친 오버이고, 일본인이 봐도 아주 생뚱맞은 것일테죠. 일본인이 이 논란(?)을 보면 [쟤네들 피해망상 걸렸나] 할지도 모를 일임.

해군기의 왼쪽 윗 부분 즉 전체의 1/4 만 쓰는 것은 상당히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는 디자인이죠. 영국과 유럽 그리고 영향 받은 국가들에서 매우 흔한 형식. 나머지 3/4 가 파란색으로 채워진 것은 영국 해군기의 특징.

이건 뭐 [영연방 일원인 국가의 해군] 이라는 뜻이 되죠. 이거 때문에 바꾼다면 모를까.. 무슨 일본 어쩌고 이유로 바꾼다면 코메디가 되어버림.
ibluesky 16-09-16 18:13
   
일장기와 비슷하니까 바꾸자? 이 무슨 해괴한 논리인지..

바꾸고 싶으면 쪽바리가 바꾸던가.. 태극기와 일장기가 비슷한 건 원래 그렇게 생겼으니 어쩔 수 없는데 비슷한 것 자체도 꼴보기 싫으면 쪽국으로 가던가 아님 쪽국한테 바꾸라고 하던가...
솔루나 16-09-16 19:11
   
흠... 댓글들 잘 읽었습니다.

너무 생략해서 사진 두장만 올리니 여러 해석이 가능하군요. 불찰입니다.

아래 블로그에서 글을 읽고 (결과적으론 블로그의 내용과도 의미가 다르게 변질되었지만), 블로그의 내용에 저는 공감하므로, 이 글의 이유를 블로그의 내용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egloos.zum.com/arsium/v/1102432

여러 해석이 난무하게 글을 작성한바, 사죄드립니다.
     
archwave 16-09-16 19:35
   
일본 두 글자만 들어가면 그것만 확대해석하는 일이 너무 잦은데요. 뭐 그게 크게 무리가 아니기도 하지만..

그 블로그 내용도 아주 약간은 주관적 해석이 들어간 것인데, 그 블로그 내용중에 일본이 거론된거만 눈에 불을 켜고 보고, 그것만 따다가 글 쓰신 것은 대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

그냥 역사로 봐야 합니다. 위 글에 인용한 통감기 도안은 일본 자신도 해군기로 쓰지 않은 겁니다. 그냥 일제 시대때 한반도내에 잠깐 쓰였다 사라진거니, 사실 일장기나 욱일승천기를 기억하는 한국인은 많아도 저 통감기 기억할 사람은 글쎄 얼마나 될지.. 일본인들도 기억 못 할 듯.
          
솔루나 16-09-16 19:40
   
네, 사죄드립니다. 너무 가볍게 글을 썼네요.
archwave 16-09-16 19:46
   
2 차대전 직전까지만 해도 영국의 위상은 상당했죠. 특히 일제시대 일본은 탈아입구(아시아 탈피, 구라파의 일원으로서 일본) 가 국가 목표였음. 일본이 영국을 병적으로 복사해대던 시절임.

당시 일본인들이 자주 봤을 영국 해군기의 디자인을 빌려서 통감기를 만들었을 것은 뻔한 것이고, 일본 연방(?)의 의미를 담고 있다 볼 수 있죠.

한국 해군 또한 영국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을 수 밖에 없었고, 영국 해군기의 디자인을 차용하는 것은 상당히 자연스럽다 할 수도 있을겁니다. 그러면 한국 해군기 디자인 나오는거죠.

마침 영국 해군기와 비슷한 틀을 가진 통감기들이 남아도는게 있겠다. 통감기 깃발을 폐기하지 않고 이용했을 가능성은 무척 크겠죠. 이런 정도인 것을 갖고 왠 친일, 일제잔재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무리...
동화 16-09-16 23:24
   
이렇게 해석하면, 일본에 대한 피해의식으로 밖에 해석이 안됩니다..
해군출신으로서 한마디하자면, 해군기 저도 썩 맘에 들진 않습니다.

해군은 좀 더 진취적인 디자인으로 바꾸었으면 좋겠네요.
ㅡㅡㅡㅡ 16-09-17 15:07
   
계속 파고 들면 아예 국기를 바꿔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