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9-10 10:44
[전략] 韓 3600t급 잠수함 건조 본격화 SLBM 발사관 '최대 10개'... 대우조선해양과 건조계약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6,661  

http://www.kbiz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353







9일 대우조선해양과 9857억원 규모 계약.. 지난달 1번함 착공 이어 2번함 건조계약 체결 





최근 강대국 대한민국의 전력보강이 

점점 더 가공할만한 위력의 수준이네요 







<대한민국 장보고 배치-Ⅱ 사업 현황> (대한민국 방위사업청) 



- 1번함 (현재 착공)

- 2번함 (9일 대우조선해양과 건조계약)

- 도산안창호함 보다 5.5m 길어져 (SLBM 발사관 최대 10개) 

- 3600t급 

- 국내 최초 리튬전지 탑재 (세계 2번째 중대형 잠수함에 리튬전지 사용)

- 국산화율 8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9-10 10:44
   
     
빅터리 21-09-10 13:19
   
핵탄두를 쓸 수 없는 지금은 상대방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할 수 있게
EMP나 탄소섬유탄두를 한두개정도 싣고 있는게 좋을듯
ㅣㅏㅏ 21-09-10 10:56
   
아 좋네요. 이제 다음은 원잠이다.
     
스크레치 21-09-10 11:53
   
배치-3 (4천톤급 이상 잠수함 3척)를 핵잠수함으로 추진한다는 얘기가 들리긴 했습니다.
아차산의별 21-09-10 11:16
   
장보고3-배치3
여기까지는 재래식으로하고

원잠은
새로운급으로 했으면합니다
예를들어
장보고1  9척을 대체하기위해
5,000톤핵잠  거북선급9척 건조선언 !
     
스크레치 21-09-10 11:53
   
장보고 배치-3 3척은

핵추진 잠수함 얘기가 나오곤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과부 21-09-10 13:15
   
거의 100퍼라고 보셔도 됩니다.
원래 미국과 협의만 빨랐어도 3번째함에서 나올수도 있었는데 협의가 늦어지면서 밀린걸로 알고있습니다.
     
mirue 21-09-10 15:31
   
새로운 급으로 갈겁니다

장보고3-배치1은 납축전지와 AIP시스템
장보고3-배치2는 리튬이온전지와 AIP시스템
여기에서 완성한 기술로 현존하는 모든 잠수함의 납축전지를 리튬이온으로 교체(아마도 창정비할때)

장보고3-배치3는 AIP시스템을 빼버리고 리튬이온전지 추진 기반으로 설계(납축전지와의 무게 차이, 급속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인해 더 강력한 엔진과 제네레이터 채용으로 전면 재설계가 필요하다합니다)

여기까지가 해군의 계획이고

원자력 추진 잠수함은 장보고3-배치3가 끝나고 로드맵상에 존재하던 5,000톤급 중잠수함 사업으로 갈듯합니다
내일을위해 21-09-10 11:50
   
국산화율 80%~~~~~~~~ 가슴이 웅장해지네요
     
스크레치 21-09-10 11:53
   
웅장해지고

참 대단하지요...
제플린 21-09-10 12:19
   
원잠에 탄두3톤 이상 SLBM 한 20기씩 싣고 다니는 날이 어서 왔으면..
단순 21-09-10 12:25
   
리튬전지면 하이브리드 잠수함 인가요?
     
노세노세 21-09-10 14:33
   
기존 납산배터리-최대 속력으로 잠항시 1시간~1시간30정도..
리튬전지-최대속력으로 잠항시 3시간정도....라네요...
aip는 최대속력으로 잠항시 거짐 도움이 안되고요...
우리가 원자력추진 잠수함을 보유해야 하는 이유기도;;
스랑똘 21-09-10 14:20
   
자꾸 이런소식 들릴때마다 어깨에 힘이 들어가네요..ㅎㅎㅎ
아이쿠 21-09-10 16:46
   
납산배터리공간에 100% 리튬배터리를 채우면 이론상 4~5배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납산배터리와 리튬배터리의 현격한 비중 차이로 인해서
잠수함의 발란스가 무너지게됩니다

그래서 일부 리튬배터리를 집어넣고
상당한 양의 무게추로 납덩이를 채워 넣어야합니다
그래서 기존 납축전지탑재형 잠수함을
리튬배터리로 교채하면 에너지 저장능력은 증가량은 2배가 안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최초 설계단계에서
리튬배터리를 사용하는 무게중심 설계가 이루어져야합니다.

일본의 경우 소류급 후기형에 시험적으로 납축전지대신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했고
그 이후 타이게이급은 최초 설계부터 리튬이온방식으로 설계가 된것으로 압니다

우리해군 장보고3 배치2는 이러한 무게중심 제설계가 이루어진다는 소리가 없었는데
수직 발사과 제설계 하면서 전체적으로 설계 수정이 있었길 기원합니다
서클포스 21-09-10 16:47
   
이제 탄도 미사일 기술만 업글하면 되겠군여..  한방에  한반도 절반 정도는 초토화 시킬 탄도 미사일이 필요함..
빅미그 21-09-10 21:21
   
현대는 214급이 처음이자 마지막 사업인가보네요...하긴 못해도 너무 못했으니...
나그네x 21-09-10 21:33
   
발사관 갯수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것은 바로 발사관의 직경이겠지요.
러시아나 프랑스 slbm미사일 직경이 2~2.5m나 된다더군요.
그런데 장보고3급은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발사관직경이 대략 600~700mm라고 들은것 같은데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군요.
만약 맞다면 탄두사이즈 체급차이가 상당히 큰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