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5-03 17:41
[질문] 잠수함 수중통신은 아예 불가능한겁니까?
 글쓴이 : 로켓맨
조회 : 1,883  

전파자체가 전혀 통과하지 못하는건가요? 극초단파 같은걸로도 안되는지...

지상에서 물밑 잠수함까지 전파는 못가도 수중내에서 전파를 발신하면

가능은 하지 않을까 생각도 해보는데

미해군의 경우 부표말고도 수중통신을 할 수 있다고는 들은거 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무아견성 21-05-03 17:47
   
가능한데 실시간 음성은 안되고 문자단위 암호정도만 가능하다고 알고 있어요.
     
로켓맨 21-05-03 17:50
   
그것만 해도 좋네요
새끼사자 21-05-03 17:49
   
해양수산부 쪽에 이런게 있네요.
https://www.mof.go.kr/article/view.do?menuKey=376&boardKey=10&articleKey=16250

암튼 수심 100m에서 근거리(전송거리 200m, 전송속도 100kbps) / 장거리(전송거리 30km, 전송속도 100bps) 시험성공
     
로켓맨 21-05-03 17:50
   
상당히 진척됐군요
archwave 21-05-03 17:50
   
수중 통신 네크워크가 표준화 작업도 들어가는등 민간쪽에서도 움직임이 있습니다.
     
로켓맨 21-05-03 17:51
   
공중전파통신 초창기 생각해서 미래가 되면 음성통신도 했으면 좋겠네요
archwave 21-05-03 17:52
   
수중 통신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은 https://thking.tistory.com/1599 이거 하나만 봐도 되겠네요.
     
로켓맨 21-05-03 17:53
   
오 감사
배신자 21-05-03 18:22
   
바닷속 레이저 통신도 수심이 깊어질수록 통신이 힘들어지고

레이저 방향에 따라 통신이 자주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하더군유.

간단한 암호화 통신은 대부분 음향통신이고

나머진 거의 다 유선통신이쥬.

해상에 통신부이를 띄워서 안테나 역할을 해서 통신이 가능하긴 한데

이것도 따지고 보면 바닷속은 유선인 셈이쥬.

아직까지도 바닷속에서는 유선통신 사용이 압도적입니다.

바닷속에선 거의 모든 전파가 무용지물이고 음파랑 빛신호만이 사용 가능한데

빛신호도 음파에 비해선 거리가 짧고 바다 밀도나 물결에 따라 전달이 안되는 경우가 많음.
손이조 21-05-03 18:41
   
그게 되면 수평선 문제가 해결되죠.
정찰기 안띄우고 함선에서 수평선 너머의 물을 관통해서  적함선 포착이 가능해짐.
아무 21-05-03 18:47
   
잠항 중인 잠수함과 통신하기 위해 지상에서는 초장파를 이용해 통신합니다. 그 주파수 진폭이 엄청나게 크다고 읽은 기억은 나는데 어느 정도인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도나201 21-05-03 18:47
   
수중통신에 몇가지 방식이 있는데.

1. 얼마전 소류호의 통신부상으로 충돌사고가 낫듯이 낮은 심항도로 통신을 받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2. 케이블을 통한 통신부이사출방식.  현재 이방법이 가장 많이 쓰이는데 가장 안정적이게 사용가능하나,
  생각보다는 위치노출이 많이 되고 부이자체가 일회용비슷하게 되서 생각보다 비용이 비쌈.
3. 무인기 를 통한 허브통신 방식.  아직까지 회수방법이 애매해서 ... 그러나 회수도 가능하다고 함.
4. 통신방식자체로 변화가 오겠지만,  양자통신법이 개발되면 또다른 세상이 펼쳐질듯이 보여짐.

그러나 소나의 최종목표는 중력파통신방식인데.....이건 거의 상상속의 sf적인 통신 방법임.
스타트렉에서 손목시계로 통신하는 시대가 열릴수 있음.

그러나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통신방식은 전통적으로 통신시간을 위해서 부상하거나 통신부이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음.  아직까지는 실시간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라서
잠수함의 운영지침이 상당히 거북스럽고,  이에 따른 잠수함장의 독립성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는 부분임.
기술적으로 많은 난관이 있는것도 사실.

소나와 통신은 괘를 달리하지만, 현재로선 음파로 인한 통신방법도 사용하는 중임.

우리나라는 몇가지 암호화도 하지 않고서 쓰는 방법이 있는데.
잠수함에 꼭한명 제주도방언 사용자를 쓰고 있음.
아주 비상시 쓰인다고 함. ㅡ.ㅡ:   

현재 아직도 제주도에서 전화도우미 쓰고 있는 제주도 방언을 계속해서 유지하려고 함.

한중일 통신체계중에서 제주도 방언이 아주 특이해서 서로가 해독이 불가한 점도....
거기에 북한은 제주도 방언사용자가 없어서 실제로 625때 사용하기도 함.

이건 웃자고 하는 소리지만 실제로 제주도방언자는 항상 비축대기하고 있다고함.
     
아무 21-05-03 18:48
   
윈드토커...
야구아제 21-05-03 19:05
   
통신용 부이를 띄우지 않나요, 통상?
짱아DX 21-05-03 19:24
   
전파(파동)은 파장이 짧아질수록 투과율이 떨어집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초장파로는 수중이라도 어느정도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다는 얘기죠. 그런데 문제는 파장이 길어지면 보낼 수 있는 데이터 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즉, 데이터의 암호화가 불가능하다는 거죠. 우리가 수신하는 데이터가 적도 마찬가지로 수신할 수 있다면 군사적으로 가치가 없습니다. 반면, 민간차원에서는 국제적으로 미리 약속된 특정 숫자 배열을 주고 받음으로써 간단하게나마 통신은 가능하겠죠.
화생야 21-05-03 22:22
   
윗분들이 의견주신대로 전자기파도 물속을 전파할 수는 있으나,
투과 가능 깊이가 주파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기 떄문에
파장이 긴 (=주파수가 작은) 전자기파를 활용하여 통신을 시도합니다.

이에 따라서 주파수가 낮은 다음의 두 대역이
지상-잠수함 간 통신에 주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1) ELF (Extremely Low Frequency)  : 3~300Hz
2) VLF (Very Low Frequency) : 3000~30000Hz

이때 주파수에 따른 전자기파의 투과 가능 깊이를 식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투과깊이 = 1 / Sqrt[ Pi * 주파수 * 투자율 * 투과 깊이당 전도도]

* 투자율: 4 * Pi *10^7

* 투과 깊이당 전도도:

1) 바닷물: 4 S/m (즉 미터당 1V가 걸렸을 때 4암페어를 통과시킴)
2) 맑은물: 0.003 S/m


위 공식에 따르면,

바닷물에서 주파수가 가장 작은 ELF 영역의 전파를 활용하면,

1Hz 일때 약 250m까지
3Hz 일때 약 145m
300Hz 일때 약 14.5m

까지 통신이 가능하며,

이보다는 좀 더 주파수가 큰 VLF 영역에서는 (3-30kHz)

3kH 일때 4.6m
30kH 일떄 1.45m

까지 도달 가능 깊이가 줄어듭니다.

실질적으로 ELF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활용하면 통신이 가능할 것 같지만,
저주파일수록 파장이 기니 안테나도 길어져야죠.

안테나 길이의 단위만 300Hz일때 최소 수백k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주파수*파장=빛의 속도).
게다가 대역폭이 극단적으로 작으니, 문자 몇 개만 간신히 오고갈 수 있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실질적으로
수십~100m정도에서는 어느 정도 통신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만,
그 효율이 낮아서 여러가지 대체 수단이 계속 연구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참조1) RFID under water
> https://www.intechopen.com/books/radio-frequency-identification-from-system-to-applications/rfid-under-water-technical-issues-and-applications

참조2) 예전 스포매니아님의 글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8&wr_id=351621&sca=&sfl=wr_subject&stx=%EC%9E%A0%EC%88%98%ED%95%A8&sop=and

기타 참조)  소나(음파) 신호의 피탐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고래 소리에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통신에 활용하고자 했던 프로젝트(Combo)에 대하여:
>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8778/the-u-s-navy-tried-to-turn-whale-songs-into-secret-code
흩어진낙엽 21-05-04 01:59
   
울나라는 잠수함 부이로  위성통신을 이용해서  최초로 2010년에 통화에 성공했다네요

https://youtu.be/J2_e8OqoLh4?t=934
노세노세 21-05-04 09:54
   
획기 적인건 양자얽힘을 이용한 양자통신만 물속에서 거리 상관없이 통신이 할 수 있을 듯 한데요
그리고 현제 기술로 해킹도 불가능 해서...군사용 통신으로 양자통신 괜춘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