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4-06 09:37
[공군] F-35A vs F-15EX, F-15E vs F-15EX 비교 이미지
 글쓴이 : 면도기
조회 : 3,236  


(2016년 Fobes기사니까 2015년 자료 쯤 되겠네요) 


F-15EX 운영유비지가 낮아서 도입한다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계산법 이리 저리 바꿔봐도 유의미하게 차이나지는 않는듯...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거 같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검군 21-04-06 09:44
   
기체가격은 오히려 f-15ex가 비쌈  유지운영비는 f-35의 2/3쯤 된다함. 뭐 과스펙증후군환자인 미군이니 이것도 믿을 게 못되지만...즉 나와봐야 안다는거죠...아무튼 지금은 그렇다네요?
     
면도기 21-04-06 09:53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 2016년 초기에 굉장히 비용이 많이들던  F-35의 유지관리비가 최근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2. A/B/C형을 퉁쳐서 계산하던걸 나눠서 계산할 정도로 데이터가 많이 쌓였다.
3. Janes 예측에 의하면 A형이 21000달러까지 떨어질수 있다고 한다. (2029)
그러니까 현재, 혹은 미래에... F-35A 와 F-15EX 운영비는 비슷하다고 봐야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밀리마니아 21-04-06 09:48
   
의외로 함재기의 유지비가 싸군요. 특히 그라울러가 슈퍼호넷 보다 더 싼 게 신기하네요.
     
면도기 21-04-06 09:57
   
저게 또 공군 회계방식이랑 해군 방식이랑 또 달라요 -_  -
그래도 Fobes니까 군 통계자료 곧이곧대로 쓰진 않았을꺼 같은데.. 모르겠어요. 믿지마세요
의자늘보 21-04-06 10:03
   
제일 밑에 도표에서 의외인 점
1. F-15E는 F-16보다 2배 이상 유지비가 비싸다.(우리나라 F-15K도 비슷하겠죠?)
2. 해군, 해병대 비행기의 유지비가 생각보다 저렴하다.(F-35B 나 C는 A 보다 더 많이 들어갈테니, 저 그래프에서 어떤 꼴을 보게될지 예상되는군요. 미해군, 해병대에서 경끼 날만 하겠군요.)
3. 같은 급의 전투기(F-15C vs. F-15E, FA-18D vs. FA-18F)에서 나중에 취역한 쪽의 유지비가 덜 들어간다.
4. 미공군이 A-10을 못 놔주고 노인학대하는 이유가 있다.
5. 그라울러가 슈퍼호넷보다 유지비가 덜 들어간다. (먼일이죠?)
     
면도기 21-04-06 10:10
   
A-10은 미공군에서 프로그램 셧다운 중입니다. 수명되는순으로 은퇴하겠죠.
또 다른 자료들이 많아요. 운영유지비 관련해서는 믿지 마세요.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589791&sca=&sfl=mb_id%2C1&stx=kook12&page=2
의자늘보 21-04-06 10:08
   
F-15E와 EX는 무장량과 항속거리에서 거의 25-30% 정도 차이가 나는군요.
이 정도면 정말 다른 기체라고 봐도 될 듯...
     
스포메니아 21-04-06 10:17
   
F-15EX의 또 다른 특징은 무인기들과 연동(무인기들을 제어)해서 같이 작전하는 능력이라고 합니다.
유한락스 21-04-06 10:32
   
어디서 보니 F-15EX 도입 이유가 가성비 이런게 아니라  스텔스 성능의 최대약점인 폭장량 즉 화력을 보충하기 위한게 크다고 하더군요. 외부 포드에 주렁주렁 무기를 달수는 있지만 그러면 스텔스는 포기해야하니까요. (주렁주렁 달아봤자 F-15EX의 전투기로선 괴랄할정도의 폭장량엔 못미치구요)
기본 전술개념이 스텔스기가 깊숙히 들어가서 작전을 펼치며 데이터 링크를 통해 F-15EX의 무식한 화력을 유도하는 즉 F-15EX를 일종의 공중포대로 쓰는 개념이라고 하더군요.
지상병력으로 따지면 특수부대(스텔스기)와 기갑부대(F-15EX) 정도의 느낌인것 같습니다.
     
포요99 21-04-06 13:03
   
미전략보고서에 따르면 F35A 편대만으로 미공군을 재편했을때 가상의 숫적 우세를 가진 수호이기가 시뮬상으로 이기는 보고서를 냅니다
당연히 록히드는 반발을 하게 되고 해당 연구원은 짤리죠. 하지만 여러번의 시뮬을 거쳐서 F35A만으로는 적기가 숫적 우세로 희생을 감수해서 거리를 좁히면 F35A가 실제 피격된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입니다 결국 미공군해군은 전략을 바꿉니다 F22-F35로 데이터링크 F!5로 후방에서 미사일 셔틀로 전략을 수정한 것이죠
이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수립된고 실제 성공이 된다면 아마도 EX가 더 발주될 가능성도 보입니다
도나201 21-04-06 11:36
   
현대전에서 가장 특이한 점이  폭격기가 많이 사라졋다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초기전장시에  와일드위즐과 같은 방공망무력화시도 전략은 존재한다라는 것이고
현재는 스텔스기종이 바로 와일드위즐의 역활을 맡고 있다라는 것이죠.

그뒤 바로 전략거점의 폭격이 시작되는데  이건 거의 동시에 방공무력화와 폭격을 동시다발적으로 할수 있다라는 점입니다.

가끔 평가하기를 전시엔 단독으로 작전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걸프전에서 순항미사일로 조진다음에 스텔스기의 방공망폭격 및 기타 관련 대공망분쇄를 중점으로
항공전을 펼쳤죠.

뭐 이미 항공기간의 교전은 초반에 분쇄되었고,

근데 이게 순항미사일없이 바로 항공작전만으로 가능해졌다라는 이야기도 됩니다.

철저히 항모의 접근거리가 더 멀어졌다라는 것을 의미하고 그에 따른 중국의 둥펑에 관한 전략에 대한 무력화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항공기만으로 전적으로 중국의 남지나해의 진입을 용이하기 위한 전략을 구축중이라고 보면됩니다.

물론 순항미사일의 존재를 낮게 보는것은 아니지만, 순항미사일에 대한 대응책이 나온시점에서
어느정도 손실은 이제는 예상되는 시점이라는 소리입니다.

즉,  사정권역 밖에서 전투기발진만으로 웬만한 방공망을 정밀타격 및 무력화를 한후에
바로 항모전단이 공역내에 투입되면서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라는 전략이 보이는 
f15ex의 개발이라는 것이죠.
모래니 21-04-06 12:56
   
성능상의 차이야 어찌되었든
그게 바가지면, 업글은 못하는거죠.
대당 800억이라니 무슨 껌값도 아니고. F-35A가 900억이거늘.

정 아쉬우면 AESA레이다만 교체를 하던가 해야죠.
대지타격에서 솔직히 아쉬운건 없잖아요.
14t 풀무장해서 폭격나갈 일은 어차피 없을거 같은데.
11t이나 14t이나....

드런 X끼들...
스탠드오프 대지타격 미사일 개발을 서두르는게 백배 나을듯.
Elan727 21-04-06 23:09
   
개인적으로  폭격기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종심 타격용으로 저ex보다 더 적합한 기체는 없다고

생각을 하니 예산만 확보된다면 KFX 사업과는 별도로 20기정도 추가 도입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저는 F-35보다 저 EX 모델이 더 끌린다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