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2-22 17:32
[질문] 카빈과 기관단총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글쓴이 : korean1004
조회 : 2,179  

긴 총열의 돌격소총을 단축한 기병총 이라는 뜻의 카빈은 기계화보병, 차량화보병, 통신 가설병, 포병, 기갑병과, 특수전 부대 등을 위한 소총 이라면 기관단총과는 구분할 수가 있는 차이점이 있나요?


 기관단총은 권총 탄환인 9x19mm 구경의 파라블럼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s&t모티브의 k1a 기관단총이나 신형 stc-16의 경우 처럼 소총탄환인 nato 5.56x45mm구경의 탄을 쓰는 경우가 있다면 카빈과 기관단총을 구분하는 기준은 모호(?)해진 측면이 있을까요?


 9x19mm 파라플럼탄이 아닌 nato 5.56x45mm 탄을 쓰는 기관단총은 카빈으로 볼 수가 있나요? k1a와 stc-16은  m4a1, hk416, k2c 등과 비교하면 nato 5.56x45mm 탄을 쓴다면 기관단총이 아니라 카빈으로 볼 수가 있나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만마전 20-02-22 17:42
   
총신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짮으면 카빈 길면 소총
     
벌레 20-02-22 18:08
   
소총은 선조총을 말하는 것으로 길이와는 아무런 관계는 없습니다.
강선이 있는 총을 말합니다.
          
바람노래방 20-02-22 19:35
   
소총이 라이플만을 지칭하는건 아니죠.
총이란걸 직사화기로만 지칭하던 시절, 개인이 휴대 할 수 있는 총을 소총이라고 한 것이고 소총중에 라이플도 있는거죠.
영어탈피 20-02-22 17:47
   
길이죠
벌레 20-02-22 18:06
   
말 위에서 쏘기 편하게 배럴을 단축한 것이 CARBIN
무좀발 20-02-22 18:08
   
들고 다니면서 쏠수 있으면... 카빈

차량,  등등에 거치해서 만 사용가능하면  기관총..
수염차 20-02-22 18:25
   
기관단총은  기본적으로 권총을 완전자동 사격하는것을 말하죠....9미리 파라블럼탄을 사용합니다
우지와 MP5등이 대표적이죠  당연히 휴대하기 용이하죠 전체적으로 짧은 디자인을 가졋으니요

카빈은 기본적으로 돌격소총이죠.....돌격소총은 5.56미리~7.62미리탄을 사용하구요....
돌격소총의 큰 크기가 휴대하기 용이하지 않다고 판단되서 나온것이 길이를 축소한 카빈이죠...
대표적으로 M4A1카빈이잇죠....

현대전에선 기관단총의 파괴력이 약해서 경계가 무너지게되죠.....대표적인게 우리군의 제식 기관단총인
K1...기관단총임에도 5.56미리 나토탄을 사용해서 관통력을 증가시켯죠...
하시시 20-02-22 19:39
   
윗분 말씀대로 기관단총의 정체성이 애매해진지 꽤 됐죠. 하지만 총의 본질은 탄에 있으니 정체성도 탄에 있다 생각합니다. 소총탄을 쓰면 어디까지나 CQB버전 AR이죠. K1a은 기관단총처럼 쓰라고 던져준 소총 정도가 딱 어울리는거 같습니다.
뭐꼬이떡밥 20-02-22 19:41
   
한번도 카빈을 기관단?총 과 비교해 본적이 없었는데

카빈은 그냥 라이플 아닌가요?
태지1 20-02-22 19:44
   
탄창과 탄통 삽입의 방식으로 갈라지는 것 아닐까요?
연사력에 관심이 있는 것 같고.....

연평해전 화력 부족도 생각해 보고 할 일인 것 같네요.
mars79 20-02-22 19:57
   
카빈과 기관단총이 아니라, 자동소총과 기관단총의 구분을 말하시는 것 같네요.

이건 총신의 길이나 탄창의 삽입방식과는 관계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총(장총, 권총)을 기반으로 하고 있느냐, 어떤 탄환(소총탄, 권총탄)을 사용하느냐의 차이죠.

원래 소총은 긴 총렬에 단발로 발사되며 강한 위력을 가지는 총이었는데, M1개런드 같은 것이 해당하죠.
그러다 2차 대전 때 나온 독일의 돌격소총을 보고 소련과 미국이 전후에 AK-47 계열과 M-16 계열을 만들면서 본격화 된 개념이죠.
소총인데 연발로 발사되는 총.

그에 비해 기관단총은 단거리 교전 시 고속 연발 사격이 필요하다는 개념에서 착안한 총입니다.
권총탄같이 위력이 좀 떨어지는 탄환을 단거리에서 고속으로 발사해서 적을 제압한다는 개념.

그래서 자동소총은 연발 발사시 총열에 문제가 생겨 그리 많은 발수를 연사로 사격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관단총은 이에 비해 연사에는 유리하나 위력 자체는 낮은 편이죠.(요즘은 소구경 고속탄알화 된 경우가 많지만 원래는 권총용 9mm 탄환부터 시작했죠.)

보통 대테러부대는 기관단총을 많이 씁니다.
테러범 제압하다가 그 강한 위력 때문에 인질까지 사살하는 불상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죠.
소총은 아시다시피 보다 많은 적을 제압하고자 하는 정규군에서 많이 사용하고...

그리고 K-1 소총은 기관단총 아닙니다.
우리나라 군대에서만 그렇게 부를 뿐, 그냥 총열을 짧게 해 휴대성을 높인 자동소총이죠.
5.56mm 나토탄을 쓰는 자동소총.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mars79 20-02-22 20:03
   
덧붙여 소구경 고속탄알이 가져다 주는 잇점을 설명 드립니다.

원래 M-1 개런드는 7mm대의 비교적 묵직한 탄환을 쓰던 총이었습니다. 멀리 나가고 한 방의 위력이 있는...
그런데 M-16이 5.56mm의 소구경 고속탄환을 쓰면서 휴대탄수가 증가하고 위력자체도 쓸만한 소총이 된거죠.
운동에너지는 질량과 속도의 제곱인데, 질량을 낮추고 속도를 높이는 것이 총의 위력을 높이는데 더 유리하다고 본 것이죠.

그래서 AK 계열도 처음에는 7.62mm 탄을 쓰다가 점차 이후 시리즈에서는 5mm대의 소구경 고속탄환을 채택하게 됩니다.
식쿤 20-02-22 20:24
   
카빈은 소총탄을 사용하는 기존 소총의 단축형 모델, 기관단총은 권총탄을 사용하는 화기 아닌가요
대충 이렇게 이해하고 있었는데
동키일일일 20-02-22 20:51
   
카빈은 기병소총이란 의미에서 발생한 소총입니다.
말위에서 쏘기 편하게 총신의 길이를 짧게 한 소총이죠.
그러다 기병의 쇠퇴와 함께 없어질 위기에 카빈이 발전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기계화된 운송장비의 덕이 큽니다.
운전병이나, 전차병 등 좁은공간에 총을 휴대해야 하는 경우 총신이 짧고, 저위력이지만, 소지가 간편한 소총의 필요성 때문입니다.
미국의 제식소총인 M1갤런드에 비하여 총신을 짧게 하고, 무게를 줄인 M1 카빈이 모델입니다.
하지만 현대전에서는 제식소총과의 차이가 무의미해 진 상태입니다.

백병전이 무의미해지고, 자동화가 추가되면서 그 차이가 줄어들어버린겁니다.
K1/K2만 보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K1이 K2의 카빈버전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미국에 카빈이름으로 팔리고 있지만, 제작자의 입장에서 보면 K1이 먼저 나왔고, 호환도 안되며, 엄연한 제식소총으로 제작된 버전입니다.

그러면 카빈과 기관단총과의 차이는 뭘까요?
기관총, 머신건(Submachine Gun)은 1차대전의 참호전에서 나옵니다. 그 시기에는 소총탄의 위력때문에 연사가 사실상 어려워 권총탄을 이용한 기관당총이 개발됩니다.
하지만 이 역시 소총탄(특히 나토탄)이 연사가 가능해지고, 무게가 줄어들면서 기관단총의 수요도 줄어들게 되죠.

그렇지만 상황에 따른 필요성은 계속 나오기 나름입니다. 대테러전과 요인보호용으로 권총탄을 이용한 기관단총의 수요가 나타납니다.
사실상 가벼운 무게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낮은 살상력으로 인질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근거리의 경우 별다른 정확도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상당한 필요성을 느낀겁니다.

그러면 총탄의 종류로 CABIN과 Submachine Gun을 구분할 수 있을까요? 실제 최근에는 권총탄을 이용한 자동화 소총은 Pistol Cabin으로 내놓고 있고, 대구경 머신건도 나오고 있어 구분이 애매합니다. 그냥 이름 붙이기 나름입니다.
제품의 위력을 강조하려면 카빈이라고 이름 붙이고, 휴대성을 강조하려면 기관단총이라 이름 붙인다 보시면 됩니다.

정확하게 카빈과 기관단총의 정의를 찾기보다는, 카빈이라고 하면 카빈이구나, 기관단총이라 하면 기관단총이구나 생각하시면 속편하실 겁니다.
수염차 20-02-22 21:25
   
총기의 구분을 할려면 아마도 밀게 몇페이지를 사용해도 모자를수잇습니다....
그간 습득한 정보량도 많을것이고......넷상에 올라와잇는 정보량도 상당합니다...
책도 한두권이 아니니까요...

단순하게...
기관단총은  자동연사가 가능한 큰권총.....사정거리가 짧은편  위력도 약한편
카빈은 총렬이 길어서 명중률이 높고 탄환이 커서 위력이 강한....돌격소총을 다소 짧게 만든 자동소총....
이렇게 정의하는게 단순하고 알기쉬울듯 보입니다
훈이야 20-02-22 22:55
   
본래 기병대 총을 카빈이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