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01-05 16:36
[영상] 초정밀 GPS 기술 개발...한국형 GPS도 구축 / YTN
 글쓴이 : 넷우익증오
조회 : 5,014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마이다스21 18-01-05 17:08
   
원래 2018년에 완성하는게 목표였는데 조금 늦어졌죠.
다만 이게 군용으로 쓰기에는 좀 어려울꺼에요.
미국에서 군용 P코드 승인받는게 훨씬 재밍에 안정적일거에요.
     
없습니다 18-01-06 02:43
   
미국에서 군용코드를 안줘서 개발하는겁니다.
          
archwave 18-01-06 11:50
   
미군 GPS 이용하는 유도무기 뭐였더라.. 물론 국산. 이미 실전배치까지 한 것으로 압니다.

이거때문에 한국 독자 GPS 의 필수성이 조금 애매해져버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요.
미군 GPS 가 방해받을 경우 생각하면 여전히 필요성이 있긴 하겠고요.
영어탈피 18-01-05 17:26
   
gps  시장이 커져서 돈이 되나 보네요
좋은비 18-01-05 18:24
   
자율주행차 항공기 배 등등 많은곳에 쓰이는 gps민간이지만 잘만들어서 상용화빨리햇으면 하네요

아마 군용으로도 전환이 가능하게 만들꺼라고 예상됩니다
미데카아 18-01-05 18:39
   
2030년이면 멀었구나;.  미리 투자 했어야 했는데 강바닥만 팠으니.
돌개바람 18-01-05 18:44
   
마이다스21/ 6~7개의 위성으로 제한적인 국산 GPS를 구축하려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가
군용목적때문입니다. 실제 민수용과 군사용 복합적으로 개발합니다
     
마이다스21 18-01-05 20:43
   
SBAS기반의 DGPS는 기존 GPS C/A코드 단독측위의 오차 보정을 하는 시스템이니 만큼
GPS 단독측위의 안정성에 얽매여 있습니다.
즉, GPS 재밍을 통해 민수용 C/A코드가 교란되는 경우 아무리 좋은 DGPS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정확한 측위가 불가능합니다.
해결방법은 GPS, 글로나스, 갈릴레오 등 다양한 GNSS 시스템 이용과 INS 등 별도의 항법 장치를 이용하거나 GPS의 군용코드를 이용하는 것 뿐입니다.

충분히 정확한 위치측정이라는 면에서 군용으로도 활용가능하지만
미사일 등 1M 내외의 CEP를 목적으로하는 정밀타격 분야에서는
재밍, 스푸핑 등 적의 활동에 대항하지 못합니다.
archwave 18-01-06 00:29
   
우물가에서 숭늉 찾을 분들이 계신 듯..

저거 일단 위성 7 개를 쏘아올려야 가동할 수 있는겁니다. GPS 전용이 아니라 다른 용도 (물론 군용) 와 같이 통합해서 올리는 형태가 될거 같네요.

하여튼 언제 할지 몰라도 위성 7 개 쏘아올린다는 소식부터 기다려봐야 할 일.

그런데 2018 년 얘기는 어디서 나온건가요 ? 아무리 빨라도 안 될 스케쥴 같은데..
유랑선비 18-01-06 10:25
   
드디어 사업 계획은 시작했나보군요.
7기라 30년대 중반까지라니 의외로 적당한 시기에 되는군요.
축구사랑인 18-01-07 01:46
   
이건 동남아 국가들과 합작하는게 유리한데 아쉽네요. 우리가 동남아 시장 확장이나 위성수 늘려서 섹타 자체를 아시아 전체로 하면 훨씬 좋았을텐데..
     
archwave 18-01-07 03:11
   
GPS 위성이 하늘에 떠 있는 것이 뭐뭐더라. 미국, 유럽, 러시아, 중국, 일본등등 아주 열심히들 깔아놔서 동남아 국가들이 아쉬워할거란 생각이 들지 않네요.

그리고 아시아 전체로 확대하려면 위성 수십개는 있어야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