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3-20 10:05
[잡담] 한국 차세대 중형위성 발사체가 소유즈인데
 글쓴이 : 포케불프
조회 : 3,165  



다른 나라 위성 합처서 30대가

소유즈 한개에 탑재된답니다. 

30개를 각각 정해진 궤도에 진입시킨다니(물론 제자리 찾아가는 것은 자체 추진력으로 하겠지만)

러시아가 발사체 기술은 넘사벽인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포메니아 21-03-20 10:19
   
인도는 2017년에 로켓 한개로 107개의 인공위성을 한꺼번에 궤도에 올려 놓음 ㅎㅎㅎ

India Launches Record-Breaking 104 Satellites on Single Rocket
https://www.space.com/35709-india-rocket-launches-record-104-satellites.html
---
그래도 인도의 발사체 기술은 넘사벽이 아닙니다 ~
스포메니아 21-03-20 10:23
   
미국의 스페이스X는 로켓 한개로 143개의 인공위성을 한꺼번에 궤도에 올려 놓음 ~
세계 신기록 수립 !

그리고, 추가로 1단 부스터는 회수했어요 ~

SpaceX Launches Rocket With 143 Satellites – The Most Ever Flown On A Single Mission
https://www.forbes.com/sites/jonathanocallaghan/2021/01/24/spacex-launches-rocket-with-143-satellites--the-most-ever-flown-on-a-single-mission/?sh=31c9085427fd

미국의 우주기술이 넘사벽임 ㅎㅎㅎㅎㅎㅎㅎ
죽여줘요 21-03-20 10:23
   
제일 싸게 먹히는게 케로신+액체산소 추진체인데 이게 추력이 약해서 추력 뽑을려면 액체산소+액체수소 방식으로해야하는데 안정성이 케로신에 비해 불안하고 비용이 많이 높음 추력에 디버프 걸린 케로신으로도 엄청난 추력 뽑아내는게 러시아 로켓기술
     
포케불프 21-03-20 10:32
   
맞습니다.

구하기 쉽고 안정적이고 무해?한 케로신을 사용하는 건 러시아 기술이죠.
     
포케불프 21-03-20 10:37
   
미국도 한때 러시아에서 RD-181엔진 수입해서 썼죠. 미러 갈등이 있을 때
푸친이 "걱정마 RD-181엔진은 공급해줄테니까 "라고 호기를 부리기도 했죠

미국은 이 RD-181엔진을 2개 묶어서 안타레스를 만들었고 ...근데 발사 실패
          
새끼사자 21-03-21 02:28
   
그 뒤로 잘 날리고 있지 않나요? 사실 구 소련 엔진을 받아 사용하는 건 아틀라스 로켓이지요. 지금도 잘 날리고 있어요.
현재 가장 무거운 중량을 쏴 올리는 로켓 중 하나 입니다.
               
포케불프 21-03-21 22:44
   
ㅇㅇ
죽여줘요 21-03-20 10:58
   
러시아 로켓기술의 핵심은 군사용 베어링 기술임 4개국만 제조가 가능하다는데

추력을 올리기 위해 한계를 넘는 과급기의 압력을 버티는 터보기술과 베어링 기술의 정점이 러시아 로켓기술

한국형 발사체에서 보이는 옆구리의 터보 냉각용 배기가스구멍도 러시아 추진체는 극도로 제한되어 있음 낭비되는

연료도 낮고 그만큼 과급기 냉각용으로 쓰여지는 연료가 없다보니 과급기의 내열 내압 성능은 상상을 초월

보통의 산업용 베어링은 로켓추진체 과급기의 무자비한 환경속에서 순식간에 고자된다고 함

러시아의 독보적 기술임 재질이 뭔지 어또케 만드는지 심하게 궁금
     
손이조 21-03-21 23:18
   
고급 베어링은 장기적인 내구성을 요구하죠.
로켓 발사 수준의 단기적인 내구성을 필요로하는 베어링이라면 중국도 가능할겁니다.
스핏파이어 21-03-20 11:30
   
한국은 이스라엘처럼 고체연료 탄도미사일을 사용할 생각 같더군요.
저궤도형 초소형 위성이라면 고체연료 탄도미사일로도 충분하다고.
무엇보다 필요하면 바로 발사가 가능하고 가격도 위성발사체치고는 매우 저렴해서 경제성이 갑이라고.

정찰감시 인공위성의 수명이 생각보다 엄청 짧더군요.
2~3년마다 교체해줘야 해서 해마다 수조원이 들어가는 사업이라고.
비용절감은 당연하고 위성발사 대행사업도 병행해야 하는 상황임.
어떻하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로켓을 발사하고 인공위성을 제작할지 고민이 많다고.
앞으로 한국형 KGPS도 구축할 계획이라서 매년 발사해야 하는 상황임.
중고인생 21-03-20 17:28
   
우리나라도 한방에 군사위성 다 올리고 민간위성 올리고 kgps위성까지 한방에 올려 놓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