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8-02-02 16:44
[잡담] 한국군 usb vs 미군 usb
 글쓴이 : 사오정5
조회 : 4,550  

1.PNG

4.PNG

3.PNG
그냥 가격 뻥튀기한 군납비리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rchwave 18-02-02 16:49
   
휴.. 제발 뻥치지 마세요.

저거 미 군용규격을 충족한 것이 아닙니다. 규격중 일부 항목을 만족한다는 얘기에요.

그것도 고작 방수 규격 하나만 충족한거네요.

충격에 강하다면서도, 충격 관련 미 군용규격 충족했다는 소리는 전혀 없죠 ?

그리고 한국의 군납 USB 메모리 가격올린 주범인 온도 범위 조건 충족했다는 소리 전혀 없죠 ?

미군용조건 어쩌고 썰 풀면서 광고질하는거에요. 고작 방수 하나 갖고 뭔..
     
내일을위해 18-02-02 16:59
   
이보세요. 질문하나할께요. 저 온도 조건에 맞는 usb개발이 비쌀까요?  아님 자동 폭파및 보안장치 보강된 자체브라우저낀 USB가 비쌀까요?  전자제품들 저온도 웬만하면 다 견딥니다.
          
archwave 18-02-02 17:27
   
-40 도에서 70 도 온도 범위 주변환경에서 전자제품들이 왠만하면 다 견딘다고요 ?

-40 도에서 70 도 이건 보관 온도 말하는게 아니라 전원 넣고 켜서 제대로 동작하는 온도를 말하는 것임.
               
내일을위해 18-02-02 17:32
   
보관온도와 동작온도에 대한 개념부터 알고오세요. 일일이 설명해주기 힘드네요.
                    
archwave 18-02-02 17:35
   
군납 USB 메로리가 -40 에서 70 도라는 것은 보관 온도 말하는게 아니고 동작 환경 온도 말하는겁니다.

님께서야말로 대체 무슨 말을 하는건가요 ?

-40 도에서 70 도 환경에서 멀정히 잘 동작하는 일반 전자제품 있으면 좀 말해보세요.
( 통신 장비,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 말고요 )
                         
내일을위해 18-02-02 17:40
   
고온 : 50도 이상에서도 작동

저온 :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작동

저온 저장 : 영하 40도에서 보관, 혹은 영상 63도에서 보관

하고 있다가 갑자기 영하 20도, 혹은 영상 50도 환경으로

옮겨서 작동시켜도 문제 없을 것
----------------------------------------------
발제 내용입니다.
                         
archwave 18-02-02 17:43
   
먼저번 글에 링크 소개된 것 다시 반복
http://www.dapa.go.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page=1&boardId=I_634&boardSeq=9601&id=dapa_kr_040300000000

온도조건 -40‘C~ +70'C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국방부의 공식 발표고요.

남들이 말하는 것, 링크하는 것 한번쯤은 체크하시죠.
                         
archwave 18-02-02 17:45
   
50 도 이상 환경에서도 동작하는 일반 전자제품이 뭐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 전기주전자 이런거 말고 IT 기기중에서 통신 장비, 의료기기, 산업용 장비가 아닌 것 )
                         
내일을위해 18-02-02 17:47
   
그걸 자료라고. 스펙이라곤 달랑 -40 에서 70이게 다.  차라리 발제글이 더 신뢰성이 있네요. 저 글은 그래도 스펙이라는 개념은 있는글이니까요. 관둡시다. 그래봐야 이해도 못할테니. 핸드폰, 카메라, 에어컨, 티비, 밥솥, 선풍기, 다리미, 공기청정기, 라디오 다 됩니다. 해봐요.  한 여름 뜨거운 태양아래에 주차해 놓은 자동차에서 라디오켜보고 네비켜보고 에어콘 켜보세요. 다 됩니다.
                         
archwave 18-02-02 18:37
   
자동차용 전자제품은 일반용이 아니라 거의 산업용 규격입니다. automotive 규격이 따로 또 있죠.

그리고 온도 범위 몇 도인지는 글마다 다 달라서 정확한 것을 파악하기 힘드네요.

다만 확실한 것은 일반용 플래쉬 메모리 칩 쓴거로는 영하에서 동작 보증 못 하고,
고온 환경에서 동작 못 한다는 것 정도죠. 이거로 얘기 끝임. 원가 자체가 다름.
                         
내일을위해 18-02-02 18:58
   
그럼 차에다 일반 유에스비 꽂아보세요. 그리고 한참후에 동작시켜봐요. 아무문제없이됩니다.  음악 잘 나옵니다. 난 라디오가 산업용이라는 말은 첨듣네요.
                         
archwave 18-02-02 19:02
   
포병이 한참 있다 하면 되니까, 온도가 영상 정상 범위 올때까지 기다리자 그래야 하나요 ?

자동차용 라디오는 일반 라디오와는 기준이 다릅니다.
자동차 전장품들 규격에 대해서도 좀 알아보세요.
                         
내일을위해 18-02-02 19:09
   
차안에 온도 뜨거울때가지 몇시간씩 두란 말입니다. 말뜻을 못알아 들어. 그럼 실내온도 7-80도는 거뜬이 올라갑니다. 그때 틀어보세요. 음악 잘나옵니다. 전 여름마다 격는 일입니다.
                         
archwave 18-02-02 20:31
   
자동차 내부 공기 온도가 70~80 도까지 올라간다고요 ? ^^;
                         
jeondeoksoon 18-02-04 00:20
   
한 여름 땡볕에  주차하면 영상 80도 까지도 올라 간답니다. 여름에는  가스 라이터 차량 내부에 두는거 삼가 하셔야 합니다
          
하나둘넷 18-02-02 17:28
   
좀 다시 알아보고 적으셨으면..

한국군납품분량은 전군 일선제대까지 납품되는 게 아닙니다.

군 BTCS체계 개발시 전용장비로 소량 시작품으로 개발 납품된 겁니다.
우리 거는요.

양산단위 제품개발시 메모리단가 등등 확인 해야겠죠?
               
내일을위해 18-02-02 17:38
   
네 맞는 말씀에요. 소량일경우 당연 개발비표션과 수율로인한 비용때문에 높아질수밖에 없어요. 인정합니다. 하지만 높아도 너무 높다는데 문제가 있는거죠. 통상적으로 시험원에 시험을 맡겨도 억대로 들러가지않습니다.  비싼 금형을 판다해도 유에스비처럼 작은건 아무리 정밀가공을 해도 얼마안해요. 절삭가공했다는데 m/c에 집어 넣으면 개당 몇만원 안팎?  설계를 안봐서 모르겟지만 그정도에요. 열선센서 다 넣어도 만원 안팎입니다. 제가 말하는건 높은건 맞는데 원가가 다 공개되는 군납제품특성을 볼때 원가 부풀리기가 없으면 불가능한 가격이라는겁니다.  제가봐선 기술적으론 진짜 별거없거든요.
                    
archwave 18-02-02 17:46
   
아래 있는 넷우익님이 소개한 미군 USB 도 좀 보세요.

한국의 군납 USB 메모리와 비슷한 시기인 2007 년도인데, 겨우 1 GB 짜리가 700 달라라는데, 미국도 한번 거하게 털어야 할 모양입니다. ^^;
                         
내일을위해 18-02-02 17:55
   
빈 노트북이랑 기본 프로그램깔린 노트북이랑 어느게 비쌀까요?  보안프로그램과 자폭프로그램등 안전장치가 깔린 노트북.
                         
하나둘넷 18-02-02 18:25
   
가격은 단품가격이 아니고!!!! 최소 십수년의 수명유지기간 동안의 
    유지정비비용 다 포함된 가격!!! 
    꼴랑 몇년 워런티보장 메모리들과 동일시 하면 안되죠. 

이 건을 터뜨리고 주목받으려한 전 딴나라당 의원 송영선씨  ㅋ 
진짜 어설픈 국방위원질 두고두고 생각나게 만드네요. ㅋ 

이것도 이전정부 시절인 2007년 사업 물어뜯으려고 일으킨 겁니다. 

전정부에 진짜 하자 많은 사업이라면 성역없이 까야지만 
보수가 진보를 진보가 보수를 그저 이전 정부 사업이라고 
밑도 끝도 없이 까는 거 보면 한숨만...ㅋ
     
KCX2000 18-02-02 17:13
   
아님 말고식으로 글 싸질러놓고 도망가는 인간이네요
너무 열받지 마세요. 토닥토닥~
archwave 18-02-02 16:54
   
그리고 그 당시 메모리 가격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지던 시기임.

한국의 군납 USB 메모리는 한 2007 년인거 같은데, 위의 글은 2011 년 메모리 가격.
4 년 차이면 그 당시 플래쉬 메모리 찹 가격은 10 배는 차이났을 시기임.

한국 군납 가격이 60 만원선이었다는데, 그 당시 위 글 사양 메모리도 4GB 면 그쯤은 했을걸요.
참치 18-02-02 16:55
   
이사건 논파된지가 벌써 몇년 전인데 아직도.. ㅎㅎ


닉네임을 보면 어그로 이신가??  일부로 사오정인 척??
넷우익증오 18-02-02 17:02
   
http://linuxdevices.io/ultra-rugged-usb-key-supports-linux/
이게 미군USB구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 Electronics는 실제로 방폭형 일 수있는 플래시 저장 키를 제공합니다. IronDrive는 군용 시장을 목표로하고 1GB 단위로 700 달러로 책정 된 IronDrive는 "습기, 진동, 충격, 가성 에이전트, EMI 및 핵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IronDrive의 더 크게 보려면을 클릭하십시오 )

IronDrive는 원래 HIMARS (고 이동성 포병 로켓 시스템) 발사기 용 미 육군 및 해병대 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오른쪽 그림에 나와 있습니다. A & D는 록히드 마틴사 (Lockheed Martin Corporation)의 허가를 받아 IronDrive를 제조한다고한다.

A & D에 따르면, 소비자 표준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드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IronDrive는 실제로 견고한 하드 드라이브 및 군사용 애플리케이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저장 장치보다 비용이 적습니다. IronDrive는 이미 테스트를 마쳤으며 "MIL 인증 장치"이기 때문에 테스트 및 평가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습니다. 목표 애플리케이션에는 현장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항공 또는 지상 차량 데이터 로깅,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임베디드 교육 시스템, 무인 차량용 데이터 레코더 및 미사일 용 원격 측정 / 비행 기록 장치가 포함됩니다.

Touted IronDrive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40 ~ 185도 (-40 ~ 85 ℃)에서 작동
-67 ~ 203 도의 보관 온도 (섭씨 -55 ~ 95도)
모든 방향으로 9G 충격
MIL-STD-810F 테스트 요구 사항과 "MIS-30225에 대한 핵 영향 테스트" 를 충족 시키거나 초과 한다고 회사는 말했습니다.
주장 된 MTBF (실패 사이)는 466 만 시간, 즉 5 백만 건의 쓰기 / 지우기 사이클
DES / 3DES, SHA-1, RSA, AES를 기반으로 암호화 된 파일 시스템 지원
IronDrive의 무게는 5.8 온스이며 길이는 4 인치입니다. 일반적인 커넥터 및 대형 금속 케이스를 제외하고는 일반 USB 저장 장치와 마찬가지로 작동하여 USB 2.0 장치의 "핫 플러그 ​​가능"특성을 유지합니다.
     
archwave 18-02-02 17:30
   
한국의 군납 USB 메모리와 비슷한 시기인 2007 년도네요.

겨우 1 GB 짜리가 700 달라라는데, 미국도 한번 거하게 털어야 할 모양. ^^;
KCX2000 18-02-02 17:12
   
대한민국 모든 군대 군납품이 비리라야 직성이 풀리는 뻘글이네요 쩝
리얼백 18-02-02 17:16
   
아이론키 성능은 이렇다네요.
< 출처: 아이론키 홈피 >
nterface: USB 3.0
Capacities1: 4GB, 8GB, 16GB, 32GB, 64GB, 128GB
Speed2:
USB 3.0:
4GB-8GB: 200MB/s read, 80MB/s write
16GB-32GB: 250MB/s read, 100MB/s write
64GB: 300MB/s read, 220MB/s write
128GB: 320MB/s read, 350MB/s write

USB 2.0:
4GB-128GB: 40MB/s read, 35MB/s write
Dimensions: 82.3mm x 21.1mm x 9.1mm
Waterproof: Up to 3 ft; MIL-STD-810F
Operating Temperature: 0°C to 70°C
Storage Temperature: -40°C to 85°C
Compatibility: USB 3.0 compliant and 2.0 compatible
Minimum System Requirements:
USB 3.0 compliant and 2.0 compatible
Two (2) free drive letters required for use4
IronKey EMS by DataLocker License from DataLocker Required (Enterprise Version Only)3
Warranty/support: 5-year warranty, free technical support
Basic model compatible with: Windows® 10, Windows 8.1, Windows 8, Windows 7 (SP1), Mac OS (v. 10.9.x - 10.12.x), Linux (v.2.6.x+)5
Enterprise model compatible with: Windows® 10, Windows 8.1, Windows 8, Windows 7 (SP1), Mac OS (v. 10.9.x - 10.12.x)
리얼백 18-02-02 17:17
   
Ironkey S1000 기준입니다.
     
archwave 18-02-02 17:32
   
Operating Temperature: 0°C to 70°C

위 문구 안 보이세요 ?
한국군이 납품 받은 것은 -40 에서 70 도 범위임.
게다가 내충격성에 대해선 일언반구 없구만.

군납 규격에 가까운 것은 달랑 방수 이거 하나뿐.
USB 메모리 방수로 만드는게 뭐 그리 어렵거나 비용 들기라도 하나.
          
리얼백 18-02-02 17:45
   
국산 MU-4K  소량 시개발품이라 비싼건 맞는데 유에스비자체가 성능이 유별난건 아니구요. 
 실제로 그냥 상용 usb 로 교체 했습니다.

 작동온도가 영하 -32 , 영상 50인게 아니라 저장온도 기준입니다.
군에서는 작동온도인것마냥 호도 될수 있게 썼으나.

  제품스펙에 영하 이하온도 작동 불능이라고 설정해둔것은 메모리 특성문제입니다.
 아이폰이 영하 이하 온도에서 먹통되는 이유랑 같습니다.

  때문에 완벽하게 방지가 안됩니다. 아이론 키는 그냥 정직하게 적어둔겁니다.
 
 아이론 키도 어느정도 내충격 설계 되어 있습니다. 아이론 키 자체가 보안 USB 상용제품 중에서 제일 유명한 겁니다.
 국무부에 남품했었던것두 사실이구요.
               
archwave 18-02-02 17:52
   
그 메모리 특성이란게 바로 일반 커머셜용과 산업용, 우주항공용등의 차이입니다.

애초에 메모리 특성이 아닙니다. 아이론 키가 영상에서만 된다 하는 것은 영상에서만 되는 스펙의 메모리를 써서 그런 것임. 애초에 군용과는 천만광년 떨어진 부품 쓴 것. 그러니 가격이 싸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년이나 늦게 나왔어도 가격이 무려 18 만원.

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포함) 들을 보면 고온 스펙도 다르지만, 저온 스펙도 다릅니다. 일반용은 0 도 이상에서 동작이고 산업용은 -40 도 이상에서 동작 이런 식이죠. 물론 온도 수치는 반도체 제품마다 다 각각.

플레쉬 메모리 칩도 산업용으로 나온 것은 영하에서도 얼마든지 동작합니다. 단지 칩 가격이 풀쩍 오르죠.

그리고 아이론 키가 국무부에 납품되었다는 것은 하나마나한 얘기입니다. 국방부에 납품했다면 모를까.. 국무부 납품의 경우는 보안 관련이 중요하죠. 군용 규격 지키는게 중요한게 아님.
          
리얼백 18-02-02 17:52
   
당시 상용 제품 저장온도 기준 -20, 영상 60, 성능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점을 의원이 지적 했고 작동온도라면 차이가 크게 차이 나는것이기 때문에 감사장에서 지적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archwave 18-02-02 18:39
   
지적할 이유가 없는데도, 기본지식도 없이 국회의원이 쇼한거죠.
          
리얼백 18-02-02 17:56
   
항공 우주용 usb 가 어디 있습니까 메모리 그냥 같은 메모리고 내부 환경 자체는 지구나 육상이랑 큰 차이가 없는 환경에서 운용됩니다. 

님은 비행기 타고 가면서 극한의 환경을 체험하시나보죠.
               
archwave 18-02-02 18:41
   
영하 수십도 상황에서 장비 켜서 동작시켜야 하는겁니다. 플래쉬 메모리 칩 자체가 일반용은 영상이라야 하는데, 이게 말이 되나요 ?
               
리얼백 18-02-02 18:50
   
아니 차량 안이 극한 환경은 아니지 않습니까.
비행기나 우주선 안에 온도가 70도 영하 40 이러지 않잖아요.
               
에리리리언 18-02-03 16:16
   
으아 항공 우주용 usb가 일반형이랑 똑같다뇨 ㅋㅋㅋㅋ
얘들 가지고 노는 rc카랑 f1 레이싱카가 동급이라고 하실분이네요 ㅋㅋ
항공우주용 메모리는 방사선입자에 의한 데이터변형을 대비해서
설계, 에칭, 에폭시 등등 몽땅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건 아시나요?
아! 고도가 올라갈수록 방사선입자가 증가하는건 알고 계시죠?
          
리얼백 18-02-02 17:57
   
이에 방위사업청은 군용이 성능에서 영하 32도~영상 50도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충격과 진동에 대비하여 모든 제작 과정을 자체설계로 인해 가격이 비싸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1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는 일반 상용 USB도 보통 영하 30도~영상 60도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별차이가 없는 것으로 청의 주장의 설득력이 없다.
               
archwave 18-02-02 18:42
   
반도체 메이커들은 왜 일반용 플래쉬 메모리 칩 동작 온도를 영하 이하는 보장 안 할까요 ?
                    
리얼백 18-02-02 18:56
   
평.범.한 플라스틱 쪼가리가 소재로 단열이 가능하리라 봅니까?

 평평하게 생긴거 아시죠? 단열 및 온도에 되려 취약한 구조입니다.
               
리얼백 18-02-02 18:54
   
님 특수한 경우의 작동온도 보장은 일반적으로 작동환경을 보장하는 쪽입니다.

서버실 ▷ 에어컨
기계 전자동 시스템 ▷환경 분리
군용 usb ▷ 소재를 이용한 단열

메모리 자체가 저항을 이용하고 저항값은 온도에 민감하게 작동해서 어쩔수가 없는거예요.
               
archwave 18-02-02 18:57
   
글쎄 그러니까 반도체 메이커들이 영하에서도 동작 보장하는 플래쉬 메모리 칩을 따로 더 비싸게 팔아먹는다고요. 그걸 쓰는 USB 메모리는 당연히 더 비싸고요.
                    
리얼백 18-02-02 19:08
   
그걸 따지기엔 상용시기가 안맞습니다. 2000년 초반이라면서요?
aec 100 같은 인증제도 자체도 2010년 안팍에 저온 말구 영하 상용제품은 2007 년 쯤엔 나올수 있었겠습니다만...

 2003년도께는 상용제품 출시 전입니다.
 개념은 나왔으니 소량 테스트로 찍어낼수는 있었겠습니다만..  성능은 담보 못할 수준일테고

 당연히 개발안에 상용전인데 고려 됐을리 없었겠죠.
                         
archwave 18-02-02 20:33
   
그럼 IronDrive 는 어떻게 나온건가요 ?
2006 년쯤까지 산업용 규격의 플래쉬 메모리 칩이 생산된 적이 없다는 얘기인가요 ?

플래쉬 메모리 칩은 구조상 영하에선 동작 못 한다는 그런 것이라도 있나요 ?
산업용 규격은 다 나왔었고, 산업용 규격은 영하에서도 동작 보증입니다.
바토 18-02-02 18:44
   
어짜피 똥은 똥만보임
된장이라고 해도. 똥으로 보이실분임
archwave 18-02-02 18:45
   
제가 어렴풋이 기억했던 것을 수정합니다.

문제가 된 USB 메모리 소요 제기가 2004 년.
군에 도입된 것이 2005~2007년.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4&num=200144
위 글도 참고하세요.
정말 비싼건지를요.
리얼백 18-02-02 18:48
   
단순 군납 비리 사건이 아니구요.

 제가 군납비리라고 주장하는것도 아닙니다.
성능이 일반 유에스비와 크게 차이가 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애초에 95만원 usb 이야기가 왜나왔냐면
해병대 2사단 쓰는 포가 가동율이 78%, 목표치 95% 미달한것에 대해 문제제기가 된겁니다.

 그 일부 이유가
육군하고 해병대하고 프로그램 호환이 안되서 가동율이 낮았는데 이유가 유에스비 획득비용이 95만원으로 책정되서 가뜩이나 가난한 해병대 입장에서는 사서 쓸 여력이 안 된다. ☜ 요거였습니다.

 국방위원이 성능 차이 일반용하고 차이도 없는데 그냥 일반 유에스비에 프로그램 복사해서 뿌려라.

 그래서 유에스비 획득비용 전액 삭감하고 일반 유에스비로 쓰게 된 일입니다.
참고로 프로그램 개발비를 국가에서 댔기 때문에 불법 복제는 아니였습니다.
     
archwave 18-02-02 18:52
   
군용 규격 고집할게 아니라 그냥 일반용 써라라고 했습니까 ?

처음부타 USB 메모리에 95 만원 방산 비리 이 따위로 떠들었으니까 문제죠.

그 국회의원이 군용이라서 95 만원인 것을 인정하고 나서, 비싸니 일반용 쓰자 이렇게 말했습니까 ?
테스크포스 18-02-02 18:53
   
이 글 그냥 내리면 안돼나요? 쩝
구름위하늘 18-02-02 19:10
   
애국심은 넘치지만 어설프게 알면 이런 글을 올리게되는 용기가 생기는 듯.
세라핌 18-02-02 19:43
   
방산비리 쉴더가 보이네요...해충들
꾸물꾸물 18-02-02 19:48
   
국방부는 아니지만, 과거 정부기관 프로젝트 하던 곳에서 한 파트 맡았던 대학원에서 해당부분 독박쓰고 처리했던 입장에서(별 말 없길레 우리는 빠진줄 알고 다른 프로젝트 진행중이었는데, 마감까지 3개월 남았다고 빨리 하라고 넘어옴... 이 말은 당시 한달안에 파트 완성하라는 소리... 토하는 줄 알았었던... 원래대로 하는 거였으면 반년가까운 시간동안 진행하는 스케쥴인데... 아무 말 없다가...-_-)...

비용집행 관련한 부분을 들여다보게되었는데... 비슷한 경우라면 저 납품가는 거짓일 수 있습니다.

어디서 읽어보니 저게 단품이 아니고(수량을 말하는건 아닙니다), 시스템의 한 구성요소로 되는건데...

입찰 혹은 비용보고서라해야하나? 그거 올라갈 때 맞춰서 올리지 않습니다. 마진을 따로 책정하기는 하는데

이건 보통 기준이 정해져 있는 편이기 때문에 구성요소 원가를 올리는 식으로 하죠. 나중에 이걸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뭐... 합법적인 방법이 되었건 불법적인 방법이 되었건 당사자들이 알아서 했겠고...

특정 부품이나 구성요소가 자기들 생각에 비용이 쎄다 싶으면 분산시킨다랄까요?

A, B, C, D, E 라는 다섯개가 구성요소일 떄 총 예산이 2,000만원이라고해보죠. (마진은 따로 했다치고)

실제와 같이 비용이 나누면

1,000 - 500 - 300 - 100 - 100

이렇다고 해보죠. 이게 조율하다보면 1,000 짜리가 까이는 경우가 없지 않죠. 그럼 이걸

700 - 500 - 300 - 250 - 250  이런식이거나

500 - 500 - 400 - 300 - 300 이런식으로 편차를 줄인다랄까?


하나의 구성요소로 만들어진 시스템이라면 더더욱 저렇게 분산시키기 쉽죠.
Dominator 18-02-02 19:51
   
뭐.. 획득가격이 60만원대까지 낮아졌다고 합니다만,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여전히 비싸다 생각할 수 있을껍니다. 다만..
일반 상용품을 밀스펙에 충족 시키다보면 가격상승 하는경우 꽤 많죠.
오디오케이블만 해도 1m당 12불이면 구할 수 있는 OFC XLR케이블을 동일한 회사에서 밀스펙으로 구매하면 1m당 75~90불로 훅 뜁니다.(Transparent Cable 기준)
거기에 페이즈 커렉션 박스라도 추가하면 250불 밑으로는 구할 수도 없어요.
1m당 가격입니다. 1m......
미 우주왕복선에 사용되던 스펙의 케이블은 한술 더떠서 1m당 490불정도 하죠...
물론 일반 하이파이 케이블중에는 1m당 15,000불 하는 케이블도 있습니다만, 이걸 일반인들에게 이해 시키기는 무척 힘든일입니다.
.
.
.
.
그리고... 당시 문제제기한 의원은... 더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겠습니다..
한강철교 18-02-02 20:12
   
식다못해 썩어버린 떡밥을 다시 가져오셧네
     
archwave 18-02-02 20:34
   
지금도 무기 뭐 개발한다 뉴스에 득달같이 달려들어서 USB 메모리 노래부르는 사람 넘칩니다.
불행히도 식은 떡밥이 아님.
페닐 18-02-02 21:04
   
2000년대 중반 나온 떡밥이잖어ㅓ.....
그 때쯤 상용 USB  SLC 인터넷 최저가 20만원 후반대 였거든....
게다까 꼴랑 100대 만들었나?..

아예 80년대 이백만원 하던 20메가 하드디스크 얘길 하지?...ㅉㅉㅉ
새끼사자 18-02-02 21:32
   
현재 차량용(공업용) 전자장비 표준 스펙 -40도에서 +85도 확장된 스펙은 -40도에서 +105도(125도까지도) 보관기준이 아니라  동작온도 기준입니다.
Crystal과 Capacitor류도 잘 선정하면 얼마 안들이고 만들수 있는 기준입니다. automotive부품이 comsumer부품보다 아주 조금 비쌀뿐이라서...
찾아보니깐 미군용 스펙은 -55도부터 +125도네요. 동작온도
     
구름위하늘 18-02-03 17:26
   
미군용스펙에 맞는 부품을 조립했다고 사용이 허가되는 것이 아니고,
만든 다음에 미군사규격(MIL-STD-810 같은 것)에 대한 제품시험과 인증을 받아야 되겠죠.
필요한 비용(시간, 컨설팅, 수수료...)도 고려하셔야함.
규격에도 한가지 항목만 있는 것이 아니니,
통과해야하는 규격 숫자와 생산량에 따라서는
제조원가보다 인증비용이 부담될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