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7-05-06 13:10
[잡담] 떡밥 하나 던집니다
 글쓴이 : JJUN
조회 : 3,384  

아랍에밀리트 1조 
이 이상은 말 못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JJUN 17-05-06 13:13
   
어라 이미 네이버블로그에 관련내용을 누가 썻네 ㄷㄷ...
아직 언론에 보도도 안됐고
회사내부에서도 계약검토중이라던데.....
가끔쓴다 17-05-06 13:22
   
링크라도...
     
JJUN 17-05-06 13:24
   
http://m.blog.naver.com/kkumi17cs1013/220997512289

들리는 소식통에 의하면

천무는 미국꺼 MLRS배낀거라 타국가에 판매하는게 굉장히 애매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법적검토를 하고 있다는....법적검토후 OK싸인 떨어지면 바로 계약.....
즉, UAE가 굉장히 똥줄 타고 있는 상황...님아 제발 좀 팔아주셈..현재 이런 모양세라네요....
          
가끔쓴다 17-05-06 13:26
   
감사합니다. 
mlrs도 결국..  방사포나 다련장의 아류작이라 생각하는데...
               
archwave 17-05-06 14:23
   
Multiple Rocket Launcher(MRL) =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MLRS) = 다연장로켓 = 방사포

원래 명칭은 MRL 이고 MLRS 로 불리기도 하는 겁니다.

다연장로켓은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고,
방사포는 북한어로 번역한 것임.
          
JJUN 17-05-06 13:27
   
물론 미국MLRS와는 달리
우리나라 천무는 클러스터/고폭 + 유도기능까지.... 여러가지 옵션으로 차이점을 보이나 원천적인 기술은 미국꺼라서 ㅎㅎㅎㅎㅎ......어떻게든 팔려고 법적검토하고 있다는데...
만약 법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기술료 지불하고서라도 팔듯해요.
               
가끔쓴다 17-05-06 13:30
   
안해줄꺼 같은 생각도 드네요.
미국도색을 바꾸면 AS안해준다고 우리 도색도 못하게 했던 장비인데...
          
archwave 17-05-06 14:32
   
미국 것을 배꼈다고 할 수는 없는데요.

미국제 라이센스한 것도 아니고 미국산 부품 쓴 것도 아니고 미국과 연관지을거라고는 형태가 닮았다는 정도뿐 아닌가요 ?

아이폰의 둥근 모서리 특허도 아니고, 닯았다는 이유로 미국의 태클 ? 말이 좀 안 되는거 같습니다.
               
JJUN 17-05-06 15:51
   
그렇게 단순한 일이 아닙니다.
방산 실무자들이 그렇다는데
님 생각이 옳다고 생각들지는 않네요.....

그리고 애초에 천무는 MLRS기술 들여와서 만든게 맞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주)한화가 M-270 MLRS를 위해 45km짜리 M26A1 무유도 로켓탄(국내명칭 KM-26A1)을 면허 생산하였습니다.
그런데 요즘 (주)한화에서 로켓탄체부터 시작해 구성부품 하나하나를 국산화하여 이에 대한 미국 인증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M26A1은 미국에게 기술적 권리가 있으므로 여기에 사용된 부품이나 설계를 교체할 경우에는 이를 통보 및 인증할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이해가시나요?
                    
archwave 17-05-06 16:29
   
이 문제는 님께서 잘못 이해하신 것 같은데요.

천무 시스템과 천무용 유도탄은 한국 개발인 것이고 수출하는데도 제약이 없는거죠.

천무용 무유도탄이 문제입니다. 과거 M270 MLRS 용 무유도탄 라이센스 생산하던 것을 활용하려고 하니까 문제가 생기는거죠.

만약 천무용 무유도탄을 한국 독자 개발하면 문제없습니다.
                         
JJUN 17-05-06 17:09
   
천무용 무유도탄을 독자개발하면 문제없습니다<<<<<<<<<<<
이미 국내개발했으나 미국에서 빠꾸 먹었습니다...
불발율 1%넘는다고.....(참고로 미국도 1%넘깁니다..) 더군다나(불발시 자체폭발 기능까지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말인즉슨, 미국측에서 자체개발을 의도적으로 용인치 아니한다는거죠...
아직도 개발(개량)중인것으로 아는데.... 미국도 못한 1퍼센트 미만....쉬울까요??
더군다나 무기체계란게 팔아먹을 시점이 다 있는것이지...주구장창 기다렸다 사는 국가는 없습니다...구매시기를 놓치면 다른것으로 대체하는게 보편적이죠...

더 자세히 얘기하면 처음엔 1%미만으로 통과했으나 사막 수풀 물가 등 테스트지역을 확장한 결과 1%넘어갔음.

거의 미국 강짜로 퇴짜 맞은 상황...
                         
hermitovers.. 17-05-06 18:42
   
JJUN//

>> 이미 국내개발했으나 미국에서 빠꾸 먹었습니다.

잘못 알고 있군요.
그건 국내 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이 아니고 미국 록마 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유도탄이었기에 미국에 검증을 의로했다가 불합격받은 겁니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을 도대체 왜 미국에 검증을 의뢰합니까?

자세한 것은 아래 글 참고.
                    
archwave 17-05-06 16:33
   
사실 M270 MLRS 무유도탄은 공중에 붕 떠버렸죠.

한국의 라이센스 생산 권리도 이미 끝남.
미국은 더 이상 안 만듬.

이런 상황이면 당연히 천무용 무유도탄을 한국 독자 개발해야죠.
사실 이거 개발비 들이기 싫어서 그런거잖아요.
                         
JJUN 17-05-06 17:10
   
개발비 들이기 싫은게 아니라 개발은 했으나 불발율때문에 미국에서 퇴짜 맞았습니다.윗글 참고.
                         
hermitovers.. 17-05-06 18:31
   
>> 개발은 했으나 불발율때문에 미국에서 퇴짜 맞았습니다.

님은 뭔가 한참 잘못 알고 있군요.
미국에서 불합격 통지받은 무유도탄은 미국 록마 기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습니다.
미국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한화에서 생산한 탄이었기에 미국에 검증을 의뢰했던 겁니다.

그레서 한화에서는 무유도탄을 국내기술로 개발하기로 입장을 바꿨고, 국내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은 아직 나오지도 않은 걸로 압니다.
국내기술로 개발하기로 입장을 바꾼 이유는 국내기술로 무유도탄을 개발하면 미국에 검증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님은 "한국이 무유도탄을 개발했으니 미국의 퇴짜를 맞았다"고 말하고 있으나 한화에서 국내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은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님이 말하는 것은 미국 기술을 바탕으로 한화에서 제조한 무유도탄입니다.

아래는 2015년 8월 기사입니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80409445194864
여기 보면 .... "군에서는 국내기술로 개발할 경우 향후 2년안에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라고 나오죠?
즉, 국내 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은 아직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무유도탄이 나오려면 올해나 내년이 지나봐야 알겁니다.
물대포 17-05-06 13:23
   
방산물자라도 파나요?
유이바람 17-05-06 13:23
   
뭔가요?궁금
오픈스트링 17-05-06 14:00
   
과거 2조원대 T50 실패한 경험이 있어서 잘 됐으면 좋겠네요.
대통령 까지 가서 자신있다 해놓고, 산업 협력 의정서인가 보냈는데
몇개윌 동안 답이 없어서 이태리 훈련기 48대로 대체 했다고 김형오 의장에게 왕세자가 말했었죠.

이번엔 그런 우를 범하지 않길 바래야죠.

근데 미사일이라면 군납품 외의 수량은 추가생산 못하게 되어있지 않은가요?
혹시 FA 50 아닐래나요.
샤토라피트 17-05-06 14:29
   
미국제 M270 생산이 중단된지 꽤됬죠. 사고 싶어도 중고만 남아있죠. 강력한 화력에 경쟁력이 아직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매자가 사고싶어도 못하는 무기체제가 되버렸습니다. 이후에 나온 하이마스는 기동성에만 치중해서 화력이 부족하고요. 천무가 국제무기시장에서 관심받는 이유도 서방에서 M270 MLRS를 대체할만한 무기가 없다는 점도 크게 한몫하는것이라 봅니다.
     
KCX2000 17-05-06 14:34
   
재미있는 소식인데요
그럼 미국이 개발했다가 후속품이 비싸거나 아예 없으면 우리가 개발하면 되겟네요
그놈의 돈이 문제겟지만 ㅎㅎㅎ
     
앙드레봉 17-05-06 15:17
   
미군의 포병이 크게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미공군이 너무 압도해버리니깐 포병이 크질 못하는듯여
자주포 사업도 접었던 이유도 마찮가지고여
하긴 뭐  초반에 제공권을 장악해서 폭격과 미사일로 조지고 시작하니 포병이 보병 지원정도로만 역할이 축소된듯
서울뺀질이 17-05-06 15:23
   
이것도 팔려야 하는데.  행운을 빕니다.
시망의추억 17-05-07 11:57
   
천무나 기타 전세계 다연장포나 방사포의 기원은 조선시대 신기전.
폭스원 17-05-08 12:30
   
방산수출 너무 반가운 단비같은 존재
잘 해결해서 수출됐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