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7-25 20:48
[해군] 만화에서 나오는 무기. .
 글쓴이 : busuza33
조회 : 3,357  

코드기어스라고. 만화가 있습니다.
그중 한장면이
물속에서  메탄하이드레이트 를 터뜨립니다.
 거품이 막올라오더니..
 물위의 배들을 모두 뒤집어지더군요..
 
이거 무슨원리인가요??
만화는 만화일 뿐인가요??
 
독도에도. 메탄하이드레이트가 있다고 하고... 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가끔쓴다 13-07-25 20:55
   
물속에 기포가 많아지면..  공기로 인해..  부력의 낮아진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배가 가라않는다는 군요...

버뮤다 삼각지에서 배가 사라지는 원인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버뮤다 삼각지에서는 기포를 내뿜는 가스가 바닷속에서.. 나온다더군요.  그게 특정지역에 많아지면.. 그지역 배가.. 가라앉는다는...
쿠르웰 13-07-25 21:08
   
과학원리를 알면 간단합니다.

그냥 철덩어리를 바다 위에 띄우면 가라앉습니다.
하지만 똑같은 철덩어리를 넓게 펴서 바다에 띄우면 뜹니다.

이유는 밀도 때문입니다.
똑같은 질량이지만 부피가 작아지면 밀도는 커지고 반대로 부피가 커지면 밀도가 줄어듭니다.
배가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바다 위에 뜨는 것입니다.

그냥 철덩어리는 바닷물보다 밀도가 높아서 가라앉지만
이걸로 배를 만들면 부피로 인하여 바닷물보다밀도가 낮아서 물 위에 뜨는 것이죠.
(넓어진 부피만큼 공기가 차지하는데 공기의 밀도가 바닷물보다 낮기 때문에 물에 뜹니다.)

->다른 예를 들면 그냥 물인 경우(온도가 4도 기준)밀도가 1인데
똑같은 물을 얼리면 물의 구조결정상 부피가 커집니다.
덕분에 똑같은 질량이라도 얼음이 액체상태일때보다 부피가 커지면서 밀도가 줄어들고
물위에 뜨게 되는 것이죠.
(얼음일 상태일 때 일반적으로 0.9입니다.)




그런데 메탄하이드레이트, 그냥 간단하게 가스가 분출되면
가스의 성분들이 바닷물에 융해되고 또한 기포로 인하여 그 지역의 바닷물 밀도가 갑자기 낮아집니다.
그리고 가스가 분출된 바닷물의 밀도가 배보다 더 낮아진다면
배는 부력을 잃고 그냥 가라앉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메탄가스의 경우에는 그냥 공기보다 밀도가 2배 더 낮습니다. 그만큼
배는 부력을 쉽게 잃어버립니다.)

그걸 이용한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