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8-05 16:25
[영상] 국과연 영상에 나온 무인수색차량
 글쓴이 : 노닉
조회 : 3,352  



기동하는 모습은 영상 2분51초 부터 나옴....


ADD가 개발하고 있는 이 무인수색차량은 안테나가 달린 통제차량에서 조종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전기구동방식으로, 자율주행도 가능하게끔 개발하는 중이다.

바퀴 6개가 독립구동을 하며, 제자리 선회를 할 수 있다. 속으로 '하나, 둘'을 세기도 전에 180도 회전을 하는 무인수색차량의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

ADD 관계자는 "무인수색차량은 야지, 비포장 도로에서의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며 "전술적 상황 변화에 따라 자율주행 경로를 수정, 보완해서 작전에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narchist 20-08-05 17:37
   
뽀대나네..미제 차량 분위기를 풍기는데..
바라배 20-08-05 18:48
   
쬐금 더 나온 영상
https://youtu.be/L9gLu7_N5Ww?t=63
수염차 20-08-05 19:13
   
제자리 360도 회전은 대박이엇음....
nigma 20-08-05 19:15
   
흠, 자세한 사양과 기능은 알 수 없으나 유사시(적의 제밍으로 인한 통신 장애 등등...) 대체할 유선 모드 기능을 별도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잠깐 보니, 출발 정지시 노즈업/다운이 있는데 조준이 흐트러지지 않게 개선해야할 것 같네요.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는 지 모르겠으나 운전과 조준을 한 사람이 동시에 하기는 힘들 것 같은데 정차한 후에만 무기를 쓸 것이 아니라면 2인 운용이 되려나요?
제 생각엔 어떤 방식이든 기본적으로 영상인식 표적 설정과 추적 기능을 넣으면 위 문제들이 다 어느정도 해결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기사 잠깐 보니 ADD가 우천으로 레이저 요격 실험을 못해서 아쉽다고 했는데, 제 볼 적엔 그게 바로 약점이고 개선을 하거나 다른 대안도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맑은 날 1.5~2km 거리의 로켓이나 미사일 요격이라... 좀 더 출력이 세야하지 않나 싶은데... 조그만 드론정도라면 모를까 유효거리가 너무 가까운 것 같고고  더 멀리, 더 짧은 시간 조사가 되야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날을위해 20-08-05 19:30
   
이쁘게 생겼네 @.@
태지2 20-08-05 20:31
   
첫번째 사진에서 왼쪽에 있는 높이를 올릴 수 있는 감시정찰장비를 적극 활용했으면 합니다.
사람이 발견하기까지의 시간이 있고 적외선과 기타 기술로 사람을 분별하기 까지의 시간이 있고, 더 빠른 것 같습니다....

K2탱크에도 흡기 통구와 동영상 카메라 달아서 물 속에서도 기동력을 높이는 것을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피습 당했을 때를 생각 하면 차폐하고, 일정 크기의 산소통이 있고, 전기 구동으로 가는 탱크?

아직 가격이 비싼 것 같은데... 군 수요에서... 많이 만들어서 저렴하게 많이 활용, 이용 했으면 합니다.

뒷 돈 방지 문제는 더욱더 네트워크화 하여 방지 하였으면... 하고요.
rozenia 20-08-09 04:21
   
무인차량에 기관포탑재하고 상부에 최소4기에서 6기이상의 프로펠러4개짜리  중소형 드론을 경납했다가 띄워서 세부 수색을 해야함

어차피 최종적으로 무인차량의 가장 큰 활용도는 시가전이 될거고

최초 적영역에 도달했을때 투과열영상감지기와 금속탐지기로 장갑차에서 기본정보확인하고 중소형 프로펠러드론이 건물안을 수색하는게 미군이나 우리나 드론자체의 목표치임

투과형 열영상감지 능력이 현재보다 월등히 뛰어나게 되면 당연히 그조차도 필요없어지겠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