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6-10 14:16
[기타] 의외로 국군 보급계획에서 효율적인 부분
 글쓴이 : 노닉
조회 : 2,315  




결론적으로,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기 시작하는 지점인 현재 전시 편성 (기준)이 효율성 측면에서 최적값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효과 및 효율성 분석결과를 통한 전시 편성의 적절성 분석 결과, 탄약・수송・정비대대의 현재 전시 편성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략)...


현 편성에서 각 중대를 한 개씩 감소시켰을 경우 해당 전시소요를 충족시키는 데 크게 제한됨으로써 군단 전투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대로, 현 편성보다 증가시켰을 경우에는 전시 초기 수행해야 할 임무에 비해 잉여 병력이 발생함으로써 군단 전투력 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저조한 평시 편제율로 인해 군지여단 창설 이후 방어작전 단계에서 군단에 원활한 작전지속지원 보장이 가능할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작전지속지원분석모델을 활용하여 군지여단 예하 탄약, 수송 및 정비대대의 전시 편성의 적절성을 분석해 본 결과, 효율성 측면에서 현재 군지여단의 전시 편성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이 되는 현재 편성에서 전시 부대 편성을 감소 시에는 군수성과지표 및 전투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반면, 전시 편성 증가 시에는 효과가 소폭만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시 조기 증편이 군수 성과지표와 아군 전투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송대대 조기 증편 시, 수송지원율은 3.35%, 군단 주요 전투부대 전투력은 2.13%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정비대대 조기 증편 시, 장비정비소요시간은 4.39%, 군단 주요 전투부대 전투력은 0.84%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효율성 측면에서 수송대대 조기 증편은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겠다. 


출처 :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군지여단 적정 전시부대편성 및 최적의 운용방안 분석

국방정책연구 제36권 제1호・2020년 봄호(통권 제127호)


의외로 시뮬레이션을 돌려본 결과 현 군지여단의 전시 편성 자체는 양적으로는 크게 문제없다고 결론이 나옴

대충 양적으로는 문제 없으니까 질적인 향상이랑 더 효과볼수있는 전시 조기증편쪽이나 집중하라는 내용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69122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창원남 22-06-10 16:26
   
제가 있던 부대는 훈련평가 받을때 장비가 없어서 맨날 다른 사단에서 장비 빌려왔는데,., 전쟁나면 어찌 될런가
     
도나201 22-06-10 20:15
   
대부분 없어서 빌려 왔다고 생각하는데.
아닙니다.
A급 보유량 확보가 우선이기에  손댈수 없는 물품이 따로 있습니다.

전시에는 바로 보급이 될겁니다. 
즉, 전시 보급물자는 절대로 손을 대지 못하는 물품 보급품이 있습니다.
zaku 22-06-11 08:51
   
통계는 조작이 쉬워서

특히 군통계를 믿을 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