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4-14 20:41
[영상] 국방분야에 최우선 적용해야할 차세대 밧데리 기술_ "(주) 그리너지"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2,335  

2017년   국내 중소기업으로, 현대 자동차,  애플 , 테슬라 etc  전기자 연구 개발에 참여한  방성용 대표와  각분야 전문가로 인정받은  한국인 연구개발 인력 중심의  회사 입니다.   
5년간  네덜란드에    LTO 밧데리  2000개  이동형 밧데리 저장장치 수출 예정으로, 
핀란드 현지법인 설립 준비단계 입니다.

육,해,공군  기갑(레이저, 전열화학포)함정,잠수함,항공기 모두 적용가능 
세계 최초,  신개념    국방분야 우선하여, 국가안보 차원에서   기술 유출 엄격 관리해야 ..
  ADD내에   해당 기업 입주 시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도 가지게 됩니다.  글로벌 전기 자동차 시장 밧데리 공급 목표로  국내에서 투자 유치 진행중 ~  (  외국 자본 투자 경계해야..특히 중국계 자본) 
  해당 밧데리 기술을 접목한  방산 시장 규모가  전기자동차 시장보다 더 크지 않을까요??   

리튬 밧데리의 가장 큰 단점은 폭발성 입니다.
차세대 LTO밧데리로    일반적인 리듘밧데리의 음극제 소재인 흑연을 대체하여  LTO 음극제 사용이 핵심입니다. 

이로 인하여,  영하 30 도 에서도  충전,방전이 가능하고 
영상 400도 이하에서는 불이나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고 소개 합니다. 

밧데리 수명주기  기존 리듐이온 밧데리의 7배 ~10배 
출력성능은  3 배로 높아졌고 
충전시간은 1/10로  줄어 들었다. 
기존 리듐 이온 밧데리에 비하여 무게, 부피  1/3 수준
...................



군전력 강화.jpg



회사의 개발목표로 추정됩니다.
 LTO 전지

-. 밧데리 수명 10배 이상 증가 (교체주기 10 년에 1회) 
-. 무게와 부피 1/3로 축소
-. 충전시간 50배 이상 빨라져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므흣합니다 22-04-15 03:31
   
단점이나 문제점은 없나요?
archwave 22-04-15 04:52
   
https://www.kaja.org/1458275600/?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8839297&t=board

위 기사 일부 인용

LTO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는 낮으나 빠른 충전 속도(10C 기준 6분), 우수한 저온 성능(-30도), 강한 출력(10C), 긴 수명(7,000회 이상)등의 우수한 동작 성능과 높은 열 폭주 온도(400도 이상)으로 폭발 및 발화 위험이 없는 고 안전성으로 군수, 철도, 항공, 조선 등의 분야에서 기존 배터리를 대체하는 판단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도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높은 충방전 성능이 요구되는 부분에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본의 도시바(각형)와 한국의 그리너지(파우치형)가 양산화를 성공하였으며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archwave 22-04-15 04:56
   
LTO 배터리는 나온지 꽤 오래 되었고, 중국 소매시장에도 많이 나와있죠. 딱히 신기술이라 할 물건은 아닙니다.

심지어 4 년전에 LTO 배터리를 사다가 자동차시동용으로 시험해본 사람도 있네요.
( https://m.blog.naver.com/mr2park/221333084296 )
리튬인산철 배터리에 비해서도 에너지 밀도가 떨어짐.

참고로 LTO 배터리, 리튬인산철 배터리 두 가지 다 거의 중국이 꽉 잡고 있다시피 하는거고,
LTO 배터리는 최근에야 한국과 일본이 양산 시작했다 이렇게 보면 되겠고요.
archwave 22-04-15 05:04
   
회사의 홍보 자료란 것이 원래 자사의 것은 최신품, 다른 기술은 비교적 오래 되었거나 평범한 수준의 제품을 비교하는 식이 많은데, 위 글에 나온 자료 역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 하는 것 같네요.

특히 [ 무게와 부피 1/3로 축소 ] 이건 뻥에 가깝습니다.

LTO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는 물론이고 리튬인산철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는건데요.
( 리튬이온 > 리튬인산철 > LTO )

충전 속도가 빠르다는 것에서 짐작하실 수 있듯이 방전도 빠르게 할 수 있어서 순간 방전 전류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에너지 밀도가 떨어지지만 순간 방전 에너지 밀도는 크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위 글에서 [ 무게와 부피 1/3로 축소 ] 라는 것은 [ 동일한 순간 방전 능력을 내는데 필요한 배터리 무게/부피 ] 를 줄인다는 의미죠. 그래서 완전한 뻥은 아닙니다. 단지 조건을 안 써놨을 뿐..
archwave 22-04-15 05:12
   
https://m.etnews.com/20160517000294

위 링크는 6 년전에 한국에서 LTO 배터리 탑재 전기버스를 개발했다는 기사입니다.
밀덕달봉 22-04-15 07:51
   
이 분야는 오히려 스트론듐을 이용한 핵열전지가 대세일 수도 있습니다.
배터리 다는것보다 작은 부피의 열전지로 전기 공급하고 열화우라늄 장갑이나 납으로 이중삼중 포장해서 전차같은 엔진 데크에 넣어서 바나듐전지 같은 애들이랑 하이브리드로 쓸 가능성도 있죠.
아무래도 미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저출력의 저농축 저방사능 원자력을 이용한 차세대 소형 원자력발전기에 큰괌심이 잇으니 레이져는 배터리뿐이 아니라 저런식의 소형원자로 출력장치들의 결합이 필연이 될 겁니다.
우리도 꽤 진척이 이루어졋고, 위성부터 달면 기동차나 심해잠수정등에 적용될거니 이런것들이 전차나 장갑차에 적용되는 시대가 곧 도래합니다.
     
archwave 22-04-15 08:37
   
핵열전지는 낮은 부하, 매우 긴 장기간 운용에 알맞는 방식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군용으로는 거의 쓸 일이 없는 물건이죠.

바나듐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개발한 회사조차 차량용으로는 못 쓴다고 하는 물건이죠. 무게/부피 제한이 사실상 없다시피한 컨테이너선 같은데서 쓸 수 있다는 말을 개발사 자신이 할 정도인데, 이걸 군용으로 쓴다고요 ? 어림없습니다.

기술적 사항들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 하고 그걸 바탕으로 꿈꾸기 시작하면 곤란합니다.
과부 22-04-15 08:09
   
이런 기사를 100% 믿으면 요즘 암으로 죽는 환자가 나오면 안됨.
대머리도 있으면 안됨.
실제 기술보다 홍보가 전부인게 많다는.
삭은이 22-04-15 10:10
   
LTO 는 내열, 충방전 횟수가 높지만 사용 구간 전압 강하률이 크고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인기 있는 제품은 아닙니다. 가격이 높고 밀도가 낮다는 것 때문에 저렴한 배터리 + 열관리 시스템을 넣는게 일반적이죠. 충방전 횟수로는 인산철 배터리도 충분히 높고 삼원계도 이젠 어느정도 따라온지라 자주 정비를 하는 함정 같은 경우 큰 의미가 없습니다. 교체 비용을 생각해야 한다지만 LTO는 초기비용이 비싸잖아요?

또한 높은 C수치 + 내열 성능은 잦은 충방전을 하는 하이브리드 장비엔 좋지만 잠수함이나 함정 같이 장시간 충전-장시간 방전을 하는데는 그다지 의미가 없습니다. 10분(6C)내 충전된 모든 에너지를 써야하는 환경엔 좋지만 1시간(1C) 10시간(0.1C) 동안 배터리를 가동시키는 대용량 축전 환경에선 의미가 없죠.

해상 장비들은 밀도가 매우 중요하고 냉각이 수월한 환경이라 최대 밀도로 가는는게 맞을 겁니다. 요즘 삼원계 배터리도 1000 사이클까지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매일 전체 용량만큼 써도 3년이고 3일 단위로 충방전이 이뤄지면 10년을 쓸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