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4-21 16:29
[잡담] 우리는 "포병"
 글쓴이 : 자바커피
조회 : 3,129  

미군이나 영국군이 중동에서 게릴라에게 공격을 받고 공군지원을 요청하고 지원받기 까지 평균 20분 소요. 

뭐 게릴라들의 화력이 낮고 사거리가 짧으니 소총 사거리 밖에서 견제하며 시간버는 식으로 교전하면 된다지만


우리나 북한군이나 서로 대놓고 즉각적인 포화력 지원이 날아오는 체계라. 
분대규모의 정찰이나 소대규모의 위력정찰에서 적 발견하고 교전들어가자마자 통상 3분 이내로 60mm 부터 날아와 꼽고 곧이어 후속타로 81mm 꼽을텐데...


중대/대대급 숙영지라도 발견했다 치면 대놓고 155mm 십자포화가 쏟아질테고... 


솔찍히 초반 갱도포에 어쩔수 없이 당하는 초반공격 뺴고

제공권 잡고 우주/고고도/중고도 다방면으로 무인기 정찰정보 수집해서 대규모 병력집결지에 핀포인트로 미사일이 학살

중/소규모 교전에서는 기계화 잘된 한국군이 유리하고 산악전에서조차 포를 사람이 끌고 올라가야 하는 북한보다 헬기로 산꼭대기에 105mm 손쉽게 올려 놓고 화력지원하는 우리가 월등히 지원화력이 우세하고... 

쓰고 보니 러시아 교리일세.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일혼 15-04-21 17:58
   
뜬금없지만, 우리나라 부사관들이 좌표계산 잘할지 궁그미...
부사관들 보면 노답이던데.... 포병아니고 일반보병 부사관들 잘하나요??
1개분대 정찰나가서 과연 지원포격을 과연 어떻게 할지,,,
관측을 부사관나오면 다 배우나요?? 부사관들은 1년에 몇번씩 관측이런거 훈련받나요?
저는 일반병(육해공군)을 나오지 않아서,, 위성?으로 무튼 전국에 다 통하는 걸로 썻는뎅...
옜날 피처폰보다 살짝큰정도
미국A 모 회사 제품... 일반병들보면 뒤에 무지 큰 무전기들고 하던데 그거 진짜 잘되나 궁금했음....
     
81mOP 15-04-21 18:39
   
60mm 박격포는 사거리가 짧아 관측병이 필요없이 운용되고.
81mm 박격포는 요즘은 도태되는 중이라는  m29a1 기준으로 유효사거리 1500m에
 최대 사거리 4737m로 소대내 관측병(병사)을 운용합니다.
그리고 지금 도태중이라는 4.2인치 박격포도 관측병(병사)를 운용하죠. 포병도 관측반에
관측장교와 관측병을 운용을 하구요.
또한 전시엔 전체적인 표적좌표를 공유하게 됩니다. 그리고 하사관만 관측하는게 아니라
일반적인 장교들 또한 관측을 하고 좌표를 뽑을 줄 알죠.
물론 그걸 주특기로하는 병사나 관측장교보단 덜 숙달 되었을지라도 가능합니다.
          
사통팔달 15-04-21 18:47
   
이제 81미리는 경량화및 디지털화 하기로 해서 몇시간 교육하면 쏘는데 문제 없게 만듭니다.
미국은 120미리 박격포에다가는 이미 운용하고있죠.
               
자바커피 15-04-21 18:49
   
지금 있는것도 사격제원 계산기 하나만 달아줘도 좋을텐데 말이죠.
               
81mOP 15-04-21 19:05
   
경량화 디지털화와 관계 없이 관측은 박격포가 못합니다.
사격제원 입력은 디지털화로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할 순 있지만
사격 좌표는 관측병 혹은 관측장비(레이더, 혹은 기타 관측장비)등으로 할 수 밖에 없죠
또한 전시 상황에선 실제 전장에 있는 병사들이나 간부들의 관측력이 더 필요합니다.

즉 관측병/간부의 관측능력과 포(무기의)성능은 다른 것이란 의미죠
                    
사통팔달 15-04-21 19:12
   
휴대용 다기능 관측기 이번에 개발한게 있어서 그래요.삼성탈레스에서 개발해서 수출까지한게 있는데 우리나라에선 안쓰다가 개량계획도있고 포자체도 우리나라 이제다 디지털 사통 쓸계획이라서 이번에 보급할 모양이죠.105미리 견인포도 자주화한것도 있고 155미리 견인포도 후에 자주화하면 옛날 같은 방식 사격방식 포는 치장이나 예비군이 쓰겠죠.
                         
81mOP 15-04-21 19:36
   
그렇군요. 전방관측 정보를 공유하는 그런 장치인가 보군요.
그런건 몰랐네요.
     
자바커피 15-04-21 18:43
   
조금 다른 이야기긴 한데요...

우리군의 경우 직할부대작전인경우... 위치나 작전지를 상급부대에서 알고 있습니다.

소대장이나 부사관, 분대장급등 좌표딸수 있는 인원이 모두 사망했더라도... 바로 뒷단의 부대에 화력지원 요청을 하면 격자좌표 모르고해도 대충 지형이나 위치파악힐수 있는걸 불러주면 초탄이 발사됩니다. (사격지휘소가 병따개들이 아니라면)

초탄의 탄착을 보고 좌우상하 거리 불러주면 다시 수정탄이 날아 옵니다. 

제대로 꼽히면 거기에 전탄사격이 꼽힙니다.
          
81mOP 15-04-21 19:10
   
전장이 고정된 지역이라면 맞지만 전장이 이동한다면 좀 다른 이야기가 되겠죠
          
라엘라 15-04-21 20:18
   
이동시에도 수정탄 1발 말고 효력사 수정임무로 하면 충분히 제압 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진실게임 15-04-21 20:28
   
휴대전화에 다 GPS 있는 시대라서 간단한 앱 하나만 만들어 깔게 하면 좌표 문제는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