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3-07-29 09:59
[잡담] 레드백이 국산화율이 낮아도 수출하려고했던건...
 글쓴이 : 홍콩반점
조회 : 3,292  

시장개척개념이 더 큰거 같네요.
우선 활로를 넓혀놔야 제3 국가에 팔때도 플러스요인이되니깐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user386 23-07-29 10:12
   
장기적인 시각으로 넓게봐서 시장개척 이라는 관점에서 그렇게 볼 수도 있으나...
아시다싶이 전차, 장갑차, 그 이상도 자체개발 생산하는 우리나라가 기술이 없어 짜집기한것이 아니라...
그냥 발주국의 요구성능을 빠른 시간안에 맞추다보니 그리 된것으로 압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727500022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수출용으로 최초로 기획·개발한 무기체계인 레드백은 자주포와 장갑차 등 지상장비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으로 개발됐다. 통상 국내 군의 소요에 맞춰 개발하는 것과 달리 처음부터 해외 수출을 목표로 상대국이 요구하는 사양을 빠른 시일 내에 맞춰서 전략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출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
그래야 수주전에도 유리하테니... 독일 라인메탈사 제품보다 가격은 높았으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결과만 봐도 뭐...
     
ravana 23-07-29 12:08
   
엄청나게 긍정적인 시각이시네요
그게 그 얘기 아닌가요?
발주국 요구성능을 맞출 기술개발이 다 되어있다면 국산화율이 낮을 수가 없는 거잖아요
뇽가뤼 23-07-29 10:33
   
그렇죠

국산화율이 낮아도... 가장 중요한게 체계통합이고...이게 제조사로서 남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 되죠...

포탑이나 아이언비전은 실제 국내 산업기반으로 개발 가능한 부분이고...

당장은 채택이 우선이라 국제협력 프로젝트가 되는거고...
국내도입시에는 훨씬 국산화율이 올라 갈 수 있고,
이미 호주채택으로 다른 국가 판매시에는 국산화를 통한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부분이죠...
     
대팔이 23-07-29 10:46
   
국산화율이 낮아도 체계통합 젤 잘하는 나라가 터키죠..
그렇게 계속 주물럭대다가 하나둘 국산화율 높여가는 테크트리 타고있죠..
          
도나201 23-07-29 14:22
   
누가 터키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체계통합을 잘한다고..  개소리 하지마쇼.

터키의 방산구조를 보면 이미 끝난상황임.
               
대팔이 23-07-29 21:04
   
이넘은 맨날 근거도 없이 뇌피셜로 횡설수설하는 새끼가 뭐래? ㅋ
피싱맨 23-07-29 10:53
   
레드백은 호주가 지목한 기술로 주문제작 한거라 국산화 비율이 낮을수 밖에
없음.
현재 레드백에 사용된 기술을 국산화할 기술력이 없는것도 아니고 지명도 있는
영연방국가에 첫전투장갑차를 팔았다는게 더큰 의미임.
도나201 23-07-29 14:28
   
레드백의 핵심은  자체설계능력을 배양했다라는 것임.

원체 무기개발자체가 한정적이였던 우리나라에서  일종의 국가의 간섭없이 원없이 자신이 원하는대로 개발했다라는게 핵심임.  이정도성능을 만들수 있다라는 것보다.

이런것들로 이렇게도 할수 있다라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임.

사실 지금 as21 관련한 신기술들은 전부 국산화가능한 상황이고,  화기관제장비 관련 국산화는 전부 끝난상황이고,    지금 최신기술을 적용한것은  고무궤도 인데..... 이것도 40톤이하 는 개발이 끝난 상황임.
47톤급 의 적용기술을 현재 개발중인 상황이고,

문제는 이러한 모든장비를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제가 남았는데.  이부분은 좀더 기다려야함.
현재 화기관제장비 및 sw킬  하드킬 장비  운항장비등등  모두를 통합하려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음.

이번 미국의 차세대장갑차량사업에서  탈락한 이유가 이러한 통합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비전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임.    이미 에이젝스선정으로 가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듯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