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1-12 16:50
[해군] 활주거리가 긴 항모는 어떨가요?
 글쓴이 : 음식남녀
조회 : 1,573  

활주거리가 긴 항공모함을 건조하면 어떨가요?

목적... 탑재기 선택 용이와 이착륙 최대 거리 확보  
        유지비 적은 탑재기 선택
        마라도함 4척의 건조비용 들 듯 하네요 ! 

전장... 450m + 전폭...45m /  탑재공간...중형 항모급 (유류 저장고와 무장창 공간 최대로)  
(갑판면적...20.250m² +)         평갑판(스키점프 없는)

참고로 F- 50A 이륙거리가 345m 라네요~!


*[마라도함]
전장...199m / 갑판 전폭...31m  / 최대 속력...23노트
(갑판 면적...6,169m²)
건조가격... 4,175억원

*[제랄드 R. 포드급 항공모함]
전장...337.1m  /  갑판 전폭...78.02m  /  최대속력...30노트 이상
(갑판면적... 26,300m²)

*[랴오닝함]
전장... 315m전폭....75m / 최대속력 ...31노트 
(갑판면적... 23,625m²)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booms 21-01-12 16:55
   
그렇게 길면 급속 선회를 어떻게 하죠?? 화물선이야 냅다 크게 만들수있지만 급기동을 할수도있는 전투함은...

전재가 활주거리가 길면 함재기 탑재 여유가 늘지 않을까라 생각이 드시겠지만 어차피 항모에 운용하는 함재기는 공간활용을 위해 날개를 접고, 재염과 스키점프, 사출기, 랜딩 등을 위해 보강작업이 들어가야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수직이착륙기 아니면 착륙을 못해요.

그러니 항모에서 쓸꺼면 함재기타입으로 개조를 해야하는데 그렇담 굳이 활주거리 확보 때문에 키울이유보다는 많은 함재기를 많이 집어넣어 작전수행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걸로 귀결이 되죠.
야구아제 21-01-12 17:00
   
미국도 30년 뒤에는 지금의 항모는 다 사라지고 없을지도 모릅니다.
     
니내아니 21-01-12 17:13
   
각종 중 장거리 무인기 케리어로 써먹을수도 ...
이름귀찮아 21-01-12 17:05
   
그런 방법이 쓸만 했다면 이미 존재 하지 않았을지~
검독수리 21-01-12 17:13
   
나 26년전에 전투기 정비병이었는데...저런 좁은 전폭이면 항모내부에서 두대가 교차로 지나갈수 있겠냐...F-35 사이즈가 장난감? 날개도 안접히는데...한대 망가지면 항모내부에서 나머지 어케 빼내냐...
그리고 저런 바늘같이 얇은 구조면 항행이 안정적으로 될까?
     
음식남녀 21-01-12 17:14
   
탑재기를 f-35B로 지정 안했는데~!

빌지킬,  안티롤링탱크, 핀안정기를 이용해야지~!
          
검독수리 21-01-12 17:16
   
전폭이 저거면 실제 항모내부 전폭은 얼마 밖에 안될지 생각이 안되나?
이런 수준은 아닌데 가생이가...
               
음식남녀 21-01-12 17:18
   
탑재기 양이 많은 것이 중요한 게 아니고
수직 이착륙없이 이륙시키는 것이 중점이야~!

글구 이건 프로토타입이고~!
                    
검독수리 21-01-12 17:18
   
애들 놀이터냐 여기?
                         
음식남녀 21-01-12 17:22
   
일본 이즈모급도 선폭이 38m인데 45m가 뭐 어때서?

이즈모는 날개도 접히지 않는 F-35B를 16대 운용하려는데
거기는 어케 꾸겨서 넣나?
검독수리 21-01-12 17:40
   
쪽바리가 참조냐 이제...지겹네...
     
음식남녀 21-01-12 17:47
   
이즈모는 경항모가 아닌가~?!

배는 동산일 뿐인데
거기에 무슨 나라와 이념이 들어가나~?
          
검독수리 21-01-13 09:37
   
생각의 깊이가 너무한거 아냐...
이념은 무슨 소리인지...정말 답이 없어 포기한다...ㅋㅋㅋ

그냥 일제 항모나 항공기 설계는 찐따라고~~!!! 그걸 왜 참조하냐구~! 왜! 왜! 왜!  왜놈?

레벨2도 요새 글 올리기 되나?
아바타1979 21-01-12 22:25
   
그런구조가 되어야한다면 이중격납을위해 층수를 늘리는방법인데 그게 더 위험합니다. .
원리적인측면에서 폭을좁힐경우 윗분말처럼 급선회가 위험하고  파도로인한 선박의기골유지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배의 선수부분은 물을가르기위해 뾰족한구조이지만 나머지대부분은 바닥이 납작한구조입니다.
이러한 납작한구조라서 배가 물위에뜨지만 그상태로 화물이나 무기를싣어서 운항이 가능한건 아닙니다. 
선박의내부 제일바닥에 좌,우현의 벽쪽에보면 선수에서 선미까지 바라스트라는 파이프가 앞뒤로 길게각각 뻗어있습니다.
여기에  펌프로 바닷물을 고압으로넣고 빼면서 만재배수량을 조절합니다.
이리되면 무게중심이 아래로가기에  급선회나 큰파도에도 자세를유지하죠.

만약 선체길이가 450m에 전폭45m라면 어떨까요.
카누를보면아시겠지만 직진을위한구조지 선회를위한게아니고 무엇보다 카누는 옆으로 잘넘어갑니다.
옆으로 잘 넘어간다는건 작은파도에도 선박의 좌우 움직임이크다는겁니다. 
선체길이가 450m라해도 전폭이 그만큼 받쳐주면모르지만  폭이좁을경우 450m구간안에 부분부분마다파도가 다르고 이로인해 선박의 뒤틀림이 쉽게누적됩니다.
30년은커녕  5년도못가 부러질겁니다.   
일본 컨테이너선이 부러진것도 이상적인 전폭과 길이임에도불구하고 기골설계가 잘못됐기때문입니다.

만약 450m 45m를위해 선체높이를 더높게하여 기골을보강하고 함께 층수를늘려서 함재기를 이중 삼중으로 격납한다해도 작은파도에도 항모가 쉽게흔들리고 급선회시 기울임이 더 커지게됩니다.  위험한구조예요.
만약 그러한구조가 용이했다면 미항모나 엘리자베스항모가 수에즈운하를 지날수있도록 설계되었겠죠. 
이유없이 아프리카대륙아래를 돌아서가는게아닙니다.
     
검독수리 21-01-13 09:39
   
멋진 설명이네요, 이런 유저들만 글 쓸수 있게 해야~!
     
음식남녀 21-01-13 11:48
   
고견 감사드립니다.

2017년에 삼성중공업에서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을 건조했는데요
'OOCL Germany'는 길이 399.87m, 폭 58.8m이고
컨테이너  2만1413개를 실을 수 있고
배가 감내할 수 있는  무게는 19만1688t에 달합니다.
( https://news.joins.com/article/23092089 )

사진을 보니
이 배는 선체 위에만 컨테이너를 올리는데

항모는 비행 갑판이 '배 중심 선체' 밖으로 일부 나와 있어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liumlee&logNo=22106200353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제랄드 R포드급 방식으로  건조하면

폭을 45m에서 60m로 늘리면 불가능할 것 같지도 않은데요~?!
          
user386 21-01-13 12:41
   
일반 상선이야 20노트 이하로 순항하는데 촛점이 맞춰 설계된 것입니다.

하지만 군함은 급가속과 급회전등 회피기동등을 상정해서 설계 합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092089 이렇게 만들었다가는 복원력이 떨어져서 큰 일 납니다.

포드급 초대형 항모가 저런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건 배 바닥 용골위로 납으로 둘러싼
무거운 원자로 2기가 탑재되어 중심(복원력)을 잠아 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