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1-11 22:21
[질문] 다탄두 미사일 재돌입시험
 글쓴이 : 봉대리
조회 : 2,263  


몇년후 고체로켓으로도 위성쏴올린다던데 그때 간접적으로 탄두의 대기권 재돌입 시험이나, 
다탄두의 분리시험 같은거를 간접적으로 실험해 볼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근 시일내에 미사일로 실험하는건 현실적으로 어려울거 같고 변칙적인 방법으로나마 실험해서 기술을 보유해놓고 미래의 불확실한 국제정세를 미리 대비해야 할것 같습니다. 핵탄두 기술이야 박통시절 이미 프랑스와 협력해서 설계도 까지 확보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이 주변나라의 위협에서 벗어나려면 최소한 베이징이나 모스크바 도꾜를 폭격할수 있는 수단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야구아제 21-01-11 22:25
   
지난해에 군이 발표하기를 사거리 800km 전술 탄도탄 개발 소식과 함께 탄두 중량 2톤의 성공을 발표했었죠.

탄두 중량 2톤이면 가분수 미사일인데 수직 관통력을 운동에너지를 통해 강화한 미사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탄두가 어디까지 올라 갔다가 목표물에 꽂힐까요?

대기권 재돌입 기술, 저는 우리가 없다고 말 할 수 없다고 봅니다.
     
봉대리 21-01-11 22:28
   
비전공자라 질문한건데 확실한게 아니면 제가 혼동이 생길수 있어요. ㅋㅋ
          
야구아제 21-01-11 22:33
   
저도 비전공자라 물리적으로 정확한 수치를 드릴 수는 없지만,

미국이 지난해에 북한 핵문제 때문에 한국의 핵보유론이 부각되자 실제 핵 빼고는 기술적으로 다 알려 줬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탄두 중량 2톤은 미사일을 중력으로 눌러서 많이 못 날아가게 한 거 아니겠습니까?

다시 말해 중량이 1톤일 때도 발사체를 그대로 쓰면 더 멀리 갔겠죠.

우리나라 주변에 중국도 있고, 일본도 있어서 각도 잘 잡아야 되는데 쏴서 동해 쯤에 떨어뜨리려면 엄청 수직으로 높이 쐈겠죠?

대기권 밖을 나갔다가 말입니다.
대팔이 21-01-11 23:01
   
우린 이미 비공식적으로 1000km 사정거리 탄도미사일을 개발중이므로 탄두재돌입기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다탄두체(MIRV)가 더 어려운기술입니다...
중국도 이 기술이 없어 동풍시리즈는 단일탄두미사일입니다...
     
아무 21-01-12 10:36
   
단일탄두 재돌입이 가능하면 다탄두도 어려울 건 없다고 생각됩니다만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요?
다탄두가 비선형적으로 비행해 표적지 예측을 어렵게 하거나 더미 탄두 적용 등을 말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