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2-16 16:17
[기타] 한국 시호크 도입관련 판매내역 + MH-60R 도입시 장점
 글쓴이 : 노닉
조회 : 4,390  




DSCA(미국방안보협력국)에서 명시된 판매내역

MH-60R 12대

APS-153(V) 다기능 레이더 13기(1기 예비)

T-700-GE-401C 엔진 25기(1기 예비)

ALFS(공중저주파소나시스템) 13기(1기 예비)

AN/AAS-44C(v) 다목표 추적 시스템 13기

내장 내비게이션 시스템 24기

링크16 MIDS-LVT 단말기 12기

소노부이 1000


AN/APX-123 IFF 20기

AN/ARC-220 고주파 라디오 20기

AN/ARC-210 RT-1990A 라디오 20기


https://twitter.com/bezu3520/status/1339044626993303552



-------------------------------------------------------------



디타 11월호에서 특집으로 언급한 MH-60R 도입시 장점


1. 강력한 네트워크전 능력
MH-60R은 데이터 링크 활용도 측면에서 링크 16 에 더해 호크링크라는 별도의 KU 밴드 데이터링크를 가지고 있어
링크 16으로는 불가능한 대용량의 영상정보등을  모함 으로 전송이 가능하다고함


거기에 P-8A 대잠초계기와의 데이터링크 활용을 통한 연계작전을 처음부터 고려해서 수상함의 TASS  대잠초계기의 소노부이 시호크의 디핑소나를 연계시켜 거대한 소나망을 형성하는 멀티스태틱 능력을 보유함



2.전자전 능력을 활용한 개함방공 지원
MH-60R에서 아군함정으로  날아오는 대함미사일시커를 교란시킬수있는 항공 전자전 능력을 갖출 예정
적의 대함미사일이 접근하면 MH-60R이 날아올라 방해전파를 발신해 적의 대함미사일을 교란하는 교리임



3. 많은 생산 운용댓수를 통한  규모의 경제실현
미해군의 도입수량만해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운용되는 대잠헬기인데 거기에 더해 호주 노르웨이 인도 그리스 대만까지 고려하면 해외발주분만으로도 AW-159 와일드캣의 발주분을 넘어선다고함
이런 많은 도입대수는 부품비용을 하락시키고 장기간 운용시  운용비용을 절감시킬수있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가능함 차후 업그레이드 사업 비용도 낮아짐


4. 상대적으로 큰 기체크기 및 체공시간
청해부대 작전당시 링스헬기의 작은 케빈용적은 UDT/SEAL 요원들의 수송 침투를 제약함
그외 MH-60R이 가지는 비교적 긴 체공시간은 연료보급을 위한 모함 복귀주기를 늦춰서 작즨시 소요되는 헬기댓수를 줄일수있게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energypower 20-12-16 16:24
   
상기한 장점이 사실이라면 링스계열 도입할 이유가 없어 보입니다.
     
나매로 20-12-16 16:39
   
그만큼 기체의 크기가 더 커지는 것도 고려해야 해서...
격납관련 문제도 생길 수 있겠습니다.
          
energypower 20-12-16 16:46
   
이미 결정 났네요.  씨호크로,,,
     
ㅣㅏㅏ 20-12-17 15:51
   
세종대왕함 도입할때 시호크가 너무 비싸게 불러서 어쩔수 없이 와일드캣으로 갔던거라... 올해초던가. 시호크 바겐세일해서 팔겠다고 발표나서 이번엔 시호크 될꺼라 예상하긴 했음.
Wombat 20-12-16 16:53
   
체공시간이 중요하죠 ㅎ
와일드켓 24대 보다 효율적일듯 하네요
4leaf 20-12-16 17:59
   
오... 시호크의 주요 전자장비도 다 가지고 오네요. 이제 확인해야 하는걸 생각해보면 음...

1. 스파이크 미사일을 인티해서 장착할 것이냐 아니면 원판대로 헬파이어를 장착하냐
2. 강제착함장치을 기존대로 하픈을 쓸 것인가 아니면 RAST를 쓸 것이냐

이정도면 마무리 아닐까요?
좋은여행 20-12-16 18:13
   
헬기 착함 장치를 제대로 설치하는지 궁금합니다. 그 최신 시스템 가격도 만만치 않은데, 요새 어떻게 됐는지 궁금하군요
아이쿠 20-12-16 19:04
   
원래 이순신급 이상의 구축함은 링스가 아닌 시호크로 했어야죠
푹찍 20-12-16 19:12
   
일단 링스는 뽀대가 안나서 ㅋ
대팔이 20-12-16 22:32
   
협소한 이착륙 데크와 격납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건지 궁금하네요...
나그네x 20-12-16 22:40
   
12대라.. 수량이 아쉬운. 이번에 와일드켓하고 시호크가 같은 예산에 수량차이가 없었는지 궁급하군요.
듣기로는 이런 광범위한 수색및 탐색전력에서는 수량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하던데. 수량차이가 없었다면야 꾀 좋은 선택이라 여겨지지만 만약 수량차이가 있었다면 음..
그리고 이후 추가도입기종으로 와일드캣 아니면 시호크에서 선택할수밖에 없을것 같음.
이 두기종으로 부품수급과 수리,운영관리체계를 이원화 해놨으니 앞으로 다른 추가기종은 안될것 같군요. 추가되면 같은 전력에 3중 관리체계가 될테니. 이원화까지는 어느정도 감당 가능하겠지만 3중화는 운영관리문제 관리비용상승이 부각될듯.
아마 두기종을 고루고루 사용하면서 다음 세대기종으로 옴겨가거나 아니면 국내 시수리온?.
뭐 고민해서 잘선택했을테지요. 이번사업은 어느 기종이던 괜찮은 선택이였다고 생각됨.
수량이 좀 아쉽지만. 만약 가격하락 사항이있었다면 수량좀..
     
대팔이 20-12-16 23:07
   
23대 슈퍼링스를 개량없이 전량 퇴역시키고 3차 대잠헬기 도입사업을 조기 추진 계획입니다...
근데 여기에 마린온 개조 대잠헬기가 유력하답니다...ㅋ
     
나그네x 20-12-16 23:25
   
아. 시마린온.. 역시 그렇군요.
만약 시나리오가 그렇다면 시호크와 시마린온이려나. 제발 그전에라도 마린온 형상이라도 좀 수정,개수했으면.
그리고 이번에 시호크 가격이 꾀 하락했다는것 같더군요.
반면 와일드캣은 좀 올랐다는것 같은데 그러면 내부장비 변함이 없다면 결과는 뻔할것 같은.
한국군은 가격에 좀 민감함.
리얼백 20-12-17 12:56
   
와이드캣 팔때처럼 적극적으로 나오지 않아서 입찰 실패함.

그때 와일드캣에 당시에는 영국군도 아직 안쓰는 시쓰프레이 레이더나 소노부이 달고도 되려 염가로 제시했는데

이번에는 정가에 가까운데다가, 한국군이 제일 원했던 라이센스 생산기지로 한국 해줄지 말지로 줄다리기함 조건으로 '구형 링스교체도당연히 우리꺼로 해줄꺼지'로 밀당하다가 팽당함.

씨호크 반값은 실패했지만 동류호환되는 UH-60 부품 라이센스 품목 늘릴수 있게된거같고.. 결국 이건 수리온 업그레이드를 위한 단계를 밟기위한 행보인듯.

 수리온을 개수해서 기어박스를 UH-60+a 업드레이드 하기로 한듯.
UH-60업그레이드 포기하고 전량 교체 이렇게 나오는걸로 봐서는

이거도 결국 수리온 대마불사 밑그림 인거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