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2-12 07:05
[뉴스] 미해병대 새로운 수륙양용함 건조
 글쓴이 : 마린아제
조회 : 4,900  

Screen-Shot-2020-06-08-at-4.35.18-PM.png

72명의 해병대를 태울수 있으며 10여척을 건조 예정.

이 배들은 대부분 남중국해 작전에 사용될것이며 유사시 남중국해 섬연안이나 기타 상륙지점으로 
바로 상륙전개할 예정.

몇십년만에 기존의 기동타격대 개념에서 다시 원래의 해안상륙작전 개념으로 전환하고 있는 미 해병대는
이번 건조함에 대해서 미해군과 합의가 끝났으며 예산안도 통과가 된 상태.

따라서 빠른시간내에 건조되어 남중국해로 투입될 예정.
일부는 일본에 배치될 예정.

미국 수뇌부는 남중국해에서 중국을 상대로한 상륙작전은 피할수없는 상황으로 가고 있는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비하는 하는것.

또한 이번 수륙양용함은 좀더 가벼우며 기동성을 강조하면서 미해병대는 빠른건조를 요구하고 있음.

의회보고서를 입수하여 분석한 결과 2026년까지 총 30척을 건조할 예정.
연료 추가공급없이 3500 해리를 14노트로 운항 가능
탑재무기는 30미리 기관포 또는 25미리 기관포. 
해군 승선인원: 50명이하
해병대 수송가능인원 : 72명
선박예상수명 : 10년
설계를 빠르게 진행하는것으로 보아 일반 상선에서 설계변경하는것으로 추정됨.
트럭은 싣지 않게끔 설계진행예정 대신 LAW만 싣고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귀찮아 20-12-12 08:06
   
대형 상륙함을 가지고 있어서 저건 안쓸거라고 생각했는데

하긴 옵션이 다양하면 상대도 그에 맞게 준비를 해야하니 괜찮겠네
sunnylee 20-12-12 09:18
   
상륙작전에서 ..양육함은.. 필수임...
아무 20-12-12 10:04
   
중국의 지역접근거부 전략에 대한 미국의 파훼 전략과 이를 뒷받침해줄 전력이 차근차근 갖춰지는군요.

크게는 상륙함 전단 강화 및 동맹국의 상륙함 보유 발표에서부터 작게는 재래식 화포로 순항미사일 격추 실험에 이번엔 전차를 포기한 해병대의 상륙양륙함까지...

어찌보면 집요하다고 할 정도로 차근차근 중국을 틀어막고 무력화 시키려고 드는 미국을 보면 앞으로도 상당기간은 미국이 세계를 지배하는 제국으로 그 지위를 유지할 것 같습니다.

중국몽... 중국은 진짜 꿈을 꿨어요. 개꿈을요.
대팔이 20-12-12 10:07
   
??¿?
저건 걍 LST아닌가....
미군이 LST가 없었나?
Unicorn 20-12-12 10:53
   
한국도 해병대가 헬기를 살게 아니라 상륙정이나 더 뽑아 줘야죠.

해병대가 겉 멋 들어서 큰 일.

해병대 헬기 사업 접어야 합니다.

돈 낭비 자원 낭비.

뭔 해병대가 아파치야. 주제 파악을 못하고 있어요.
     
하므 20-12-12 11:11
   
해병대도 상륙뿐아니라 지상전에 지원할 헬기가 필요하지요 작전중 육군 공군에 지원만 바랄순없으니까요 상륙후 독자적으로
작전수행할 능력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Unicorn 20-12-12 11:21
   
해병대가 가진 헬기는 상륙전에 사용할 목적인 거지요.

상륙이 끝난 뒤에 그들이 할 일은 없습니다.

나머진 해군과 육군 공군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해병대 항공대가 헛바람 든 생각이란 거지요.

누가 저렇게 해병대 수뇌부에 헛바람을 넣은건지 원.

결국은 미국 해병대 따라하려는 걸텐데 주제파악을 못하고 있는 겁니다.

한국 해병대는 절대로 독자적으로 작전 수행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국 해병대는 상륙 후에 전쟁이 끝날때까지 상륙지점으로 되돌아 오지 않습니다.

해병대 항공대는 말그대로 돈낭비 물자 낭비.
               
하므 20-12-12 11:58
   
상륙후 내륙깊숙히 진격해서 적 후방에서 작전할때도 아파치 사용 불가라는 말씀이신가요?
     
머리에꽃 20-12-12 12:25
   
상륙 거부 세력은 그냥 놔두고 상륙정으로 밀어 넣어요??
다 죽든지 말든지?
님 자식새키들 아니라고 말 너무 함부로 하시네..
     
user386 20-12-12 13:50
   
무슨 말씀을 그렇게 살벌하게 하시는지... 해병대 목숨은 파리 목숨이 아닙니다.

아시겠지만 해병대의 주 임무는 적 해안에 기습 상륙하여 뒤이어 오는 아군의 대규모 상륙을 위해 교두보를
확보하는 일 입니다. 그런데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봤듯이 단 한개의 기관총 벙커가 얼마나
많은 희생자를 낼 수 있는지 보여줬습니다. 실제로 1944년 6월 7일에 있었던 오마하 비치 에서만 미군 47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죠. 놀랍게도 이렇게 많은 사상자를 만든건 단 몇개의 독일군 벙커와 해안포가 해낸(?) 일 이었습니다.

물론 상륙하기 전 상륙지점에 대규모 공중 폭격과 미사일도 퍼 붓겠죠...
하지만 북한 처럼 상륙거부 세력이 사단급 정도면 우리 해병대가 상륙하기전 적 전차나 장갑차 벙커등
잔존 세력을 근접해서 소탕하는데 공격헬기 만큼 효과적인 물건이 또 있을까 싶은데요.

아파치가 됐든 바이퍼가 됐든 상륙전 수행시 공격헬기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해병대가 배가 불러서도 주제 파악을 못해서도 아닙니다. 우리 소중한 장병들의 희생을
최소화 하는데 필요한 물건이기에 도입하는 겁니다.
     
대팔이 20-12-12 18:17
   
겉멋? 푸핫~~~~~~
     
바람노래방 20-12-13 03:40
   
얼척이 없는 소릴 하시네
해병대야말로 공격 헬기가 가장 급한 부대중 하나인데, 뭔 ㅉㅉㅉ
Jenkins 20-12-12 10:53
   
중국 본토에 대한 공격이 아닌 남중국해의 다수의 섬을 탈환하는것이 목표이고
상륙작전시 피격 손실을 줄이기 위해 크기를 줄이고 척수를 늘리는 선택인것 같네요.
HHH3 20-12-12 11:28
   
그냥 대충 만들어서 대충 태워 보내겠다는 모양이네.
쌩마린 태우는 거 보면 인명 손실은 각오하나 봄.
어쩌면 보여주기식 생쑈일 수도 있겠고.
도나201 20-12-12 13:00
   
이건 전술적인 개념으로 봐야 합니다.

우선은 미국의 초수평상륙작전개념으로 간다면
저 lst 상륙함은 그저 깃발 꼽으려 가는 병력수송차원입니다.

간단히 전차 수송 및 기타 장갑차량수송으로 인해서
남지나해상의 각종 환호초섬들의 상륙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건이죠.

현재 중국이 넓히려는 각 환호초섬들을 적극 공략할 물건으로 필수적이라는 말이죠.
봉대리 20-12-12 13:55
   
복고풍으로 돌아가는듯 ㅋ
길라이 20-12-12 15:27
   
2차대전때 수심이 낮고 긴 해안의 환초상륙에 애먹었던 경험이 있어 낮은 홀수선을 유지하려고 탱크 및 중장비는 싣지않고 가벼운 LAV(스트라이커)만 싣고 긴 항해거리와 빠른 속도로 재보급도 최소화하며 섬과 섬을 빠르게 다닐려고 만드나 보네요

저런 운용과 설계를 하는거 보니 이젠 정밀폭격이 가능해져 2차대전때처럼 강력한 상륙저지군은 남아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나 보네요.
나그네x 20-12-12 20:40
   
솔직히 예전에 러시아에서 저련류의 함정을 신규로 건조한다는 소식을 들었을때 대부분의 밀매이야기들은 약간 조롱? 아니면 역시 시대에 뒤쳐진 아니면 돈없는 러시아군이라고 이야기들을 했었는데 이제는 미군도 저련류의 전력을 계획한다고 하니 참..
앞으로 러시아 전력계획을 뒤쳐진것으로 볼수만은 없겠군요.
처음 사진을 보자마자 러시아 상륙지원함 듀공급?이 생각났다는..
임펙트 20-12-12 23:49
   
기술이 발전하다보니, 구형 스타일의 무기체계등이 재평가를 받고있는듯합니다.

 대표적인것이 바로 우리의 비호이고 여기에 신궁을 결합시켜서 단점을 어느정도 상쇄하기도했죠.

 단순한 상륙함 형태 역시나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추진중인듯한데, 이렇게 육군과 해군무기에서도 가능하면, 공군무기에서도 적용할 수 있겠지요.

 가령, 열기구나 비행선형태에다가 강력한 aesa레이더를 달아서 활용해보거나 1차대전시 함정에서 캐터필터를 활용하여 수상정찰기를 운용한 형태와 유사하게 중고도 무인기를 활용해보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도 있겠지요. 그러니까 중고도 무인기를 수상정찰기형태로 개조하여 군함등에서 사용해보는 생각도 해보면 좋을듯합니다.
수염차 20-12-13 13:21
   
수명이 10년뿐이 안되는구나.....생각보다 훨씬 짧네요
     
길라이 20-12-13 15:11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선체에 알루미늄을 많이 쓰고 항해성능이 안좋은 평저선이
장거리항해까지 소화해야 하니 배에 무리가 많이 가나 보네요.

듀공급처럼 활주선형으로 만들면 항해성능이 올라가 속도도 35노트까지 올릴 수 있지만
낮은 홀수선을 유지하려고 평저선형을 적용한거 보면 정해진 용도에 맞게 설계된거라 봐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