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08-12 19:06
해자대를 너무 우습게만 보는 경향은 안좋다고 생각됩니다.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240  

해군용 대잠 초계기  p-3 오리온입니다.






요근래.

보통 잡게에 올라오는 글들이지만. 자위대. 그중 해자대를 너무 쉽게 보는 경향이 대세인듯 하더군요.

90년대. 연안해군 성격으로. 초계함.호위함이란 해상함 위주의 해군과 달리.

많은 이들의 노력 속에서. 강한 해군으로 변화해 가는 대한민국 해군이지만.

현 2010년대인 지금도 아직 해자대와의 전력차는 많이 남아있다고 생각이됩니다.

물론 전쟁.싸움은. 사람이 하는것이긴 하죠.  하지만 현대전의 성향상. 뛰어난 병기의 성능/수  라는

수치 역시 간과할수 없는 중요한 구성원인데 말이죠.


잠수함 전력/ 수상함전력에 대한 게시글들은 밑에 많으니 참조해 주시면 될듯합니다.

해상. 제공권.  공격기/요격기등. 전투기 뿐만이 아니 중요한 항공전력인 대잠초계기 p3에 대한 글입니다.


분류 : 4발 터보프롭 해상 대잠초계기(Anti-Submarine Warfare/Anti SUrface Warfare)
형식명 : P-3
전폭 : 30,37m
전장 : 35,61m
전고 : 10,27m
최대이륙중량 : 135,000파운드(lbs.) = 약 61,234Kg(=60.75t)
최고속도 : 시속 761Km/h
실용상승한도 : 28,300피트
작전행동반경 : 4,407Km
최대체공시간 : 10~13시간
항전장비 : 록웰-콜린스 C밴드 노즈 레이더, APS-137(V)5 ISAR(화상합성개구레이더), 유닉스 ASQ-212 임무 컴퓨터, ALR-66 ESM(전자전 지원 장치), UYS-1 ASP(잠수함 음향분석장치) 등
엔진 : 롤스로이스 T56-A-14 터보프롭 엔진 4기(각 4,910마력)
무장 : 총 9.072Kg 탑재 가능
폭탄창에 Mk[2]46/50 어뢰 8발, Mk54 폭뢰 8발, Mk36/52 1,000파운드급 기뢰 3발, Mk101 폭뢰 1발, Mk25/39/55/56 2,000파운드급 기뢰 1발


 

동체 중앙 파일런(2개소)에 AGM-84 하푼공대함 미사일 2발, AGM-65 매버릭 공대지 미사일 2발, Mk46/50 어뢰 2발, 2,000파운드급 기뢰 2발


 

날개 아래 파일런(각각 3개소니까 모두 6개소)에 Mk46/50어뢰 6발(2x3)이나 1,000파운드급 기뢰 4발 + 500파운드급 기뢰 2발이나 어뢰/기뢰 2발 + 로켓탄(최대4발).


 

그 외 소노부이 87발 등


 

승무원 : 조종사 2명, 항법사 및 장비 오퍼레이터들을 비롯하여 12명(최대 21명)
초도비행 : 1958년 11월 25일(YP3V-1, 나중에 YP-3A로 재명명.)/1968년 9월 18일(YP-3C)
실전배치 : 1962년 8월


1984년 5월부터는 재래식 잠수함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킨 업데이트Ⅲ가 배치되었다. 미 해군은 1990년 4월 17일 266호기를 인도받았으며, 이것으로 생산은 종료되었다. 한편 1999년부터 시작된 국지전용 개량사업인 AIP는 대수상 전투력의 강화와 적외전 미사일 경보시스템을 탑재하여 맨패드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 또한 기존의 P-3C도 업데이트Ⅲ사양으로 개수되었고, 이들 현대화 개수 기체는 업데이트ⅢR로 불린다.


------------------스펙 설명 글이였습니다. 

60년대 실전된거니. 낡은 구형기종 아냐??? 지금이 몇년인데. ㅋㅋㅋㅋㅋ


이럴수도 있겠죠. ^^  하지만. 밑에 댓글중에도 설명해드렸듯이. 항공기는. 업그레이드 키트만 적절히.

지원된다면  성능향상/ 운용기간의 연장 수명연장이이 가능하죠.

한국해군은. 없어서 운용을 못합니다.


덧글--------

대한민국 해군 : 노후화가 막심한 S-2 트래커의 대체기종으로 프랑스의 아틀란틱II 등을 물리치고 선정되어 1995년 6월 27일부터 8기를 도입했는데, 이미 죽은 생산라인을 살리려다가 대당 684억원에 달하는 예산이 집행되었고, 대우와 록히드가 과다한 커미션을 챙겨서 말썽이 있었다. 더 큰 문제는 업데이트Ⅲ사양을 주문했지만 예산크리로 거의 깡통 수준의 기체가 도착한 다음에야 그 다음 해 예산을 들여서 업데이트Ⅲ의 성능을 완비했다고 한다. 이, 이뭐병….
이후 8기로 넒은 작전구역을 커버해야하므로 혹사가 극심했는데, 결국 미군의 예비역 기체인 P-3B를 대폭 개수한 P-3CK 8기가 추가로 도입된다. 하지만 운용 중인 해군 부대에서는 이 성능에 매우 만족한다고…. 원래 들어왔던 P-3C와 도입연도가 15년정도 차이가 나다보니 P-3CK의 성능이 좀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2010년에 모두 인도되어야 했으나 장비통합과정에 차질이 생겨 1년 연장되었다. 덕분에 KAI가 지체상금 2천억을 내야 할판. 해안경비를 서는 육군 병사들에게도 아주 낮익은 기종이다. 대잠/대침투 훈련만 되면 날아오는 단골 손님. 천안함 침몰사태때 음모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의 비난이 집중된 기종이기도 하다. 그런데 3면을 커버하려면 32기 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덧글

하물면 반대로. 인접국가인 일본이 보유한 p-3는.


-----덧글
  • 일본 해상자위대 : 102기를 1995년까지 도입 완료, 운용 중이고, 이 중 직도입분 3기를 제외한 99기는 카와사키 중공업에서 면허생산되었다. 형식은 연도별로 업데이트Ⅱ.5, 업데이트Ⅲ, 업데이트ⅢT가 있다. 미국을 제외하곤 최다 운용국. 남아도는 P-3을 전자전기 EP-3 등으로 개수해서 써먹기까지 한다. 퇴역하는 기체는 자체개발 기종인 P-1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덧글-----------

    이런 상황입니다.


    결론은 8 vs 89 입니다. (대잠초계기 80/ 전자청찰기 5/ 정찰기4) 입니다.

    뱀이 뱀꼬리 물고 있는 형상처럼.  수상함이 있으면 잠수함이 있고 잠수함이 있으면 대잠항공기 있는 모양새죠.

    중요한 부분은. 미국 록히드에서  라이센스를 취득해 자국내에서 생산체제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점과.

    p-3 후계기종으로   p-1 이라는 기종을 일본 독자적을 개발/ 15년내 실전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이죠.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개발..정보가 가물가물 하지만 30억 달러의 개발비가 들어갔다고도 알고 있습니다.

    스펙이요?

    크기는. 현재 한국에서 도입된 피스아이(비교 기종은 아니지만)와 크기는 비슷하지만.
    미국 p-8 에 탑재된 mad시스템.센서류 와 잠수함/소형함정까지 잡는레이더 시스템. 음향탐색.등등에

    8개. 구멍에선. 기뢰/폭뢰등 폭탄류와. 어뢰/대함미사일등 공격수단 무장/폭장류도 상당합니다.

    결론적으로 p-3의 잠수함 탐색 능력.공격능력.비행성능.자체방어능력등을 모두 상회할수도 있다는거죠.

    대당 예상가격은 141백만달러..;;;  70~80대 정도 계획이라고 합니다.
    (p-3 물량과 전부 교체 한다는거군요.;;;)

    제공권이 확보된 일본 해자대를 상대로 가상의 대결을 설정시.

    대잠초계기의 무게감은.  산山 처럼의 무거움을 느끼게 할수 있는 위험한 요소입니다.

    덧글.

    2020년 안에.  일본의 헬기항모가현ㄴ재 2대에서.   추가로   6-8대 정도가 확보된다면.   

    한동안 일본과 해자대와의 격차.공백은 더 이어져 나갈수도 있습니다.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초이썬 12-08-12 19:36
       
    전쟁을 해군으로 만함???
    솔아솔아 12-08-12 19:41
       
    흠.. 확실히 일본 대잠전력은 .. 무서울정도로 넘쳐나죠.. 대잠전력만 세계2위로
    미국이 러시아 핵항모 잡아내라고 지원해준것도있고 .. 영토 대비해서 영해는 더럽게나 넓어서
    그런것도 있고  세계2차대전때 잠수함으로 호되게 당했기에.. 대잠전력만 더럽게 키운듯...
    마치 우리나라의 포병같이... 일본 대잠전력은 무서운 상대인듯..
    뭐.. 그렇다고해서 러시아 해군과 비교될상대는 아니죠...
         
    스마트MS 12-08-12 20:00
       
    네. 물론이죠. 대잠초계기는 잠수함뿐만아니라. 수상함에게도 위협적이죠.
    그런데.요근래 밀게의 지칠줄 모르는 주제인 한국 vs일본 떡밥이 올라오면서 많은 댓글들이.
    쉽게. 해전에 승리하고. 아주 쉽게 상륙전을 논하길래 부족하지만 추가설명을 드렸던거에요.

    노르망디/인천상륙전의 성공을 보고 일본 상륙을 너무 쉽게 예상을 하더군요.
    상륙전이란 상당히 고난이도의 힘든 전술/전략을 말이죠 ㅎㅎㅎㅎ 컨테이너 수송선에 병력을 싣고 항구에 접항하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한국은/ 육방부란 별칭이 붙을 만큼 포병전력이 우수하고. 일본은 지형상 해군력 육성에 비중이 큰경우라.  호랑이와 상어가 싸우는 형상밖에 안되는데 말이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그리고.
    물론 전쟁은 해군으로만 하는게 아니죠. 육해공이 합동으로 협력 수행해 해나가야 하는
    위험한 행동이죠.(제공권 확보가 안된 육군/해군.제공권은 확보되었지만. 지상전 정리를 못하는 공군)  하지만 해군편으로만 이야기를 논하자면. 전력의 차는 분명 존재한다는걸 인식시켜드리고 싶어서 말이죠.ㅋㅋㅋㅋㅋㅋㅋㅋ. 본문 서두에 비슷하게 언급해 드린건 같은데 말이죠.
         
    솔아솔아 12-08-12 20:40
       
    흠.. 수상함에게 위협적이긴 하지만.. 전투기만큼이나마 위험하지않죠..
    상대편이 항모를 보유하고있다고하면.. 그냥 일찌감치 포기해야죠..

    아차... 오타나왔네요.. 핵항모가 아니라 핵잠수함
              
    스펜타 12-08-12 21:35
       
    핵잠도 공격을 위해서는 일정 수위로 부상할수밖에 없습니다
    데스투도 12-08-12 20:15
       
    마냥 무시하게에는 우리 해군 전력이 일본에 비해 너무 처진다고 생각되네요. 일단 잠수함이라도 대량 배치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우리도 러시아처럼 장거리 발사가 가능한 초음속 크루즈 미사일을 함정들에 대량 배치한다면 조금 해볼만하다는 생각은 들지만 우린 변변한 군사위성도 없으니( 안될거야 아마.. ;;;OTZ)겠죠. ㅇㅅㅇ;;;;
         
    스펜타 12-08-12 21:36
       
    군사위성이 없다면 대함미사일의 위력이 감소하긴하죠 ㅠ
              
    스마트MS 12-08-12 22:28
       
    ㅠㅅ ㅠ.  가장 중요하고. 하루 빨리 해결해야 하는. 큰 문제죠.  인공위성의. 부재.
    F.토레스 12-08-12 21:36
       
    해자대가 우리 해군전력보다 강하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마냥 무서워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니들 강해? 응 그래 강하네. 우리도 강해질께!!~ 요런 정신이 필요 ㅋ
         
    스마트MS 12-08-12 22:26
       
    네. 맞습니다. 나아가야할점을 보고 보완 강화를 거쳐 강군육성을 이루어야하죠

    하지만. 너무 강한. 자부심은. 자만심이 디고 자만심은 방심을 부른다는걸. 다른분께서도 인식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성한게시물 이였습니다. 군대가 아니면서 강한 무력을 지닌 일본을 근래에. 많이 쉽게보는 경항의 분들이 늘어나서 말이죠. ㅎㅎ
    재미잇는건. 객관적으로 개인적으로 작성한글인데. 일빠. 소리를 듣게 되어 당혹 스럽기도하네요. ㅎㅎ
    없는걸 만들어낸것도 아니고 잇는걸 설명한것뿐인데도. 제가 의도한 내용은 보지도 읽지도 못하는지
    묘하게. 일본 조아? ㅋ 너 일빠 ㅋㅋ. 이런상황이 생기는듯 하더군요.
    현시창 12-08-12 22:45
       
    해자대가 도입한 P-3C가 모두 동일사양은 아닙니다.
    운용실상을 보면 실가동 전력은 생각보다 크게 나지 않아요. 우선 초기도입분이 도태시점입니다. 2011년 3월 동북지진당시 보유한 P-3C는 총 85기입니다. 그리고 해자대 보유 P-3C중 업데이트3으로 신조되거나 개수된 물건은 총합 36기 정도이고, 나머진 여전히 업데이트2.5상태입니다. 즉, 미개수 기종은 노후화로 인해 퇴역예정이란 소립니다.

    뿐만 아니라 초계면적이 넓기 때문에 각 기종들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즉, 초기도입분 외에도 85~90년 생산분(ESM장착분인지라 더 빡세게 굴려먹었습니다.) 대부분이 노후화로 인해 제대로 된 작전능력을 모두 발휘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나마 제대로 굴리는 건 업데이트3로 업그레이드한 후기 생산분인데, 이 물건들이 고이즈미 내각때부터 북한간첩선 문제로 인해 초계시간이 더욱 늘어난데 더해 대함미사일까지 달고 다니느라 주익 피로도가 급증해서 요즘엔 포텐이 폭발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일본쪽 밀덕들이 한국해군 P-3가 대함미사일 2발 달고 돌아다니는 걸 신기하게 보고요.

    더구나 일본의 해양면적은 한국의 10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그리고 그 해역엔 한국만이 아니라, 중국등도 붙어 있습니다. 실상 가장 실전력이라 할 신형 P-3C는 오키나와 해역에 붙어 있으며, 그네들 자위대문서에서도 오키나와 해역이 일본전체 해역의 40%를 차지하며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붙박이입니다.

    즉, 현재로서 일본자위대는 91식 대함미사일을 1발 장착하는 식으로 운용합니다. 그리고 그 기종은 업데이트3기종인지라 오키나와 해역에 배치되어 있고, 오키나와 해역은 유사시 날아오기엔 너무나 멀죠.

    결국 실질적으로 우리에게 위협이 가능한 기종은 일본전체에서 업데이트3 개수를 받은 36기 정도이고, 그들이 포함된 전대는 오키나와 전개중입니다. 항공전력은 애시당초 기지를 옳기는게 쉽지 않은 비탄력부대죠?

    그냥 숫자로만 비교할 게 아니라, 분쟁시 실제 투입가능한 전력을 비교하시는게 맞는 겁니다.
    우리 해군에게 대함미사일을 쏴갈길 수 있는 자위대 초계기의 숫자는 많지가 않습니다. 일본이 보유한 모든 초계기가 91식 대함미사일 운용기종이 아니니 말입니다.(실제적으로 우리에게 위협이 될만한 초계기의 숫자는40여기 내외입니다. 큐슈전개 부대까지 말이죠. 나머진 오키나와 해역에 투입중입니다.)

    그리고 인용하신 글에서 한국해역 면적 커버하려면 32기가 필요하다는 글이 있는데...
    하물며 우리보다 10배가 넘는 해역을 가진 일본은 과연 어느정도일까요...
    우리야 뭐 좁은 해역 덕에 가진 전력을 모두 동원가능하지만...일본은 그렇지가 못하지요. 현재 일본해역의 초계 면적이 우리보다 넓다는 말은 곧 빈틈도 더 많다는 소리가 됩니다.

    실제로 일본 해상자위대의 주요 청음망은 쓰시마 해협과 대한해협 일대, 그리고 최근들어 오키나와 일대에 집중전개되어 있습니다.(이유야 아실테고요.) 일본 초계기 전력이 무시 못하고 수적으로도 우월한 전력이긴 하지만, 압도적인 전력을뽐내는 상황은 아닙니다.(나름대로 허실이 있습니다. 그네들도 최근들어 자기네 대잠전력이 뻥꾸났다는 사실을 토로하고 있어요. P-1전력화가 5년만 늦어져도 오키나와에 실효한 대잠전력 유지가 어렵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하물며 한반도랑 본토는 어느 정도 수준일지 빤하죠.)
         
    스마트MS 12-08-12 23:35
       
    언제나 좋은 정보를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그렇군요. 기체의 수명한계가 다다른. 전력이하의 수가. 상당히. 많앗군요
    정보의 이해중 제가. 간과한 부분이 잇어 오류를 범햇네요
    일빠싫어 12-08-13 00:16
       
    제 개인적으로는 적의 위협을 과소평가하는것 보다는 과대평가 하는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확실히 일본 해자대의 전력은 세게적으로도 5위권 아래로 떨어져본적이 없다는 막강한 전력입니다. 물론 일본하고 우리하고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언제나 만약의 사태라는게 있으니 맞상대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우리 공격하면 니들도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정도의 수준으로 전력을 끌러올려야 한다는 생각은 드네요.
    싱싱탱탱촉… 12-08-13 11:11
       
    해자대는 대한민국 해군 곱하기 6배 정도로 생각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실제적으로는 약 3배의 전력이라고들 하는 소리를 비밀에서 본적이 있네요.
    그런데요. 실제적으로 일본해자대는 4000톤급 잠수함을 18년 쓰고 보관해 놓습니다.
    쓰퐁. 정말 무서운 놈들이에요.
    fuckengel 12-08-13 22:45
       
    우리와 다른 환경덕이죠.. 바다라는 천혜의 방어책덕에,, 40% 수준인 우리의 해공 투입과달리
    우리 2배 국방비면서 그중 70%를 해공에 넣고있으니..

    일본넘들은 군사학적인 지리위치는 타고난넘들이죠..섬만 아니어씀.. 오래전에 중국이나 우리에
    의해 10번도 넘게 노예가 되었을 넘들인데..
    일본넘들이 과거와 같이 무모한욕심 안내구 섬만 사수하겠다 하면,,해,공군만 가지고도 전쟁이
    됩니다..
    방어만 하는 입장에서 함선은 필요없죠, 항공기와, 지상발사 미사일들만 가지고도 되니,, 게닥
    우리-일본 거리자체가 사실상 한국함 vs 일본함 입니다.
    유도알고리즘에서 보면 해상목표처럼 맞추기 쉬운게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