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2-14 12:12
[잡담] 해병대용 아파치는 좀 무리인거 같음.. 그냥 바이퍼 아니면 걍 포기..
 글쓴이 : 서클포스
조회 : 3,231  


아파치 해상작전용으로 쓰는 경우가.. 영국 말고 또 어디 있는지는 모르겠고..

일단 아파치는 수리 정비 문제로 가동률이 떨어짐..

실전에서 바이퍼의 가동률에 비해서 아파치의 실전 투입 가동률은 상당히 떨어지는 걸로 암..

더구나 육군보다 해상에서의 작전은  더욱 가혹한 환경이 많음.. 소금기 먹은  해풍속에서 작전을 해야되니

더욱더 아파치의 가동률은 떨어질거라 보고..

일단 제일 돈이 적게 드는 것은 30년 유지 보수비 포함하면 마리온이지만.. 현재 이것은 성능 문제로

반대가 심한거 같고.. 그나마 가동률이나 가격으로 보면 바이퍼 인데.. 이것도 비싸긴 마찮가지임..

차라리 포기 하고.. 공격용 헬기를 자체 개발 할때까지 버티던가.. 아니면 바이퍼 12대 정도 만 구입해서

때울수 밖에 없을것 같음.. 이게 현실이지 싶음.. 솔직히 24대 산다고 하더라도 해병대 전용으로 그정도

돈을 쓸것 같지도 않고.. 현실적 대안으로 바이퍼 12대 운용 + 마린온 개조 몇대 이런식으로 타협이 가능하고

실질적으로 이건 땜빵 전력이고.. 자체 공격 헬기를 개발해야 될것 같음.. 무장형 말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린치킨 20-12-14 12:16
   
바이퍼로 전량 도입하든 아파치로 전량 도입하든 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바이퍼 12대 + 마린온 공격형을 섞는다고 한다면;;; 좀 더 애매하지 싶은데요...

마린온 공격형 개발비도 그렇고 바이퍼 수량이 줄어서 유지비나 이런것도 올라갈 듯 하구요.
엘레스트라 20-12-14 12:27
   
어짜피 아파치는 항모에서 쓸수있게 따로 만들어주지 않는이상은...게다가 단가도 많이
뛸거같고 그냥 바이퍼로하는게 낫겠지요
Wombat 20-12-14 12:37
   
걍 수리온 쓰라고 해요
ㅅㅍ 내도 밀메고 부국강군을 좋아하지만 겨우 12대로 도입해서 뭐하자는 것인지 그렇다고 바이퍼가 베스트셀러라 가격이 적당한 기체도 아니고
승리만세 20-12-14 12:41
   
어디 감히 군이 무엄하게 정부에서 정한 일에 토를 다는지, 이런 상식밖에 행동을 하는게 더러운 군부놈들이 정치적으로 적대적인 현정부여서 일까요?
해병대를 해체 하던지, 아니면 잔말말고 나라에서 시키는대로 국가의 명령을 받드는것 외에 선택은 없습니다.
수리온 못쓰겠다면 해병대 해체시켜야죠. 군에서 하극상같은 강상죄는 엄히 다스려야함.
     
검군 20-12-14 12:56
   
말을 지나치게 과격하게 하심...군부가 현정부에 적대적 ? 옛날 말씀하시네?
          
승리만세 20-12-14 13:20
   
??? 불과 얼마전까지 503을 위한 친위쿠테타를 모의했던 군인데 그저 옛날일?
     
창공의포효 20-12-14 13:00
   
어그로???
도대체 언제쩍 시대발상을 하시는건지...
그놈에 탁상행정으로 고생하는건 소요군 입니다.
제발 생각을 하세요.
닉이 지크하일 생각나게 해서 기분이 별로네...
          
승리만세 20-12-14 13:21
   
아 그래서 군이 사달라는거 다 사줘야하니까 아파치나 바이퍼 무조건 사줘야 된다?
               
창공의포효 20-12-14 15:43
   
그런 생각이시면 군대를 없애자고 하세요.
                    
따식이 20-12-15 08:49
   
그럼 소요군의 의견을 적극 반영 해보죠

일단 해병대는 독립부대로 개편 아파치 상륙정 상륙함 다사주고

공군은  kfx 취소 f35 100대 도입

육군은 k2 500대 추가 생산

해군은 항모 핵잠수함

예비군은 맛있는 식사

민방위는 비오는 날은 부르지 말자
     
user386 20-12-14 13:37
   
말이라고 다 말이 아닙니다... 더러운 군부놈들 이라뇨?
지금이 5.16 쿠데타로 정권잡고 국민들 억압하고 감옥에 가둔 박정희정권 입니까?
12.12 쿠데타로 정권잡고 광주 민주화 운동 학살을 저지른 전두환정권 입니까?
개인적으로 심심하면 터져 나오는 대형 국방비리 때문에 마음에 들지않는 국방부 이지만... 미국처럼 군인이 대접받고 존경받지는 못하더라도 대체 언제까지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책임지는 군대를 군바리라고 비하하고 심지어 더러운(?) 군부라 쓰레기 취급 할겁니까?

그리고 다시 얘기하지만 1944년 6월 7일에 있었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미군이 상륙하기로 되어있던 오마하 비치 에서만 미군 47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죠. 놀랍게도 이렇게 많은 사상자를 만든건 단 몇개의 독일군 벙커와 해안포가 해낸(?) 일 이었습니다.

상륙작전은 모든 군사 작전중 준비할것도 많고 가장 어려운 작전이라고 합니다. 희생도 크고요
그래서 상륙하기 전 상륙지점에 대규모 공중 폭격과 미사일도 퍼 붓습니다...
하지만 북한 처럼 상륙거부 세력이 사단급 정도면 우리 해병대가 상륙하기전 적 전차나 장갑차 벙커등
잔존 세력을 근접해서 소탕하는데 공격헬기 만큼 효과적인 물건이 또 있을까 싶은데요.

해병대가 아파치가 됐든, 바이퍼가 됐든, 개발을 하든 공격헬기를 사달라고 하는건 배가 불러서도
주제를 몰라서도, 하극상도 아닙니다.

다만... 상륙작전 수행시 우리 소중한 장병들의 희생을 최소화 하는데 공격헬기가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승리만세 20-12-14 14:03
   
얼마전까지 503을 위한 계엄령과 친위 쿠테타를 준비했던 군은 더러운 군부 맞고요. 괜히 정권초 기무사 해체하고 칼바람 분게 아니죠
돈만 있다면 최신예 무기 다 사주고싶죠, 근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당키나 합니까? 없으면 없는대로 준비해야죠. 예전같은면 군말하지않고 조용히 있다가 정권바뀌니까 아주 정부에 뻔뻔하게 나오는데 만만해서 그러는거죠, 그동안 몇번이나 스스로 반성하며 갱생하길 기대하며 관대하게 넘어갔지만 참 배은망덕하지않을수가 없어요.
               
user386 20-12-14 14:53
   
뭔가 잘못알고 계시는데... 해병대가 아파치나 바이퍼 사달라고 조른건 이명박 정권 때부터 입니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00725/102151247/1
"10여 년 전부터 해병대는 AH-64 아파치 공격헬기와 AH-1Z ‘바이퍼’ 공격헬기 등 2개 파로 나뉘어 경쟁했다."

정치나 정권에 상관없이 해병대는 줄기차게 공격헬기 도입하자고 주장한건 희생이 큰 상륙작전에 꼭 필요해서 입니다. 뭐가 됐든 제 생각도 소중한 우리 장병들 희생을 줄일수만 있다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고요.

그리고 여기서 정치 얘기하기 싫지만 저도 개인적으로 오래전부터 진보적 성향을 띄어서 진보 정권을 지지하는 바 입니다만... 님이 군대를 바라보는 시각이 너무 정치 편향적이라 생각하지 않습니까?

설사 님 말대로 박근혜 정권의 마지막 발악으로 기무사 문건에 나온것처럼 쿠데타 모의가 있었다해도 우리 국군이 박정희, 전두환 군부정권 때 처럼 정권에 무조건 충성하는 그런 한심한 군대로 보지 않습니다.

스웨덴 '국제 민주주의와 선거지원기구(IDEA)'의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쿠데타 가능성을 거의 제로로 보고 있습니다. 그 만큼 민주주의가 자리를 잡고 성숙했다는 말이겠죠. 다시말해 명분없는 쿠데타 명령에 군인들이 동조하지 않는다는 말 입니다.
이런 민주 사회에서 군대는 정권이 아니라 국민들 무서워서 쿠데타 못 일으킨다는 말이기도 하고요.
창공의포효 20-12-14 12:57
   
가디언의 가동률이 바이퍼 보다 높습니다.
바이퍼 74.2% 가디언이 88%
https://www.marinecorpstimes.com/news/your-marine-corps/2016/04/26/the-marine-corps-aviation-fleet-is-in-peril/
https://www.flightglobal.com/us-army-details-combat-experience-with-ah-64e/114782.article
어차피 소규모로 구매 도입할꺼면 바이퍼보단 가디언이 훨씬 유리하죠... 이미 육군에서 운영중이니 훈련 시뮬이나 부품 보급이나 여러부분에서 유리합니다.
현재 육군에서 가디언 추가 도입을 서두르는것도 미육군에서 게속 가디언을 도입하고 있는중이니 가격이 쌀때 추가도입을 하기위해 서두르고 있는거고 KAI에서 가디언 동체를 제작하니 kai에서도 나쁠것도 없죠...
이도저도 20-12-14 13:18
   
가동율은 가디언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항공관련 장비들의경우 가동율이 70%가 넘어가는건 정말 관리가 잘되고있는겁니다.
booms 20-12-14 13:29
   
근데 뭐 예산 안늘려주면 선택권이란게 없자늠...고민하고 선택하고 말고가 아니고...

가디언이나 바이퍼까지 살수있는 자금이 확보된 이후에야 고민이 들어가는거지...
Brunner 20-12-14 13:44
   
바이퍼도 한국의 공격헬기 도입사업에 도전한다고
가격 낮출 가능성 있습니다 이번에 도입해서 해병대용으로
사용합니다
카라스 20-12-14 14:00
   
말이면 다  말인줄아나얼척없네 ㅋㅋㅋㅋㅋㅋ
여름한나비 20-12-14 14:01
   
해병대만을 위해서라면 1개 대대도 못되는 건데 이걸 바이퍼로 따로 도입하는 건 비효율이죠. 해외 도입할 거면 그냥 육군 아파치 추가 구매할 때 같이 구매하는데 가격 협상에도 좋고 추후 관리와 정비도 좋구요.
III복불복III 20-12-14 14:18
   
전 아파치건 바이퍼건 둘 다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해병대용으로
바이퍼 도입 해봤자 소량일테고 문제는 도입 이후 바이퍼 관련 부품
비용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을지 걱정임
아무 20-12-14 14:30
   
도입해야 한다면 아파치죠. 소량 구매해서는 경제성이 너무 떨어져요. 단종이라도 되면 부품 못구해 동류전환이라도 해야는데 미 해병대 밖에 안쓰는 물건이라 어디서 구하지도 못해요.
해병대는 다 좋은데 미 해병대 처럼 되려고 하는 건 욕심이지 않나 싶네요.
한국은 미국이 아니고 한국 해병대는 미 해병대가 아니예요. 뱁새가 황새 따라가려 했다가는 가랑이가 찢어집니다.
포근한구름 20-12-14 15:05
   
육군에서 쓰고있는 아파치 같이 쓰는게 정비나 부품확보면에서 좋아보임..
바이퍼는 수량이 많은것도 아니고 배보다 배꼽이 더 클듯..
수리온 무장형은 수리온 기본형보다 느릴게 뻔한데 이걸? 이란 느낌..
야구아제 20-12-14 17:07
   
만약에 해병대가 바이퍼로 가겠다면 마린온 버리고 베놈과 함께 도입해야죠.

하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육군이 아파치를 대량 구매할 때 한국항공이 면허권까지 좀 따서 해병대용까지 만들어 주는 방향이 제일 좋을 듯 합니다.
나그네x 20-12-14 21:43
   
바이버도 좋은 기종인건 맞습니다만 문제는 한국군의 공격헬기의 주력으로 아파치가디언으로 잡은 상태입니다.
벌써 30대 넘게 들어와 있고 이것도 세계적으로 볼때 적은 수량이 아닌데 그런데 이보다 더많으 수량으로 추가 도입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볼때도 상당히 많은 전력. 개인적으로도 너무 많이 들여오는게 아닌가 할정도.
이게 무슨 뜻이냐면 아파치가디언에 관련된 부품수급과 정비시스템과 운영관리시스템을 그정도 규모로 계획한다는것.
다들 아시겠지만 어떤전력이던 초기도입비용 보다 더많은 비용이 정비,운영관리비용으로 나갑니다.
자 그럼 생각해볼것이 세계적으로 메인공격헬기를 이중으로 운영하는 나라가 몇이나 될까.
주력공격헬기를 미군이나 러시아처럼 이중으로 굴려보자는 것이라면 음..
보조 무장헬기나 중고기라면 모를까 최신공격헬기를 2종으로 운영한다라. 이건 고민해봐야할 문제.

그리고 아파치가디언과 바이퍼중 세계적으로 어느기종이 주력으로 사용되는지도 생각해봐야할 문제임.
그만큼 많이 사용한다는것은 그에 관련한 무장,부품수급,장비관련에서 수급량이 많고 보다 저렴해진다는것.
대량생산 가격하락 이른바 "규모의 경제"를 아파치는 어느정도 이루고 있다고 하더군요.
한국의 조기경보기인 피스아이기종도 일부 소수의 나라만 사용하는 기체여서 부품수급과 정비 운영관리 문제로 한동안 운영을 못했을 정도라고 한다는. 이런 문제가 포인트임.
바이퍼 수출국을 찾아보니 파키스탄과 바레인 두 나라더군요.

만약 해병대용으로 아파치가 안되면 아마도 무장온으로 다시 결정될 확율이 꾀 있지않을까 생각함.
예산은 한정되어 있기때문에 천조국이라는 미군처럼 육군용,해병대용으로 메인주력 기종을 이중으로 쓰기에는 고민좀 해봐야 할것같음.
뭐 그래도 군에서 바이퍼로 가겠다고 한다면야.. 다 고민해보고 결정한 것이겠지요.
그리고 가동율은 아파치가 바이퍼보다 꾀 높지 않나요?. 잘못 알고있었나.
nigma 20-12-15 00:35
   
?? 바이퍼가 무리이지 어쨰 아파치가 무리인가요?
쓰신 내용들이 죄다 여기서 알려진 내용과 많이 다르거나 반대입니다. 뭔가 잘못 알고 계신듯...(아니면 여기 알려전 정보들이 ...??)

1) 바이퍼가 훨~씬 비쌉니다. 대당 도입가도 그렇지만 그외 군수 유지보수 생각하면 더 비쌉니다. 아마 최소 1.5~2.X배
2) 바이퍼가 가동률이 심각하게 떨어집니다. 여기 자료 검색해보시거나 다른 곳에서 잘 찾아보시길...
3) 성능상 아파치가 많이 앞섭니다. 유지보수성도 훨씬 좋습니다.
4) 특히 네트웍전 등 입체적인 작전을 펼 수 있어 바이퍼와 비할 바가 아닙니다.
5) 말이 해상이지 실제는 대부분 육상이나 육상 근처에서 작전이고 작전 지로 이동하기 위해 배에 싣고 있는 것이 해상의 전부이니 미 해병대의 활용 환경과 우리의 활용환경은 전혀 다릅니다.
6) 미국에 워낙 도입 댓수도 많고 사용국들도 많아 미래가 있지만 바이퍼는 단종을 앞두고 생산란인 없어질 겁니다. 우리가 생산 라인 없어서 도입 못하거나 도입후 문제 생긴 것들을 보면
7) 동체등 입루 주요 품목울 우리가 생산하기에 유지보수는 물론 우리 기업에 돌아오는 수익을 고려할 때 보이지 않는 도입가 추가하락 효과가 있습니다.
8) 그외 동일기종 효과로 여러 장점들...

추가로 조금 다른 얘기를 하자면, 개인적 생각입니다만 어쩌면 육군에 대한 어떤 불편함이 작용했는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많이듭니다.
솔직히 상륙지원 부대로 헬기부대를 운영할 것이라면 차라리 육군소속에 두는 것이 더 좋단 생각이 듭니다. 육군도 상륙 작전을 안하는 것도 아니고 대규모 상륙작전과 그 지원이라면 오히려 육군이 더 적합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니면 우리도 미군이 아니라 프랑스나 이탈리아처럼 해병대 소속을 육군으로 옮겨도 좋곘단 생각입니다. 제가 볼 땐 우리의 해병대는 해군보다는 육군에 더 가깝고 더 어울리지 않나 싶습니다.
     
수염차 20-12-15 19:14
   
순수기체가격이....
마린온무장형....290억
바이퍼....350억
아파치....500억입니다
여기서 마린온무장형은 개발비용 포함해서 360/370억 정도로 바이퍼보다 살짝 비싸진겁니다...
허나 후속 군수지원에서 바이퍼나 아파치와 비교불가로 저렴하고 신속하지요....

개똥같은 수리온에 스터브윙도 장착해보고 무장도 운용해봐야 노하우를 쌓아서 후속모델을
제대로 개발하지요
맨날 남의것만 구매해서 뜯어보지도 못하고 돈만 지불하면
언제 우리것을 개발합니까....

해병대가 원래 가지고잇던 바이퍼나 아파치를 도태시키고 마린온무장형을 쓰라고 준다는것이 아닙니다
해병대는 아무것도 없이 지금껏 활동하던 중이엇죠

공군도하이급인 F22랩터 도입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로우급인 F35라이트닝2 도입햇지요
거기에 더해서 전혀 검증도 안된 KFX보라매 기달리고 잇는중입니다....
          
nigma 20-12-16 11:11
   
흠, 어느게 정확한지 모르겠지만 여기 과거 올라온 자료는 순수 도입가가 더 비쌌습니다.
일단 위키에 나온 자료만 보면 AH-1Z 바이퍼는 US$31 million, AH-65E 가디언은 US$35.5M 입니다.
기억이 정확치 않은데 어쩌면 바이퍼가 비쌌던 이유가 프록램코스트였기 때문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이미 도입했던 기종으로 그외 추가적인 비용들(조정, 정비 교육, 관련 시설 등등의 프로그램코스트)이 별로 들일이 없지만 바이퍼로 선택하면 정비라인 등 모든 걸 새로 도입해야 해서 많은 비용이 듭니다. 아마 2배에서 2.5배쯤 되었던 것 같은데 모르겠네요.
게다가 가동률은 물론 부품소모유지에도 아파치가 많이 유리한 것으로 아는데 비용면에서는 바이퍼가 아파치에 비할 바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외 동종 운영으로 인한 관리유지비의 절감도 있고 추후 무슨 무기를 새로 인티해도 두 기종보단 아파치 단일로 비용절검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병참 뿐 아니라 추후 병력운영의 유연성도 있으니(필요시 기존 육군에서 일부 차출 또는 그 반대) 공격헬기는 아파치로 통일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성능은 물론(바이퍼는 출력의 부족으로 무장과 기동의 제한이 있습니다. 말이 해상용이지 바닷가 센 바람이 애로가 있습니다.) 운영상의 잇점도 아파치가 우위에 있으니 바이퍼를 택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식이 20-12-15 08:35
   
그냥 무장드론 가면 될것을 뭘 고민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