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09-07 00:11
[잡담] 밑에 미사일 관련 글 보고 씁니다.
 글쓴이 : 왜이래
조회 : 762  

아래 글 보다 순항 미사일 요격 가능성에 대해 얘기하시는 거보고 
순항 미사일과 탄도탄의 유도 방식 관련해서 알아 두시면 도움 될까 싶어 씁니다.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ㅎㅎ 잘못된 점 있으면 지적 바랍니다. 

주제가 순항미사일이 요격하기 쉽다 어렵다 이거 같은데 일단 
각 미사일들의 유도방식에 대해 쓰겠습니다.

우선 탄도탄 입니다.


탄도탄이 가장 무서운게 고고도에서 음속의 10배 내외의 속도로 떨어지는 바람에 
추적은 용이해도 요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거 다들 아실 겁니다. 
그래서 다들 이 놈을 전략 무기로 활용하려는 거고. 


문제는 이 놈의 속도때문에 정확한 유도가 매우 어렵다는거죠. 
사실 탄두에 별도의 모터를 달아 제어하는 것도 말이 쉽지 
그 엄청난 속도로 떨어지는 놈을 목표지점 근처로 정확히 유도 한다는게... 
그렇게 보면 토폴은 진짜 괴물인듯 듣기로 이 놈은 재돌입단계에서 탄두의 
궤도 수정이 가능하다고... 


음 말이 좀 새나갓는데 탄도탄의 정확도는 사실 발사 단계와 탈출 단계에 달렸다고 봐야 합니다. 
최고점에 도달한 이후는 관성으로 날아가는 가기 때문이죠. 별도의 추진체 없습니다. 
걍 대기권 밖에서의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뀌면서 그 엄청난 속도를 내는 거죠. 
걍 소행성 낙하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최초 발사시 정확한 궤도 계산이 필요하고 그 궤도 계산 대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발사 시와 발사 후  로켓의 속도와 자세 제어에 달려 있습니다. 
발사 단계에서 그 방향과 속도를 정확히 잡아 줘야 다시 떨어질때도 예상한 방향으로 
떨어질테니까요. 
이걸 관성 항법이라고 부르고 이를 제어하는 걸 관성 항법 장치(INS)라고 합니다.


이는 뭐 특별히 최근에 나온게 아니고 그 전부터 있던 겁니다.(예:독일의 V2나 V1)
왠만한 비행기나 몇몇 특정 선박에도 다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탄도탄 같은 정밀한 유도 장치에 달린 INS는 전략 통제 물자로 MTCR의 관리 대상입니다.


따라서 일단 인공위성을 원하는 궤도에 정확히 올릴 수 있다면 역으로 원하는 위치에 떨어트릴
수도 있다고 봐야 합니다. 
더욱 정확한 유도를 위해 탄두가 추진체에서 분리되기 전 추진체가 어느 정도 오차를 보정해
줄 필요도 있긴 하지만 일단 이것만 되도 기본적인 대륙간 탄도탄으로써 자격은 갖춘 셈입니다. 


물론 실제 돌입시에 필요한 열 방호 대책이나 엄청난 중력 가속도에 내부 장비들(기폭장치, 
고도계등)이 버틸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서 입니다.(일본은 이게 됩니다)


결론은 앞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인공위성 제 궤도에 올려 놓을 수 있다면 대륙간 탄도탄 
기능도 할 수 있다고 봐야 합니다. 정확도면에서 개선의 여지는 좀 있을 수 있어도 정확도 
자체가 발사전 궤도 계산과 발사직후 로켓 제어에 크게 연관되니 거의 된다고 봐야죠.
미국과 소련의 초기 대륙간 탄도탄도 미,소간 우주경쟁의 산물이죠. 우주 개발 하다보니 
인공위성 쏘는 로켓이 그대로 초기의 대륙간 탄도탄이 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러시아 같은 경우는 최근 역으로 구소련 시절 대륙간 탄도탄을 인공위성 발사 로켓으로 
전용하기도 합니다. SS-18이 그 예죠





순항 미사일은 유도 방식이 전술한 관성 항법 장치 외에도 특별한 게 좀 붙습니다.
아랫글에서 나온 것처럼 GPS를 보정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메인은 TARCOM(맞나?)입니다.


TARCOM은 지형을 추적해서 그 지형을 보고 미사일이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관성 항법 장치와 요즘은 GPS도 같이 사용해서 종합적으로 위치를 계산하죠. 


이걸 하려면 일단 밀리미터파 인공 위성을 지구 궤도상에 띄워야 합니다.(비행기도 가능은 함) 
그리고 그게 지구 전체를 차근 차근 스캔해서 3차원 지도를 만듭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든 지도에서 토마호크의 경로로 설정한 부분의 데이터를 토마호크등에 입력하고 
최초 출발점 정보를 INS나 기타 다른 장비에 셋팅해 줍니다. 


이렇게 한 후에 발사하면 토마호크에서 하방 탐색 레이더를 가동, 지형을 스캔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스캔해서 얻은 지형 데이터를 기존에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INS 위치와
비교해서 현재 자신의 위치를 추정합니다. 이를 계속 반복하면서 비행합니다.
이게 순항 미사일의 유도 방식이죠. 최소한 토마호크는 그렇습니다. 
웨이포인트를 찍는 것도 이러한 시스템의 도움을 얻어야 가능합니다. 
단순히 INS만으로는 웨이 포인트가 어딘지 정확히 알기 어렵습니다.(해상에서는 가능)
물론 요즘은 군용 GPS 코드로  TARCOM 없이 걍 웨이 포인트 설정하고 레이더로 전방 파악해서
장애물 있음 피해가고도 합니다만....

대함미사일과 가장 큰 차이점이 이거죠. 
일반적인 웨이포인트 지정이나 목표 데이터 업데이트, 시커등은 대함 미사일과 비교해서 
큰 차이 없지만(SLAM-ER 경우 최종 확인을 위해 광학 카메라가 달려 있슴)이런 지형 추적은
지상 타격용 순항 미사일만의 특징이죠. 대함 미사일엔 이런게 필요 없죠. 

실제로 걸프전 페르시아 만에서 발사된 미해군 토마호크 미사일이 바그다드로 곧장 가지 않고
이란의 산악지대를 거쳐 가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죠. 
이유가 바그다드까지 직선거리로 가면 TARCOM에서 이정표로 삼을만한 고지대가 없어 
미사일이 길을 잃을 우려가 있어서 경로를 그리로 잡았다고 합니다. 
 
우리도 아리랑 3호 였던가, 어디서 봤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SAR 레이더가 달린 위성
발사 계획이 국방 백서에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 부분은 재 확인 해야 할 듯 합니다.


썰이 길었는데 핵심은 순항 미사일 요격이 쉬우냐 어려우냐 그래서 얼마만큼 살아남아서
목표까지 가느냐 인데...


여기부터는 제 생각입니다. 


만약 우리가 한반도에서 발사해서 바다 건너서 간다면 아마 저쪽 방공망이나 조기경보기에
발각되어 쉽게 요격되리라 봅니다. 해상에서는 아무래도 발견하기 쉬우니까요. 
순항미사일이 발견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탐지 후 요격은 아무래도 쉽죠. 
미사일이라 해도 위치만 파악하면 그저 저공 비행하는 작은 비행체에 불과하니..


하지만 일본 근처 해상에서 발사해서 단시간내 육상으로 진입하면 그때부턴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일단 산이나 계곡 같은 레이더나 기타 다른 탐지수단으로부터의 사각지대가 많을테니까요.

미공군이 지금은 퇴역한  F-117 운영할 때 미리 수집해놓은 적국 레이더 사이트와 기타
탐지 수단들 사이의 영역과 사각을 연결해 침투 경로로 삼았죠. 
기실 스텔스라는게 RCS를 줄여 탐지 거리와 탐지 가능성을 줄인거다 보니 성공적인 
작전을 위해선 이 과정은 필수였죠.

여기에 순항 미사일의 작은 RCS 또한 이를 도와주는 요소이구요.


즉 순항 미사일의 경로는 발사하는 쪽 마음이니 이런 경로만 잘 찾아 간다면 가능성이 
높을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막는 쪽은 이거 감안해서 자신들의 사각지대를 어떻게든 줄여야 할 거구요.

그리고 ELINT목적의 전자전 정찰기들의 평상시 주요 업무중의 하나가 이러한 상대방
레이더 사이트의 위치와 관련 신호 정보 수집이죠. 이게 침투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테니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펜타 12-09-07 00:19
   
오  ~~  훌륭합니다....  감사

위성체 궤도기술이 곧  재돌입기술인것을요......

아참  우리위성도 합성개구레이다 달앗다는걸로 압니다~
ㄷㄷㄷ 12-09-07 00:22
   
글은 이렇게 쓰는거죠!
예의를 갖추셔서 육상에서 요격이 어렵지 않을까라고 하셨지만 그러실 필요까지야
일단 육상에 상륙하면 요격은 물론 지난합지요. 육상까지 도달시키기 힘들다는거..
굿잡스 12-09-07 00:24
   
좋은 말씀!! 단순히 속도 파괴력 이런 스펙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전략적 관점에서  전술적으로 시기 적절하게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실전에서는 효과가 극대화 혹은 극소화 될 수 있겠죠.
스펜타 12-09-07 00:24
   
진짜 토폴은 종말단계에서 유도가 가능한 원리가 몰까요?

그것도  여러가지의 다탄두를.. ㅎㄷㄷ
굿잡스 12-09-07 00:30
   
울 나라 하루 속히 대형 잠수함 전력 갖추어서 SLBM만 확실히 실전운용만 하면 잽과 해군력 싸움에서 그래로 어느 정도 다리 뻗고 잘수 있는데.
81mOP 12-09-07 00:38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유익한 글이네요..^^
왜이래 12-09-07 00:41
   
그냥 예전에 눈팅한거랑 들고 있는 자료 좀 찾아서 쓴 글인데 이렇게 호응해주시니 감사요~~
토폴은 진짜 제가 생각해도 대단합니다.
하긴 러시아 놈들이 부쉬가 MD하면서 그거 깰려고 만든 물건이니 러시아의 우주기술이 집대성 되서 만들었겟죠.
그런거 보면 정말 불곰의 포스 그냥 나온게 아닌거 같습니다.
     
굿잡스 12-09-07 00:46
   
남북한 통일에  러시아와 좋은 협력관계로 끌어들어 유지해도 군사, 우주항공, 기초 공학쪽 기술 흡수 상당할 것으로 보이는데 쭉쭉 빨아 댕겨야 하는디... 울 나라 미국 기술 장점에 러시아 기술 장점 퓨전화 잘하는 나라니 잘 만하면 그 이상의 시너지 기술력 업그레드물도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왜이래 12-09-07 01:08
   
사실 저번 나로호 발사시에 액체 1단 로켓은 정말 아쉬운 부분이었죠.
1단 액체 로켓 앙가라 로켓에 기반한 신형 로켓으로 알고 있는데 우린 거기 관련된 어떤 소스에도 접근 하지 못했습니다. 협약에 관련 내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구요.
러시아 의회의 제동에 의한 정치적 결정이었던거로 기억합니다만 진짜 아쉽고 또 화나는
일이기도 했죠.
하지만 어쩔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구요.
뭐 하지만 발사장 건설과 발사 통제 관련한 많은 노하우를 얻었다고 하니 완전히 손해나는
장사는 아니었죠.
사실 이런 우주 항공 기술 뿐만이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 러시아와의 교류가 상당히 많은 걸로
알고 잇습니다. 예전에 카이스트에 가보면 러시아에서 온 연구 인력들이 제법 됐죠.
이렇게 하나씩 하다 보면 님 말씀대로 상당한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실제 그러한 성과가 나오는 부분도 있구요. 제가 아는 것만도 꽤 큰게 몇개 있습니다.
아직 상용화가 안되서 그렇지.
에구 글쓰다 보니 시간이 이렇게
전 이만...
               
굿잡스 12-09-07 01:10
   
제가 알기는 그때 미국쪽에서 압력 들어갔다고 알고 있는데..
                    
세르파 12-09-07 01:14
   
과연 미국만....
분명 쨉도 관련이 있을걸로 추정.ㅋㅋ
세르파 12-09-07 01:03
   
좋은글입니다.

생뚱맞지만......미국과 우리의 탄도탄 방어전략은 완전히 틀린것 아닌가요,,,,,북한,일본?에서 쏘는 탄도탄의 최고속도는 음속6 전후가 아닐까요,그럼 충분히 s-400으로 대응가능 하리라 봅니다.

우리가 md거부하는 이유는 탄도탄발사시 미슬의 목적지가 어딘지 바로나오고 그럼 미국으로 향하는 미슬을 우리가 1차로 요격해야 한다면 그만큼 새로운 요격미슬을 구비해야된부담,,더하기 중국의 1차 타켓이 될가능성...
귀환자 12-09-07 01:32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
미라이나 12-09-07 02:19
   
근래 ICBM은 재돌입시 입사각을 수정하기 위해 추진제나 가스를 통해 변경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tarcom 은 핑거프린트의  후세대라 볼 있습니다.
크루즈미샬의 원형인 슬램프로젝트를 통해 핑거프린트를 개발해내는데요 바로 지형을 데이터화 해서 레이더를 통해그지형과 일치하 곳의 위치를 확인하는것입니다. 이 지형의 데이터화가 엄청난 빛을 보죠 ...핸드폰 만있음 우리가 어디에있는지 일일히 확인할 수 있게되니 말입니다. (물론 핑거프린트의 데이터는 등고선의 이차원데이터라 현재의 데이터맵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당시에는 완벽한 데이터맵을 구축하기 어려워 오차범위가 꽤있었는데 현대의 완벽한 데이터 맵과 보정기술들 (GPS)이 출연하면서 큰빛을 보게 됩니다.
스마트MS 12-09-07 10:25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