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09-07 14:41
[잡담] E-767 해상클러터 문제
 글쓴이 : 스펜타
조회 : 1,008  

레이다.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종훈이당 12-09-07 15:02
   
이게 다 되면 다른 장비들이 왜 개발 될까요.. 제말은 기능이 없는게 아니라 쓸만하게 되는지 문제 아닐까요 해면 클러터의 영향이 수면 몇미터 까지 인지는 몰라도 해면에 가까울수록 심할거고 저고도가 된다는 것하고 초저고도가 된다는건 큰 차이 같은데..
해상 감시가 안된다는게 아니고 초저고도 고속으로 작은 물체가 움직일때 이야기 아니겠습니까 이게 요격이 어려우니 적외선도 들이고 다상방식의 레이더도 개발해보고 하는건 아닌지... 굳이 다 되는데 자꾸 돈들여 왜 더 개발하겠냐는 거죠..
     
스펜타 12-09-07 16:22
   
저는  여기서 집고 넘어가야할게 초저공하는 비행체가

대함미사일인지  순항미사일인지 묻고싶습니다

대함미사일같은 경우 자체적으로 시스키밍기능 통해
초저공비행가능한데

순항미사일같은경우  tarcom  지형인식 시스템을

사용하기위해서는 일정고도 이상을  날고있어야되기때문입니다


너무 낮은고도라면 tarcon이  무용지물ㅣ죠
지상에서조차 일정고도이상을 날아야하는데
시스키밍 능력을 순항미사일이 가지고 있단게....
          
종훈이당 12-09-07 16:30
   
저도 초짜라 잘은 모르지만 해협을 건널때는 지형인식으로 가는게 아닐겁니다. 요즘 순항이 복합적으로 움직이지 하나만 채택하지 않을 겁니다. 오히려 제가 묻고 싶은데 망망대해에 어느정도 높이면 지형인식해서 날아다닐수 있는지요 고도가 낮든 높든 인식할 지형구조물이 있기 하나요? 그래도 해협인데 어느 정도 높이면 인식할 지형이 달라지는지?
          
삽자루1018 12-09-07 23:26
   
정확히 말하면 구분이 없어지고 잇죠..기술 개발로..
짐 해군이 해성2 미사일을 대함이라고 할지 순항이라 할지 결정하지 못할 정도로..
현재 항법주행이 ins+tarcon+gps+적외선 영상 유도..
또 뭐가 될지 모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