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3-10 15:36
[뉴스] 1회 충전에 800km 주행… 삼성전자, 전고체전지 기술 공개
 글쓴이 : 노닉
조회 : 3,220  


두께 줄여 크기 절반으로…車배터리 수명 늘이고 안전성은 높여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삼성전자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Battery)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는 반으로 줄이는 원천 기술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를 통해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배터리 1회 충전에 800km 주행하고 1천회 이상 재충전할 수 있어 전기차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전고체전지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하는 전지다.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해 대용량을 구현하고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후략)



삼성전자, 전고체전지 혁신기술 '네이처 에너지' 게재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는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전지'(All-Solid-State Battery)의 수명과 안전성을 높이고 크기는 반으로 줄이는 원천 기술을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에너지'(Nature Energy)를 통해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버럭오바마 20-03-10 16:04
   
일마들 미국에서 외계인 한명 분양받아온게 확실함.
땡말벌11 20-03-10 16:12
   
진짜 삼성은 기술개발에 선두구자인 듯.
없는 기술이 없네.
화이팅 20-03-10 16:35
   
800km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충전시간일텐데...그에 대한 언급은 없네요...
     
사커좀비 20-03-10 16:55
   
전기차용으로 개발했다는 거 보니...
7시간 완충이지 않겄어유?
     
운세대통 20-03-10 18:02
   
스노쿨링의 경우는 얼마나 좋은 디젤엔진을 얼마나 많이 설치하는 것에 따리 달
라진다고 합니다. 요즘 프랑스/독일의 경우는 40분 스노쿨링을 3-4시간마다 해주면
거의 15노트 속도를 지속 할수 있어서 원잠까진 안되두 앵간한 국가의 해양에선
원잠에 가까운 작전능력을 지닐수 있다고 하더군여..
     
현시창 20-03-10 19:40
   
전고체전지의 경우 리튬이온 전지보다 충전속도가 빠릅니다. 도요타의 경우 5분 이내 80%충전이 가능한 기술을 2023년까지 상용화할 예정이고, 삼성 역시도 비슷한 수준의 기술입니다. 사실상 전기자동차 완전상용화의 키포인트가 이 고체전지의 상용화 여부라고 할 정도로 의미가 깊은 기술입니다.
          
운세대통 20-03-10 21:44
   
현시창님, 잠수함 전지충전의 경우 디젤엔진 출력 역시 잘 받쳐줘야지 빠르게 충전할수 있단 내용을 책에서 봤던 것 같은데.... 전고체전지가 리튬이온전지보다 충전속도가 빠른데,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선 디젤엔진출력도 받쳐줘야한다?? 이정도로 이해하면 되나요??
               
현시창 20-03-10 22:49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울러 전고체전지의 에너지 밀도 역시 리튬 이온의 약 2배입니다. 거기다 리튬 이온과는 달리 폭발 위험성이 적어서 기존의 보호용 커버를 씌울 일도 없습니다. 당연하지만 부피와 무게가 모두 줄게 되지요.
          
nigma 20-03-20 08:15
   
수소차에 위협이 크겠네요...
draw 20-03-10 17:25
   
왜구 도요타도 전고체전지 개발에 사활인거 같던데 대단함,
전자쪽에서 상용화 하는건지, 아님 삼성sdi쪽으로 넘겨주는건지 ...
운세대통 20-03-10 17:58
   
전고체 리튬의 경우 일반적인 리튬보다 에너지 밀도가 2배정도
높다고 하더군여(반드시 효율의 문제는 아니고, 다른 장비들까지
다 감안해서 그렇다더군여/ 에너지 효율이 높더라도 냉각장치나
다른 장치가 많이 필요하면 동일 체적대비 효율은 오히려 떨어
질수 있구..) 이게 원자력 잠수함과 어케보면 경쟁관계라고
할수 있답니다.

3천톤급 잠수함 batch2의 경우 리튬전지를 사용하긴 하지만
batch1의 잠수함 형태 제한이 있기 때문에
리튬전지 최적화가 이뤄지진 않은 이번에
취역한 일본 오류급과 비슷한 레벨의 잠항시간/최대속도 유지
시간을 가질거라고 하는데요

batch3의 경우 리튬전지에 최적화된 잠수함 구조를 만들고
전고체 리튬을 사용하고 몇가지 신기술을 사용하면
현재 안창호급 잠수함의 10배이상의 잠항시간 및
최대속도 유지시간을 늘릴수 있다고 합니다.
잘만하믄 적어도 한반도 주변 및 동중국해 근처까진
원자력 잠수함과 비슷한 전투력이 가능....
그래서 이것이 batch-3사업할때 여러가지 정치적인
문제 사회제반의 문제(원잠의 경우 사고 예방 및
연료봉 처리문제및 비용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하더군여..해군 혼자서 어케해볼수가 없는..)등이
있는 원잠보다 전고체리튬 기반 잠수함이 더
점수를 받을 가능성도 높다고 합니다.
태강즉절 20-03-10 21:59
   
핵잠은 몰겠고 쬐깐한 수상 함정에 저걸 탑재하면..
고속으로 땡겨도  정숙 주행?... 파도치는 소리와 혼동하게시리..적지 침투 목적으로 쓰면 쥑이겠네..
토왜참살 20-03-11 00:51
   
대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