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1-16 21:35
[잡담] 벌써 수년전에 썼던 글이지만, 저렴한 무인기가 8km정도 사거리를 지닌 공대지 무기로 쏴댄다면
 글쓴이 : 모래니
조회 : 1,180  

답도 안나온다고 말한적 있었죠.
기갑차량들은 전부 골로갈거라고.

따라서, KFX보다 무인기 사업과 그 대책사업에 몰두해야한다고...
(대드론 지대공, 공대공 미사일 같은 것들도)

우린 대 드론 대비를 했습니까?
안했지. 마찬가지에요. 만약 전투기들이 드론 놓치기 시작하면 답안나옵니다.

그때 말했던 그대로 터키가 시현해버리니, 오히려 제가 더 어색하네요.
50억정도 하는 드론이 8km정도 사거리지닌 공대지 무기를 쏴대고

그런 드론 200여대를 보유하면, 기갑차량들은 답 안나올거라고..
이런 드론을 보유해야하고, 동시에 반드시 대드론 대비를 우리도 해야한다고 했었죠.
헬파이어보다 가볍고, 사거리가 긴 저렴한 공대지 미사일도 반드시 개발해야하고...

그건 이제 각설하고,
아르제바이잔이 어떻게 드론을 통제하는지가 문제의 핵심일텐데.
드론을 통제하려면, 고고도에 드론을 통제할 뭔가가 떠있거나 아니면 인공위성으로 통제해야할텐데.
그걸 제거해버리던가 해야지... 순수하게 지상에서 통제하는건 이상하죠.
전파의 습성상. 드론이 활약할 수 있는 거리가 너무 짧아서.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끄트머리 20-11-16 21:52
   
드론잡는건 재밍으로잡는게 효율이좋죠
싼드론에 미사일은 적절한대응이 아니죠,

재밍건도 만들었구요
 그걸발전시켜 복합비호에 재밍탑재하면됩니다,
     
모래니 20-11-16 21:56
   
GPS 재밍은 회피할수 있는 방법이 너무 많아요.
초기에 아차! 그런 방법이 있었군.  하고 한두번은 당해줄 수도 있겠지만
후계기에는 바로 GPS 재밍 피할수 있게 만들수 있어요.

자신의 위치를 계속 체크하다가 갑자기 위치가 크게 변하면
바로 앞에서 자신의 위치(계산된)와 GPS간의 오차, 그리고 급격히 변한 수치를 기준으로 되돌아가버리거나, 아니면 조종사(땅위에 있는)가 조정하면 그걸로 쫑입니다.
          
끄트머리 20-11-16 22:34
   
GPS뿐만아니라 자세제어,조정수신교란등
여러가지로 할수있죠 드론이만능은 아니란거죠
아르매니아는 대공,전자전개념 없어서 무력하게 당한거지 드론이 무적은 아니란거죠
     
영수7 20-11-17 16:33
   
우리나라 안티드론 건으로 시현한거 보셨죠 ㅋ 그게 사거리가 150m랍 니다 ㅋ
          
영수7 20-11-17 16:36
   
우리가 그런 재밍이 안되는 드론을 만들 생각은 안하고 드론이 무용지물이다
이렇게 말하는 게 무슨소용임 ?  우리가 기술이 없어 머가 없어 ?
도나201 20-11-16 22:56
   
상대에 따라 다르다라는게 맞다고 봅니다.

우선은 드론을 공격형무기로 사용한 터키에 대해서 직접적인 제재를 가할 이유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아마도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놓은 기분.

우선은 드론의 한계성을 봐야 합니다.
1. 짧은 사거리.
2. 폭발력.
3. ai능력.
4. 사용자에 대한 기반시설.

이를 안티드론의 개발은 같이 개발되어 왔고,
이분야에서 상당부분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습니다.

현재 드론의 천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거리 레이저 무기의 개발.  현재로서는 사거리가 2km 이내
뭐 아직까지 몇가지 단점을 극복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최적의 천적은 단거리 레이저방공무기 개발이 가장 적절하다고 봅니다.

두번째로는 전파방해장비.
어차피 저개발비용을 하는 드론에게 송수신장비 및 gps 유도장비로 볼때 그 한계성은 극명하게 나와있습니다.
이것 역시 사거리 1.5km 이상의 교란장비 및 송수신장비파괴로 인한 방향성.
상실 무력화......기능.

이장비는 그나마 현재기술로서는 가장 극명하게 나오는데
이에 대한 수출하기에는 상당히 고가의 장비 이고 수량 및 보급에 상당한 문제가 보인다라는 것.
일종의 극비급의 물건이기에...

현재로서는 생산국에 엄청난 우방아니고서는 수출이 힘듬.

3.전파방해폭탄. 일종의 emp탄........
이건 아군에도 영향을 미칠사항이어서 이부분에서는 조금 사용하기 힘듬.
특히 이건 나노물질까지 섞여서.....인체에 해로운 상황도 있으니.
정말 극악의 물건임.  어떻게 보면 제2의 화학무기가 될수 있기에...사용자제중.

4. 공중지뢰.
이것은 상대적으로 가장 발전된 성향의 스마트한 대책임.
그러나 운영에 따른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님.
최소한 상황전개하려는 초기 시간이 필요함.
거기에 30분이내의 보호시간적인한계성이 됨. ㅡ.ㅡ.

5. 무차별적인 포격. ㅡ.ㅡ
그전에 작전적으로 확실한 정보가 필요한 상황.
이것은 제네바협약에 위반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도 섞여 있음.
어떻게 보면 이방법이 확실할수 있음.
드론의 가장 큰 맹점은 컨트롤박스가 존재한다라는 점.
이에 대한 컨트롤박스의 집중포격이 가장 효과적임.
실질적인피해와 상황도 가장 효과적이고,

자폭드론이지............그 그크기가 1,5미터 이하라는 소리임.

탐지는 문제가 아닌데 ...... 다만 문제는 이동성에 대한 문제가 가장 큰문제임.
일반보병작전에 항상 동행할수 없다라는 게 문제점임.


현재로서는 터키에 대한 제재하는 분위기를 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러시아, 중국이 어마무시하게 개발진행을 하고 있으니.
또 각국가에서 이러한 드론무기를 다들 갖고 있으니

결국 드론무기는 개발능력 및 안티드론의 자체개발능력이 없는 국가만 인명살상피해를 가져올수 밖에 없는 상황임.

드론이 무시무시한 이유는 단하나...................대인 살상용이라는 사실이다.
뭐 가끔 대전차네 뭐네 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것은 대인살상용 무기를
그것도 아무런 죄책감도 없이 사살하는 무기라는 점이 극악의 무기로 취급하지 않는 이상
앞으로 드론의 사용은 이미 열려버린 판도라의 상자가 아닐까 싶어진다.

터키의 드론개발 및 실전사용에 있어서 이미 다른 안티드론 생산국들은 터키의 무인기는
사실상 폐기처분되어버릴정도로 조악한 물건이 되어 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드론이라는 무기는 한마디로 말해서 안티드론생산능력이 있는 국가에는 1회성무기밖에 취급되지 않는다라는
이야기입니다.
로딩중에러 20-11-16 23:00
   
사거리 8킬로가 고도를 뜻하겠죠 작전고도 8키 짜리 저렴한 드론은 어떤겁니까.
     
모래니 20-11-16 23:24
   
사거리 8km의 공대지 미사일인 헬파이어에 준하는 미사일을 기본 무장하고 있는 드론이요.
방탕중년단 20-11-17 14:51
   
지옥불 한발에 얼마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