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1-16 21:17
[잡담] 드론전쟁에서는 물량전이 답입니다
 글쓴이 : 쿵했져
조회 : 1,161  

터키가 요즘 드론으로 시리아 아르메니아 리비아에서
상한가인데여
여기서 터키 드론이 상공 6킬로에서 폭격해서
복합비호가 까이는데여 그럼 복합비호말고
상공 6킬로 드론 잘잡는 방공무기가 현재
있나하는겁니다 현재 없지요
드론전에서 방어를 논하는 건 우선순위가
아님니다
드론전은 보다 저렴하게 생산 해서 정확하게
많이 물량으로 상대방을 앞도해야 된다고 봅니다
드론전에서 방어 보다는 공격이 10배정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 합니다
일시에 자폭드론 200대 정도를 국지전에서
적에게 야간에 20킬로  폭탄을 50프로 확율로
적을 타격에 성공 하면 하루저녁에 적은
완전 와해 될겁니다
자폭드론 일시에 1000대 운영한다면
사단 규모도 하루저녁에 와해된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탈곡마귀 20-11-16 21:30
   
미국은 벌써 안티 드론 방해전파 기술 있다는데요.
booms 20-11-16 21:35
   
1000대의 드론을 운용해 적을 무력화 시키는거와 미사일을 이용하는게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미사일은 전천후 용도에 맞춰서 공항, 항구, 주요 벙커 시설까지 다 타격이 가능하죠. 폭발력 관통력 비할바가 아닙니다.

드론이 통할정도면 방공망이 다 씹혔다고 봐야하고 난타전으로 가면 우리에게 결코 이득이 가는 전장환경이 아닙니다.

제공권을 장악했다는 전제하에 전장상황에 맞춰 작전을 지원하는 용도라면야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만....
     
모래니 20-11-16 21:39
   
비용과 융통성, 유연성, 물량등의 차이가 있죠.
          
booms 20-11-16 22:04
   
드론의 장점은 뚜렷하긴 합니다만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활용하는 국가들을 보고 우리 전장환경에 어울릴까를 봐야합니다. 미국, 이스라엘처럼 강제적으로 제공권 부셔서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거나 중동이나 아.아전처럼 애초에 방공망이 약해 활용할 수 있거나 크게 보면 두가지 중 하나겠죠.

우리가 쓰려면 리퍼 정도 급은 되야합니다. 뭐 개발중인 목표도 그정도 급인건 다행인데 북한 이외에 동아시아 국가를 상대로 상정한다면 신뢰성과 안정성이 좀더 필요해보이긴합니다.
               
모래니 20-11-16 22:18
   
보다 많은 실험을 해봐야겠지만, 우리도 드론들에의해 슝슝 구멍이 뚫린 경험이 많죠.
사우디도 그렇고. 무슨 사우디가 비호복합 없어서 그랬다는둥 했을때
제가 비웃었던거 기억 안나시나요? "비호복합 있다고 그게 막아지냐?"했던...

구체적인 대드론 대책을 세우기에 앞서서, 어떤 드론들이 제공기들에 의해 잘잡히며
무작위로 기습적으로 떠서 들어오는 드론들을 잡으려면, 얼마마 많은 제공기들이 하늘에
떠있어야하는지등 부터 알아내는게 급선무일거 같네요.

그러려면, 실제로 다양한 크기의 드론들을 띄워서 제공기들이 잡아내는지 실험부터
해야겠죠.
                    
booms 20-11-16 22:27
   
아주 조악하기 그지 없었고 그나마 대다수 부품도 군용이 아닌 일반 상용제품을 수입에 의존해 만들었던 당시 북한의 첩보용드론을 보고 우려를 한다면 북한의 드론 기술력이 얼마나 더 발전해야 우리의 방공망과 전장환경에 혼란을 줄 수 있을까요??

터키의 바이락타르TB2나 헤르메스보면 최소 6m이상은 되야 거기다 대전차미사일 달아서 쏩니다. 그정도도 탐지못하면 우리쪽 방공능력을 의심해봐야할것같은데요.
                         
모래니 20-11-16 22:30
   
북한이 아무리 돈이 없다한들 50억정도의 드론 하나 살돈도 없을까요?
중국제품은 터키제품보다 더 저렴할거 같은데?

게다가 북한만 상대할 생각 하십니까?

그리고, 윗글에 썼지만 2.4m 날개의 크기를 가진 드론이 삐라를 북한에 뿌렸는데
못잡아냈습니다. 우리 방공망이요.
삐라유포자 - "북한에 보냈는데?"
국방부 - "그런거 못봤는데?"
                         
booms 20-11-16 22:34
   
그러니까 북한만 아닌 동아시아에서 물량전으로 뽑아내면 재력을 무시할 수가 없는데 그럼 상대가 가능하다는 겁니까? 무턱대고 뽑아내자고요?

너무 무인기에 맹신하는 거 아닙니까? 그렇게 발전하면 미사일 만능론이나 별 차이가 없어집니다.

거기다 그게 벌써 6년전입니다. 그사이 아무런 대책을 준비 안했으면 그거 나름대로 문제 인데요? 드론 시장의 강자인 미국, 이스라엘, 중국 이런 나라도 아직은 보조적 수단이지 전면적으로 내세우진 않았습니다.
                         
모래니 20-11-16 22:46
   
무인기 맹신이라뇨? 무인기에 약점이 있으면 후벼파야죠.
그래서 무인기에 대책을 세우고.

동시에 무인기로 무장도 해야죠.
그리고 자율주행 자동차가 의미하는 것은
이제 곧 얼마 안있어서 AI로 무인기가 통제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방향성은 명확합니다.
                         
booms 20-11-16 23:05
   
그러면 뭐가 문제란 건지 모르겠습니다. 한국형 MUAV 중고도 무인기는 네년부터 양산계획 잡혀있고 체급은 리퍼 저리가라 정도 됩니다. 이미 고고도 정찰기는 운용중이잖습니까..
알브 20-11-16 21:35
   
빈약한 체급의 국가끼리 붙다보니 드론이 쎄보이는데,
동북아시아의  대규모 전면전 상황에서 저 정도 활약을 할 수 있을진 회의적이네요.
벽돌 20-11-16 21:48
   
고도 6~7키로에서 드론만한 표적을 탐지하고 추적하는게 쉬운거 아닙니다
비호가 시연했던 Dji P3는 최대 고도 500미터 시속 40km로 토이드론인데 군사용 드론과는 비교가 되질않아요
애초에 왜 그딴걸로 시연한건지.. 참...
GPS교란도 1km 이상 올라가면 약해지고 방해전파역시 미션플래너를 사용한 자율비행일경우엔 문제 되질않죠..
     
레드빈 20-11-16 22:41
   
레이더에 훨씬 안잡히거든요 그래서 더 대단하다고 해주는거구요
레드빈 20-11-16 22:40
   
이번에 터키가 운용한 바이락타르 가격이 대당 60억원 정도니까 천대 운용하면 6조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로딩중에러 20-11-16 22:48
   
전형적인 밀알못 글이네요. 최근 아-아 전쟁 양상보고 글쓰시는듯 한데 이 전쟁에서 사용된 기종 터키산. 혹은 이스라엘산 드론부터 좀 알아보세요. 무작정 글로 써져 있는 뉴스 읽고 살기엔 세상이 복잡합니다.
언급된 두 기체가 신궁 사거리 밖이기는 하죠. 그런데 왜 한국 상대로 안먹힐까. 방공망이 아니라 제공권이 있어서 안되요. 저 드론 둘다 띄우려면 전투기처럼 일정 활주로가 필요합니다. 아울러 중계소or조종담당 시스템이 필요하고 답나왔죠. 포격이던 전투기를 뛰우던 그냥 드론 띄울수 있는 장소에 공격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이하급들은 소위 말해 공격수단으로 보단 관측의 용도로 쓰입니다. 기껏해야 수류탄 혹 조금 더쳐줘 맨패즈 무기 달고 다닐건데 이런것들은 기존 방공체제로 무력화 가능합니다. 
아 아전쟁때 그 흔하디 흔한 전투기 싸움이 없었습니다. 전투기 없이 치뤄진 전쟁이에요.
그렇다고 마냥 무시할수 없는게 드론이기는 하지만 우리 군도 여기에 나름 발맞춰 대응 전략짜고 있습니다.
현 맨패즈 중에 불곰국의 고도 6-7킬로 되는게 가장 좋은걸로 아는데 신궁을 이 수준으로 개량하기 보단 레이저요격. 재밍 체계로 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게 또 맞아 보이고요. 다만 개량 한다면 천마쪽을 손 봐야겠죠
관측용이던 타격용 드론이던 탐지 자산도 이미 나왔고요. 관측용 같은 4면 프로펠러 같은 경우는 사제용 관측장비로도 충분히 탐지 가능합니다. 이미 개발한지 꽤 됐어요. 안 팔려서 그렇지.
막말로 드론으로 이것저것 하고 있는 세상 한국인데 당연하게 그에 대응하는 그 무언가도 있을거란 생각은 왜 안하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