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1-16 16:17
[기타] 인도네시아 육군 지휘체계
 글쓴이 : 노닉
조회 : 1,636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섬이 많은 나라임. 대략 18000개의 섬이 있고, 이 중 사람이 사는 곳은 1000곳이 안 됨. 알다시피 저쪽 지역 섬들은 어디 북극해에서 보던 완만한 섬이 아니라 죄다 같이 산을 끼고 울창한 정글로 된 섬이라서 환경도 지랄맞음. 딱 거대해진 신안군 느낌임 ㅇㅇ 따라서 인도네시아가 지정학적으로 군사력이 겁나 분산되야 안보가 보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맨날 호주하고 이빨만 깔 뿐, 병력을 모아서 호주를 조지러 가거나 지역패권을 다 잡는 그런 일은 일어나기 어려움



인도네시아 육군은 한국육군에서의 생활로 편해진 군붕이들의 생각과는 정 반대의 지휘체계를 가짐. 그리고 그 것도 크게 2가지 지휘체계로 나뉜다고 볼 수 있음. 먼저 위 사진에 큰 섬마다 표기되어 잇는 KODAM 이라는 글자가 보일 것임. 저게 바로 인도네시아 육군의 주력 (30만 중 약 20만)인 지방군사령부 KODAM 임.


한국군 처럼 좁디좁은 한반도가 아니라 저렇게 큰 섬으로 나뉘어져 있고 섬의 크기도 크고 거리도 멀고 문화나 지역 분위기도 다르기 때문에 각 섬에 맞는 지역방위사령부가 사실상 군부의 실세로써 움직임. 코담의 사령관은 소장이 부임되는데, 실제 크기도 딱 사단 크기임. 그러나 분위기나 국민들 인식은 사단이라는 느낌이 아니라 대략 한국군으로 치면 옛날 야전군사령부 (1,3군 시절) 보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인도네시아 육군에는 이런 코담이 15개가 있음. 내가 아까 말 했듯이 코담은 단순히 편제상으로 높은 부대가 아니라 그 지역의 모든 통제권을 갖는 사령부라고 했지? 그렇기 때문에 이 코담 밑에도 무슨무슨 여단 무슨무슨 대대 이렇게 붙는게 아니라 KOREM 이라는 지역군사사령부 가 또 붙음.


이 표는 수마트라 섬 북단에 주둔중인 코담 I 의 편제 중 극히 일부인데 코담 밑에는 코렘이 있고 코렘 밑에는 코딤이 있는 걸 알 수 있음. 코렘은 그 지역에서 좀 큰 도시나 대형 거주구역에 주둔하면서 사령관은 대령정도 되는 딱 여단급 크기의 사령부임.


다만 단순히 여단인건 아니고 코렘은 자기가 주둔하고 있는 지역 (도시, 대형거주지, 전략적요충지)에 있는 모든 민간행정시설까지 통제하고 전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메뉴얼까지 다 짜여져 있음. 코딤은 딱 대대급이고 중령급이 지휘하는데, 얘네도 단순 대대는 아니고 각 마을에 관한 통제권과 민간시설과의 협조를 할 수 있도록 짜여져있음. 그 밑에도 더 있긴한데 이 정도면 설명은 됐다고 생각함.




이쯤되면 대부분 이해가 가겠지만, 인도네시아가 이렇게 지역사령부를 크게 지어놓고 예하 여단급이나 대대급까지 지역통제권을 강하게 두는 이유는 과거 독립전쟁 시기부터 게릴라전을 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임. 민간인과 민간행정시설과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온 나라가 모두 전쟁에 간접적으로 참가해서 국토방위를 하는 인민전쟁의 양상이기 때문임.


그래서 게릴라라는 이름을 들으면 또 군붕이들 특전사나 옛날 특공대 같이 K1 알총들고 탄띠만 매고 정신력으로 싸우는거 상상할 사람들 많을 것 같은데, 그거 딱 맞다 ㅇㅇ 인니육군 30만 중 20만에 해당하는 지방군사령부는 게릴라전과 지역방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한국군이 사랑하는 기동,화력,충격 이런 요소는 거의 없는 경보병부대임. 일단 위 사진이 지지역군사사령부 즉 코렘에 1,2개씩 있는 보병대대 애들 표준적인 무장이라고 보면 되고




얘네가 코담 즉 지방군사령부에 자체 특수부대(특공연대 포지션)로 존재하는 레이더대대(기습보병대대)의 모습임. 대충 쟤네 개인장구류 수준이랑 전투양상이 어떨지 감이 오지?



역시나 코담마다 한 두개씩 존재하는 기병대대 애들의 경우 보통 이렇게 생긴 경전차나 기동포를 사용함. 딱 일본 16식 처럼 신속배치와 경량화를 통해 저강도분쟁에 쓰려고 저런걸 주로 운용한다는 걸 느낄 수 있음. 두산이 인니에 수출한 타란튤라 장갑차도 90미리 포가 달려있는 이유는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임


많은건 아닌데 기보대대를 따로 운영하는 코담도 있는데 걔네의 경우는 BTR-40 같은 구형 경장갑차나 위에 PINDAD BADAK 전투차에서 포만 제거한 장갑차 등을 운영하는데 인도네시아도 무기가 제식화가 안 되고 동종무기도 이거저거 다 가지고 있어서 종류가 불란서제, 한국제, 인니제, 미제, 영국제 아주 중구난방임.


그리고 방공이나 포병무기도 대부분 견인포이기 때문에 머 더 볼 것도 없다고 생각하면 됨.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드는 군붕이들이 많을꺼임. 아니, 섬이 18000개라 지방군사령부만 15개에 그 사령부들도 게릴라전에 맞춰져있어서 알보병이나 특공보병, 물장갑 기동포, 견인포 같은거만 갖고다니는 애들이고, 걔네가 인니 육군 30만 중에 20만을 차지하는데 어째서 인니는 동남아시아에서 호주까지 조진다고 할 정도로 강력한 지역강국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냐?


라고 생각할텐데 아까 한 말 기억할 지 모르겠지만, 인니 육군에는 크게 2가지 지휘체계가 있음. 하나가 지방군사령부 (KODAM) 체계고, 이제 설명할 나머지 1개는...




육군전략기동사령부 (KOSTRAD) 임. 딱 인니판 7군단이라고 생각하면 됨 ㅇㅇ 사령관도 중장임.


이 코스트라드는 3개 사단으로 구성되는데, 1,2사단은 수도 자카르트가 있는 자바섬 서쪽과 동쪽에 각각 주둔중이고 3사단은 자바섬 북쪽의 술라웨시 섬에 주둔중임. 얘네임무는 전평시에는 방어작전을 수행하다가, 인니가 해야되는 각종 전략적 작전(다른 나라 조지기, 탈환작전 등)에 투입되는 형식임.




그래서 인도네시아군에 100대도 없는 레오2나 마르더1 같은 물건들은 다 여기있음 ㅇㅇ 그리고 지방군사령부랑 달리 전략기동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코스트라드 예하의 3개 사단은 전부 서구식 편제를 가지고 있음. 걍 한국군 사단이랑 똑같은데 사단마다 편제가 대충 직할대 + 3개 보병여단/연대 + 1개 포병여단/연대 이렇게 됨.


한국군 사단이랑 다른게 있다면, 쟤네는 모든 보병부대가 기계화(마르더나 깡통 APC) 또는 공수보병 또는 기습보병(코만도)으로 구성되어있고 포병 이런 쪽도 차륜형자주포랑 다련장로켓 운용함 ㅇㅇ 다만 무기가 대부분 구형이고 얘네 역시 부대마다 장비가 일치가 안 하고 중구난방인데다 경량화 기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국가총력전에 맞춰져있는 한국식 기계화사단이나 보병사단하고 비교하면 약한 부분이 몇개 있긴함.




결론-


1. 인니 육군은 지방군과 전략군으로 나뉨


2. 지방군은 특공대와 기동포가 가미된 경보병 게릴라부대


3. 전략군은 서구식 기계화/공수/특공보병이 가미된 3개 사단으로 구성됨


4. 섬이 많고 주변에 적이 많은 나라는 군사력 분산이 심함.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537428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흰꽃샤프란 20-11-16 16:33
   
머한이 뭐임?
마르스르 20-11-16 21:05
   
설명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