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6-06 15:59
[전략] IRST 로 순항미사일을 요격해?ㅋㅋㅋ
 글쓴이 : 미신타파
조회 : 3,203  

여기에(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173374)

'현시창'님께서 일본은 E-2D Advanced Hawkeye 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순항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고 주장하시는데요ㅋㅋㅋ

E-2D Advanced Hawkeye 는 미국 항모전단이 내륙 가까이에서
작전할 때 적이 지상 에서 공격해올 경우에 대한 방공 역할을
위해서 만든거지 일본처럼 땅의 70%가 산으로 덮혀 있는
나라의 방공망을 위해서 만든게 아닙니다ㅋㅋㅋ

그리고 또 항자대 F-15J KAI의 개량이후 부착한 IRST 를 이용해서
순항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다고 하시는데

순항미사일은 지형을 따라서 저고도로 상하좌우 움직이며 3차원 비행을 하기
때문에 순항미사일을 요격하려면 이 3차원 비행 추적정보가
있어야 되는데 70% 가 산으로 덮혀 있는 일본 땅에서
 IRST 로는 3차원 정보 획득 불가능 입니다ㅋㅋㅋ

Terrain-Following.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현시창 15-06-06 16:11
   
지랄을 떨고 자빠지셨네요-_-
그 잘난 순항미사일이 국토가 70%인 나라의 본토로 가려면 어딜 건너갈까요? 네?
무식 이전에 대가리가 참 안 돌아간다...

그리고 지형을 따라 상하좌우 기동이 참으로 만능이네.
왜? 그딴식이면 스텔스기가 왜 필요한데? 일반 전투기로 지형을 따라 좌삼삼우삼삼하면 되겄네. ㅋㅋㅋㅋ
멍청하긴...
     
스마트MS 15-06-06 16:22
   
현시창님.
그렇다면 혹시 항자대가 보유한  개량화된 15J改에  탑재될.
APG-63 레이더는  기존 동 레이더에 비해서. EA모드 채널수가 증가하고. ECCM 성능이 향상되어.
장거리 모드의 기능이 강화되고.
순항미사일 같은 RCS가 작은 표적에 대한 스캔률 증가를 이룬 상태인가요?
이런경우. 15改의 레이더 성능은. 탐색과 추적에 있어서
AESA에 부분적으로 근접한 성능을 발휘하는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일본 방위성 발표에 의한 순항미사일 같은 저고도 소형비행체 탐지 적합한 레이더라고 언뜻 들은 기억이 있어서 말이죠)
          
현시창 15-06-06 16:31
   
1> APG-63v1의 경우 말씀하신 대로입니다. 기존 한국군 사양 APG-63v1에 비해 첨가된 기능과 향상된 기능이 더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F-15K의 그것으로도 PRF문제만 해결하면 저 RCS표적에 대한 탐지 및 추적능력은 충분한 수준입니다.(다만, 스캔레이트의 문제로 탐지부분은 E-737이나 차기 해상탐색 초계기의 정보를 데이터 링크 받아 운용하는 편이 훨씬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2> F-15J KAI의 장기운용이 전제된 만큼 보잉이 제안한 F-15ADVANCED사양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F-15SA사양에 플러스 알파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겠지요.

3> 일본방위성 발표가 거의 맞습니다. 그네들 방위성 문서를 봐도 그렇고요.
 따라서 단순히 어떤 멍청한 인간 말대로 저고도 추적비행 능력따위로 일본의 방공망을 뚫을 가망은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젠 순항미사일 타격에도 탄도탄을 이용한 사전타격을 통해 침투회랑을 열어줘야 할 상황입니다.

물론 그를 극복하기 위해선 타우러스와 같은 스텔스 동체설계를 갖춘 신형순항미사일이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여전히 침투회랑을 열어줘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죠. 이미 기존 우리가 보유한 현무3은 10년이내 성능상 도태될 가망이 큽니다.

서둘러 침투속도는 초음속, 동체는 스텔스인 신형순항미사일 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문젠 그에 따른 타격판정 및 정보취득 및 가공, 그에 따른 의사판단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단 겁니다. 어떤 인간 헛소리에 이걸 말해줄까도 생각했는데 딱 수준이 지성이 없는 바퀴수준이라 넣진 않았습니다만.)
현시창 15-06-06 16:21
   
아울러 걸프전 당시 TERCOM의 기술적 한계상 지형추적이 안되는 이라크 사막평원지대를 피해 상대적으로 산악지형이 많은 이라크 북부지형을 관통해 바그다드로 비행하던 토마호크들이 구형 23mm방공기관포에도 작살났는데. 이거 어쩌냐? 이라크군은 댁 말대로면 미군도 초월했네? ㅋㅋㅋㅋㅋㅋ

순항미사일 요격 난이도가 높은건 댁 말대로 지형따라 좌삼삼우삼삼 때문이 아니여.
수평선 효과에 따른 사각지대로의 저공침투 및 지형적 조건에 따른 난이도때문인데. 일본처럼 다수의 이동식 레이더와 함께 E-2D의 조합을 통한 해상침투 거부, 그리고 다수의 음영지대에 GAP FILTER를 다량으로 배치한 국가한텐 탄도탄과 재래항공전력 투입을 통해 침투회랑을 열어주지 않는 한 효과가 극적으로 반감된다.

한마디로 순항미사일을 제대로 조합해 사용하려면 탄도탄과 재래항공전력을 적절히 사용해야 하고, 평시에도 다수의 전자기를 통해 전자지문 채집을 꾸준히 해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유사시 광대역 전파방해를 통해 적의 탐지망을 최대로 축소화하고, 여러전력의 융합운용을 통해 순항미사일한테도 침투회랑을 열어줘야 원활한 작전운용이 가능하단다.

그렇지 않으면 탐지와 더불어 그 물건은 진짜 요격이 쉬운 대가리 텅텅빈 너같은 바보 멍텅구리 무인비행체에 불과하거든. 그냥 지시된 좌표와 침투항로대로 비행만 할 뿐이라고.(그러니 이라크군이 토마호크의 항로를 파악하자마자 구식 방공포따위로 용이하게 요격했지.)

좌삼삼우삼삼 이론은 원리는 너 같은 깡통따위나 대단한 줄 알고 떠드는 거지, 여기 있는 사람들 너 말고도 다 알고 있는 상식이여. 그노무 산악지형드립은 그만치고. 뭔가를 주장하려면 적어도 그를 뒷바침할 이론이나 펙트 정도는 시간들여 수집하고 아는 척 떠들어.

대가리 텅텅 빈 인간이 뭐 이렇게 조또 아는 척 까부는 줄 몰러. 보면 그저 같잖아서.
스마트MS 15-06-06 16:27
   
아.
그리고 혹시 현시창님께서 언급하신 IRST는  03년에 일본에서 자체개발하였다는 AAM4/5에 장착되는 IRST을
말씀하시는건지요?
유파의 PIRATE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인지? 아니면 이후 개발한 신형을 말씀하신건지 살짝 궁금해서 말이죠.
     
현시창 15-06-06 16:44
   
PIRATE와 성능과 기술개념이 비슷합니다.
물론 플랫폼의 한계상 문제가 많긴하지만 적어도 우리군 F-15K의 그것은 능가하는 성능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제한적으로 보유한 레이더와 IRST의 정보를 융합하려고 드는 것으로 아는데, 이 경우 굉장히 골아픈 상대가 될 겁니다.
KCX2000 15-06-06 16:35
   
IRST : 목표에서 나오는 열원을 추적...장점(전파 발신없슴) 단점(탐지거리가 짧음)

순항미사일이 계곡으로 파고든다 한들 정확한 맵지형이 없으면 최소고도를 유지할수없고 애초에 고도를 높게 잡을수빡에 없습니다.

밑에서도 말했지만 순항미사일은 머리가 나쁩니다 . 지가 탐지됐다고 피할수 있는 능력이 없죠.
어차피 유인전투기라도 IRST에 걸리면 그냥 훅~ 가는게 정상이죠.

님이 좋아하시는 3차원 운동 어쩌구 질알 염병을 떨어도 열원을 추척하기때문에 쉽게 포착이 됩니다.
순간적으로 산에 가렸더라도 머리가 나쁘기땜시 정해진 코스로 날다보면 금방 포착이 됩니다.

전투기든 방공포대든 일단 포착되면 격추시키는거야 전투기 암람이든 사이드와인더든 그 어떤 미사일로도 격추가 가능합니다.

지구권 전체에 레이더정찰위성을 운영하는 미군은 고사하고 일본도 레이더정찰위성 보유하고있죠.
레이더정찰위성이나 조기경보기의 보유목적이 저고도 침투하는 적의 전투기나 미사일을 포착하는게 목적이죠.
그래서 날이 갈수록 발전하는게 레이더 전파를 반사하는 클리스터처리 기능이 발전하는겁니다.

순항미사일이 나온지 거의 60년이 다되가도 발전하는건 폭약,전자기술뿐 레이다기술은 날이갈수록 발전합니다.
나찌가 개발한 순항미사일이나 우리가 개발한 순항미사일이나 전자기술만 틀릴뿐 기본적인건 똑같습니다.
탐지,격추 못하는다는게 더 이상하죠
     
스마트MS 15-06-06 16:38
   
확실히.
초음속 이상의 성능을 확보하지 못하면.
아음속의 순항미사일의 생존율은 위협받는 상황이겠군요.
능동미사일의 탐색기 성능과. 미사일의 기동력의 이라면.. 흐음.
          
사통팔달 15-06-06 17:47
   
irst단점이 많아요,기후에도 민감하고 발견해도 거리측정이 안돼죠,거리측정방법이 있긴한데
편대비행해서 같이 측정해서 거리 알수가 있긴하죠.아니면 한대에 irst 3개 달면 가능합니다.순항미사일 단점이 속도가 느려서 걸리면 전투기로 요격이 쉬워요.요사이 순항미사일도 초음속으로 가고 있습니다.
울묵뻬기 15-06-06 16:46
   
우아~~ 답답혀..
다른거 다 재쳐두고 우리나라와 일본사이에 뭐가 있나 한 번 생각하시고 글쓰세요.
계속 이러시면 님만 우스워져요.
     
스마트MS 15-06-06 16:49
   
저고도로.아음속으로 대한해협을
대략 30~40분가량의 비행시간이면 충분히 한반도 방면에  향해있는 지상레이더 기지와. 항자대/해자대의 방공망 방공관제를 무사히  침투할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울묵뻬기 15-06-06 17:08
   
그 30, 40분이 평시에는 우스워 보여도 전시에는 대응할수 있는 충분한 시간입니다. 우리가 불시에 공격한다면 모를까 전시에 만반의 준비가 된 상태에서(뭐, 평시에도 일본애들은 십수년전부터 이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었어요.) 엄폐물이 없는 바다를 통해 일본을 공격한다는 건 불가능하죠. 해저라면 모를까.. 미국이 이랔을 칠때도 엘린트 휴민트 코민트를 총동원해서 지형을 수백차례 매핑하고 우선 제거 대상(인적, 물적)을 선별하고 각종 정찰기로 수십일간 흝어 가며전자전기로 전자정보를 수집하며 때때로 위장 항행 수차례 해가며 적정상황을 파악하고 마지막엔 특수부대를 침투시켜 육안확인등 팬타곤의 수퍼컴을 돌려 몇달을 간을 최척의 공격항로를 찾아내는 그런 노가다를 한까닭이 다 있는 것이지요.

현대전에 있어 어느나라를 공격하다는게 공격자 입장에선 말처럼 쉬운게 아니예요.
               
현시창 15-06-06 17:11
   
스마트MS님의 말씀은 반어법이랍니다...(...)
                    
울묵뻬기 15-06-06 17:15
   
응? 그... 그렇군요 ^^;;;
주민 15-06-08 00:09
   
미신타파님,,
너무 나가셨네,,쫌.
젤나가나가 15-06-08 12:15
   
너무 어려워서 무슨말인디 모르겠습니다. ㅠ,ㅠ

우리나라 순항미사일이 요격하기 쉽다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