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10-10 15:16
[해군] 한국의 해양전략은 무엇인가?
 글쓴이 : 냉각수
조회 : 1,969  


난사군도의 분쟁은 먼 나라의 일이 아닙니다,한국의 문제도 상당히 겹처저 있는 문제입니다

특히 난사군도 분쟁을 중국의 도발내지,영해의 야욕으로 치부하는데

그보다더 더 깊게 중국은 먼 미래를 보고 차근차근 준비해왔다는 것이며

남중국에 암초 하나 하나를 선점하면서  영토화 시키는 전략은 미국의 카리브해 독점 전략을

벤치 마킹한 전략이어서 전혀 엉터리 전략이 아니란 겁니다

중국은 미국의 패권의 역사를 면면이 공부했다는 것이죠.

땅 따먹기 전략은 미국이 해왔고 중국의 그것을 받아들이고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미국에게

돌려준다는 겁니다.

물론 중국의 이익에 맞게말입니다


남중국해 흔히들 난사군도라 말합니다

여기에 가장 저항하는게 베트남 인도네시아입니다 이 두 국가는 외로운 싸움을 하고있는것이죠

베트남의 강경모드는 힘입어 미국의 해양전력이 전개하려는데 만만치가 않은 실정이란 겁니다

특히 난사군도에 미국의 행양전력 전개가 용의하지 않다는 것은

중국이 그 해역에서 중국 군함을 들이대고 밀어내기 전법을 구사 한다는 겁니다

미 해군이 우위를 점하지만, 진짜 전쟁을 하지 않을 거란,중국의 전략가들이

대놓고 들이대고 있어, 미 해군전력이 점점 바깥쪽 태평양쪽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국이 난사군도를 점하려는 이유는 세계 물동량의 통로이며 동아시아의 경제의 목줄이란 겁니다

유럽은 어차피 먼나라 해양 싸움으로 보고있습니다 동아시아 특히 수출국가가 문제이지만

유럽은 동아시아에서 수출과 수입을 그렇게 크게 차지하지않기 때문입니다

유럽은 중국의 강역권이 동남아에 확대되는 것에 신경쓰임이 덜하다는 겁니다

그에 비해 한국과 일본은 다릅니다.


우리 한국은 모든 안보들 특히 육군은 제외하고 해양전력 작전범위가 작습니다.

해양전력은 공세의 초첨이 맞춰진게 일반적인데 한국은 안보면에서 해군과 공군을

미국에게 일임을 하고 수세에 초첨이 맞춰진것입니다

애초 먼 바다나 먼곳의 공군전력을 투사할수 없다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특히 한국은 수출과 수입을 하는 통로가 난사군도 지역입니다

중국은 한국의 서해를 중국해라 하며 일본은 아예 대놓고 동해를 일본해라 칭합니다.

국제 사법제판소가 중국의 아무런? 제재를 가하지않고 힘을 못쓰고 있는터라...

일본은 동해를 일본해라 주장하며 훗날 동해를 모두 자기내 영해라 수작부리는

사전정지작업 '빌드업'을 구사합니다...


한국은 이제 모든 면에서 '수세'에서 '공세'를 전환해야합니다...

그런데 북한에 안보와 미국의 군사안보, 정치경제가 가로막고있습니다

또한 해양전력을 키우려면 많은 돈을 써야하며 한 10년간은 막대한 돈을

버리다 싶히 해야합니다...그런데 국민들이 세금낭비라 욕을 하겠죠..

또한 해양전력 강화는 남북문제에 걸림돌이 되고 군사력 강화는 자칫 미국의

질서에 반한다 미국을 못믿냐? 라는 땡깡부림을 불어올수있습니다


이것은 확실합니다 미국의 해양전력이 점점더 태평양쪽으로 밀리고 있습니다...

미국은 애초 해양세력이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중국은 그걸알고 있습니다

해양세력의 축소는 패권의 약화를 가저오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만만디고, 더러운 짱깨 라할지라도 안타까운 것은 '승리의 여신'은 중국이란 국가를 모릅니다..

누가더 진취적이고 열정적인가?만을 보는것이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먼바다로 20-10-10 16:31
   
516구테타의 주역 김종필이 회고록에서 한 말 "우리는 육군만 키우면 되 공군해군은 미군이 도와주니까" 1950 ~60년식 사고방식이죠.
면도기 20-10-10 19:38
   
제가 알기로 영해를 주장하더라도, 상선 통행은 할 수 있습니다. 영해와 통행제한 거리가 틀려요.
설사 분쟁지역으로 선포하고 막히더라도, 좀 돌면 됩니다.

그리고 해상봉쇄 시나리오에서 보면,
1. 아랍해, 2. 스리랑카 앞, 3. 난사군도 4. 동중국해
어디 한군데라도 막히면 

기뢰깔고 상해 봉쇄로 역공가는게 낫죠. 

설마 난사군도 막히면 난사군도에 해군 보내자고 하는건 아니죠?
수염차 20-10-11 01:49
   
일본은 우리의 해군강화를 극구 반대합니다.....
더불어....토왜역시 일본의 지령을 수행하느라...온갖 트집을 잡고 해군력 강화를 반대합니다....
해군이 약한 나라는 군사강국이 될수없습니다....
잊지 마시길.....잠수함 전력만으론 무엇도 못합니다....
균형이 맞아야합니다.....
수상전력과 잠수전력이 비율이 맞아야 진정한 해군강국이 되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