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11-07 03:16
[잡담] 美항모, 무용지물의 시대가 곧 온다-- 한국말 스럽게 번역해봤네요.
 글쓴이 : KilLoB
조회 : 2,454  

우선 개인적으로 말이된다고 봄니다. 다구리앞에 장사없죠. 항모 대당가격, 전단가격, 함재기 가격, 안에 시설 인원 등등등...  

그것들 vs 장거리 지대함 미사일 때거리.. 

태평양전쟁 진주만 이전 더 엄밀히는 이탈리아 어디를 영국해군이 항모로 공격성공한게 더 원조.
전까진... 대함거포주의 였죠. 비스마르크 함이나 티르피쯔, 야마토나 무사시함 같은 것.

어느날 갑자기 거함이 상륙작전 지원용이 되고 쓸모없어졌다고.

또 항모 최근 중국 기술 무섭게 올라오고 있고.. 적당한 가격에 괜찮은 성능 + 다구리면... 가능할 시나리오.

------------------------------------------------------------------------

소련의 몰락이후, 미해군은 어디에서도 경쟁자가 없었고, 그건 곧 미해군은 무적이란 믿음을 낳게되었다.

그 이유로 지난 20년간 미군은 중장거리 혹은 헤비한 무기  대신에... 
단거리, 경공격기(항모에서 빨리 이륙할수 있고, 생산비가 저렴한)만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게 지금에 와선 미 항모에 문제가 될수가 있는데 왜냐면..
다른나라들이 보복위험없이 대형 미국 군함을 침몰시킬수 있는 장거리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기때문(헨드릭스 왈)

해군 전문가들이 특히 걱정하는게... 중국이 만들고 있는 항모용 장거리 지대함 미사일... 이건 아마 곧 미해군에 심각한 골치덩어리가 될것.

이런류 항모용(장거리 지대함)미사일들이 추구하는 어드벤티지는... 미 항모의 (타격,활동)범위, 종심타격능력을 줄이고, 미해군력 작전범위를 그안에서만 놀고 밖으로 못나오게 빠꾸 시키는것(헨드릭스 왈)

게다가. 최근 러시아가 카스피해의 자신들 배에서 is타켓으로 크루즈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그걸 계기로 미군 전문가들이 러시아 해군의 풀전력을 알게 되었다고.
이에. 지금 미해군 전문가들은 이런 새로운 위협에 대비해, 미해군의 발전계획을 전면적으로 급하게 리뷰하고 있슴(프랑스 전 정보장교 알랭 호쥐 왈) 

항공모함이란게 본질적으로 바다의 공군기지로 기능함, 그러니깐... 어려종류의 항공기를... 운반을 위한 시설, 무장, 발사전개위한 것 등을 갖추고 있다는것
현재 미군은 각각 90대 함재기를 실을수 있는 대형 핵추진 항모만 10대 보유중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wndtlk 15-11-07 03:43
   
미사일 기술의 발전에 의해 항모가 취약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항모전단은 미국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남북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에서 미국에 군사적으로 위협이 될 나라는 없고 미국은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등 원거리 지역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러시아와 중국에 대해서는  전략핵무기가 주요 균형요소이지 중국과 러시아에 항모전단이 결정적 위협적이라고 보지는 않습니다만 나머지 국가들에게는 위협적인 존재이고 남사군도 문제에 있어서도 중국이 유리하지는 않습니다.
이동막걸리 15-11-07 05:37
   
그냥 미국의 두통꺼리는 될지언정 그리 치명적이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왠만한 두통은 그냥 타이레*이나 아스피* 한두알이면 해결되지요...

그리고 미항모전단을 위협할 체계가 이미 만들어져 있다면 모를까
반에 반에 반에 반에 반도 안만들어 진 예상 시나리오 상태에서 과연 위협이 될까요?

아마도 펜타곤 작전부서에서는 저런 시나리오 수없이 널려있고
그 대응법까지 이미 매뉴얼로 만들어져 있다에 4500원 겁니다...
     
리들리 15-11-07 06:50
   
그걸 이제 하고 있다는 말인데 무슨.
          
현시창 15-11-07 12:11
   
중국의 A2AD에 대한 대응전략 구상은 이미 부시 행정부 말기에 끝났고, 실제적인 눈과 팔, 주먹에 대한 연구 및 예산투입은 2001년부터 이뤄졌습니다. 미국의 연안형 전투함 계획, 항모에서 운용할 장거리 UAV가 이미 드러난 대표적인 전력들이고.

향후 등장할 차세대 장거리 스텔스 폭격기, 극초음속 타격체등 역시 수면아래 숨겨진 전력입니다. 그리고 이미 서태평양 근해에 자국이 가진 잠수함 전력 절반 이상을 밀어넣고 있죠.(73척중 40척) 이 역시 2003년부터 추진된 계획입니다.

미국이 이렇듯 A2AD를 상대하면서 쓰는 전력은 항모를 괌 이동 외곽에서 장거리 UAV를 통해 중국의 방공망과 대함공격체계를 일일히 핀포인트 타격하고, 장거리 폭격기로 TST를 제거하며, 그 내측에서 활동할 수상함은 LCS같은 극도의 생존성을 추구한 함정으로 한하며, 주력은 잠수함으로 잡았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한국군의 전력건설방안도 보이겠죠?
한반도 주변 해역에선 알량한 ESSM나부랭이 좀 았다고, 그게 없는 녀석보다 생존성이 올라간다고 말할 주제가 못됩니다. 한국해군이 현재까지 건조한 모든 함형으론 공군 방공망을 벗어나면 100%죽습니다. 그건 칭송받는 세종대왕이건 방공망 부실하다 욕먹는 인천이나 마찬가집니다.

이런 상황에서 으리으리한 수상함이나 계속 지어대겠다면 정신머리가 없는 걸 증명하는 거고요.(그리고 이런 환경에서 수상함의 존재가치를 올려주는 건 탑재헬리콥터의 성능이죠. 대잠헬리콥터가 정말 대잠활동만 한다고 생각하면 심히 골룸하고요. 대잠초계헬리콥터는 대잠만이 아니라, 대수상, 대함, 대공 모두에서 활약이 가능합니다.)
낼봐요 15-11-07 09:49
   
현재 중국의 지대함보단  냉전시절 소련 폭격기편대의 공대함 미사일 러쉬가

더 무섭지않나 생각이 됩니다.

결국은 이러니 저러니해도 엄살이 섞인거로 보이네요.
     
현시창 15-11-07 12:19
   
과거 구소련 공대함 러쉬에 대해선 이미 대응솔루션을 내놓았었습니다.
호크아이 같은 조기경계기로 폭격기를 원거리에서 포착하면, 장거리 방공전투기에 의한 폭격기 사전 요격을 하고, 그래도 세어 나온 대함미사일은 이지스 체계를 장착한 미사일 순양함과 구축함들이 요격한다.

돈이 많이 들긴 하는데, 60~70년대 미국은 워낙 경제력이 막강했고, 군비역시 막강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돈은 많이 들고 소득은 전혀 없는 아프간-이라크 2연타로 이런 군비에 들어갈 예산이 헛되이 소모되었습니다. 이 부시 행정부때 잘려나간 차세대 프로젝트가 수백가지죠.

엄살만은 아닙니다.
쓸데 없는 전쟁질 하느라 반드시 갖춰야 할 차세대 무기과 연구가 지체되었다는 소리거든요.
지금 보면 아프간과 이라크는 미국에게 10원 한푼 가치 없는 쓸데 없는 모래무더기에 황량한 산악 촌동네에 불과하다는게 명확합니다. 그런데 진짜 알짜인 서태평양 일대가 중국에게 넘어가게 생겼는데, 과거처럼 솔루션을 내놓으려니 부시가 잘라버린 프로젝트가 10년넘게 지연되면서 시간과 예산의 지연으로 인해 해결 솔루션을 내놓는데 10년 넘는 세월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그 힘의 공백을 메우려고 하는게 바로 일본은 중국과의 대결 전면에 내세우고, 한국도 들러리로 내세우겠다는게 미국의 생각입니다. 서태평양에서 미국이 가진 최강의 동맹국은 이 두개 국가니까요. 이래저래 부시가 끼친 해악은 어마어마합니다. 부시가 아니었다면 애시당초 일본이 이렇듯 전면으로 나서 까불거릴 기회 역시 없었을 겁니다.
          
낼봐요 15-11-07 15:54
   
F-14와 피닉스미사일, 이지스함이 왜 나왔는지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의 폭격기 편대를 이용한 미사일러쉬도 전자전이나 디코이를 사용하는 등의

개량을 가하면 현재 중국의 탐지및 유도 수단도 의문시되는 대함 탄도탄보단 낫지 않을까요?

내가 알기론 중국의 대함 탄도탄은 러시아의 구닥다리 백파이어 폭격기& 장거리 대함미

사일의 조합 조차 구매가 안되서 나온 궁여지책으로 알고 있어서요.



미국을 좋게 생각하지만 대중정책에선 딱히 적대적인 제스쳐조차 없이 일본과 한국을 앞세

우는건 그다지 좋게 보이진 않습니다.
          
구름위하늘 15-11-09 12:20
   
맞는 말씀이긴 합니다.

장거리 방공 전투기가 없어도 방어가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일 수도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보면 현재 미국은 '장거리 방공 전투기'가 없죠.

미국의 입장에서는 고려할 점이 하나 더 늘어난 것 (탄도미사일에 의한 접근거부)은 사실이긴 합니다.
영웅문 15-11-08 10:42
   
강대강의 힘싸움에 항모의 피해는 분명 있죠.
항모격침용 미사일을 사용해서 침몰시킬수도 있고요...
다만 항모를 만능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이 항모만으로 모든 전쟁을 끝낼수 있다라는 것에서 출발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항모는 하나의 전장상황에 맞게 쓸 무기체계일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원정을 위해서 각종무기체계를 지원하는...
상륙작전을 위해서 주변을 청소하는 역활...
전투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군비행장 역활...

수많은 다목적 사용방법이 있지만 그만큼 빈틈도 있죠.
비싸기에 사용불가일 정도로 타격을 입으면 그만큼 군이 입는 타격도 심대하죠.
그만큼 사용에 여러 상황을 염두에 두고 운영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