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3-12 22:01
[기타] 대러시아 제재로 인도가 굉장히 곤혹스러워하는듯
 글쓴이 : 면도기
조회 : 2,456  


https://www.financialexpress.com/defence/russia-ukraine-conflict-after-sanctions-on-russia-what-happens-to-indias-defence-deals/2453113/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defence/ukraine-crisis-india-examines-exposure-to-russian-arms/articleshow/90024351.cms?from=mdr

https://www.aljazeera.com/economy/2022/3/8/russia-tilt-essential-to-indias-strategic



1.러시아와 협력중인 MIG-29 업그레이드, 헬리콥터 생산 계획 등에 차질

   특히, 인도 공군은 SU 30MKI, Mig 29, Mig 21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체 제작은 인도에서 했지만 예비 부품 공급은 러시아에 의존. 


2. 인도가 생산중인 러시아 무기 시스템 수출에 차질
    
    몇 주 동안 수출 계약이 몇 건 취소됐다고 함. 


3. 인도군의 러시아 부품 구매 액수는 년 5억 달러 초과 (구매비용X, 그냥 소모부품)


4. 전투기, 방공 시스템, 육군 기갑, 해군 항공모함, 호위함 등 60~70% 러시아산

예를 들어, 인도 공군은 IL-76 및 Antonov An-32 수송기, Mi-35 및 Mi-17V5 헬리콥터, 최근에 인수한 S 외에 러시아산 Sukhoi Su-30MKI, MiG-29 및 MiG-21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S-400 대공 방어 시스템. 인도군은 러시아산 T-72와 T-90 주력전차를 운용하고 있다. 인도 해군의 INS Vikramaditya 항공모함은 원래 러시아 제독 Gorshkov였으며 MiG-29K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해군은 또한 IL-38 해상 정찰기와 Kamov Ka-31 헬리콥터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인도는 러시아로부터 임대한 핵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후자는 인도가 자체 핵잠수함 건조를 돕습니다 . 그 외에도 현재 러시아에서 주문한 4척의 군함(그 중 2척은 인도 연안의 고아 주에서 건조 예정)이 있으며, 뉴델리도 Igla 대공 시스템과 200대의 유틸리티 헬리콥터를 구매할 계획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인도는 군사 장비 소스를 다양화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러한 의존도를 쉽게 또는 빠르게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장비의 60-70%를 갑자기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빅미그 22-03-12 22:03
   
이번 사태가 아니라도 러시아는 부품공급에 대단히 비협조적이라 운용국들이 가동률 관리에 엄청 애먹는다고 합니다...괜히 서방제로 갈아타는게 아닙니다..

우리나라 T-80U도 초반에 부품수급 안돼서 엄청 애먹었다고 하죠.
     
면도기 22-03-12 22:06
   
지금 우크라이나에서 활동중인 러 공군 전술기 숫자를 보면, 본인들 가동율도 남 보기에 어리둥절한 상황입니다. 즉, 비협조였던게 아니고 능력부족. 못하고 있었던게 아닌가 싶습니다.
          
빅미그 22-03-12 22:11
   
원래 구소련 무기운용 방식이 부품수명이 짧은 대신에 부품생산을 끊임없이 진행해서(공장을 계속 돌려서 경제를 유지해야하니까) 정비가 귀찮을뿐이지 가동률이 문제가 되지는 않았는데... 소련붕괴 이후로 부품생산은 끊겼는데 부품 퀄리티는 구소련시절 그대로인건가 싶고 그렇습니다....
               
범내려온다 22-03-12 22:29
   
구소련 시절엔 돈이 안되더라도 계획경제하에 부품을 계속 생산했는데, 이제 자본주의 경제체제라 돈 안되면 아애 생산을 안하고, 생산 물량도 조금씩 계속 생산하는게 아니라 일정 생산물량이 찰때까지 아애 생산을 안하다가 적당한 주문량이 쌓이면 생산해서 납품하는 방식이고, 무엇보다 부품공장이 군수품 부품만 생산하는게 아니라 일반 민수용 자재들도 같이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시장논리로 더 많은 주문과 관계가 중요한 납품에 우선권이 가는거지 뭐.

또한 부품 퀄리티도 굳이 자체 자금을 들여서 개선할 필요성도 못느끼고.
범내려온다 22-03-12 22:30
   
전쟁 전에야 미-러 줄타기가 가능했지만, 전쟁 이후엔 앵그리 모드 미국은 좀 무섭지.
승리만세 22-03-12 23:10
   
루블로 받아 ㅋㅋㅋ
그 루블을 받아줄 국가는 없겠지만... 그야말로 휴지조각과 다를바가 없음
이름없는자 22-03-12 23:42
   
인도는 현재 모디총리가 강력한 무기 국산화 조달 정책을 추진중이라  러시아의 무기수입을 줄일 걸로 예상됨.  또  외산 무기도입도 러시아 비중을 줄이고 미국외의 서방제로 돌릴 가능성이 높음.  가장 최근 러시아 계약 건으로는 현재 인도육군 소총을 러시아제 AK-203 을 러-인도 합작법인에서 생산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