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1-04-30 18:05
[기타] 함재기의 조건 해설. KF-21N ?
 글쓴이 : archwave
조회 : 3,135  

1. 랜딩기어가 사출기가 던지는 최대 4 G 에 달하는 가속도를 견디도록 보강되어야 함.
( 지상에 아주 정상적으로 이착륙하는 경우는 1 G 도 안 걸림 )

2. 테일 후크가 어레스팅와이어에 걸리면서 역시 최대 -4 G 에 달하는 가속도를 견디도록 보강되어야 함.

3. 기골이 보강되지 않으면 랜딩기어, 테일후크 부위부터 기체가 뜯겨나감.

4. 사출기가 내주는 최대 속도가 이륙속도에 도달하지 못 한다면 양력 보강하기 위해 주 날개가 커져야 함.

5. 해상의 염분기에 견디도록 방염처리가 되어야 함.

6. 항공모함의 엘리베이터와 격납고에 넣기 용이하도록 주 날개가 접히는 기능이 있으면 좋음.
높이가 높은 기체는 수직꼬리날개를 접는 기능 역시 있으면 좋음.
이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갑판 위에 자리 차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태풍이라도 오면 손실되기 쉬움.

위와 같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즉 지상발진 전용기는 그대로는 항공모함에 쓸 수 없죠.
KF-21 은 아직 할 계획이 아직 없기 때문에 Navy 형이 현재로선 계획에 없음.

-------------

같은 시리즈인데 지상발진기와 함재기가 따로 있는 기종들이 있는데요.

같은 기반인데 최소 이륙 속도가 낮거나, 실속 속도가 낮은 모델이 있다면 Navy 형으로 쓰기 좋겠죠.
이게 스펙에 안 나와있다면 익면하중을 보세요.
익면하중이 낮은 수치일수록 양력이 크고 Navy 형으로 쓰기 좋겠고요.
이 조건이 만족되는 모델에서 위에 말한 여러가지가 보강되어 있다면 확실히 Navy 형입니다.

-------------

F-15 등 지상발진기에도 달려있는 테일후크는 항공모함 착륙용인가 ?

착륙거리가 안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착륙해야만 하는 경우를 위한 것입니다.

야전상황이 아니더라도
기지에 귀환하려보니 활주로가 적에게 피격되서 벌집이 된 경우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럴때 착지하기 전에 테일후크도 내립니다.
땅 또는 활주로를 테일후크가 긁어가면서 기체를 억지로 제동시켜주는거죠.

당연히 테일후크는 거의 1 회용 개념입니다.

정상적 상황에서는 쓸 일이 없고, 썼다 하면 테일후크가 망가지는 것이 당연하고 심하면 기체도 손상되는 비상사태였다는거니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면도기 21-04-30 18:13
   
글쿤요. 감사합니다.
그러면 라팔의 경우에는 함재기 컨버팅이 쉬운 편이었겠군요. (우연히든 의도적이었던..) 
KF-21N개조시에는 상당한 구조변경>중량증가가 불가피하다면
그 성능 감소는 F-18L -> F-18C 정도의 성능 감소 수준이 되는걸까요??
     
archwave 21-04-30 18:18
   
그건 해보기 전에는 모르는거죠.

F-35A 와 F-35C 의 차이를 살펴보는 편이 오히려 나을지도 모르겠군요.
KF-21 과 KF-21N 의 차이도 거의 유사하게 날거 같으니까요.

다만 F-35C 와 달리 KF-21N 에서는 기총의 휴행 탄약수만 줄어들고 계속 기본 장착일거 같지만요.
     
archwave 21-04-30 18:20
   
F/A-18 시리즈들의 차이를 보고 KF-21N 의 향방을 예측하기는 무리입니다.

F/A-18 시리즈들은 동일 시기가 아니라 장기간에 걸친 업그레이드 산물인거고,
F/A-18 함재기가 지상형에 비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기도 하거든요.

F-35A 와 F-35C 는 거의 동일 시기, 동일 기술 수준, 동일 설계 기반이기 때문에
지상형과 함재기 사이 차이를 보기 좋습니다.
          
면도기 21-04-30 18:30
   
감사합니다^^;;
     
type45 21-04-30 19:13
   
라팔은 컨버팅이 아니라 처음부터 공군형과 해군형을 같이 개발한 케이스입니다.
그래서 공통된 부분이 많아서 해군형은 공군형보다 약 600kg 정도 느는 선에서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면도기 21-04-30 19:37
   
같이 개발했군요.
라팔이 기체도 가벼운데 무장도 많이 하고, 함재기 버전도 600kg 플러스면 설계는 잘 했던거 같네요.
     
밀덕달봉 21-05-01 06:49
   
결국 추력대 중량비 줄어들테고, 엔진도 바뀌 달겠죠.
항속거리를 위해 f-35c형처럼 기동성은 포기하고 날개를 큰거 달아야 할테고요.
결국은 비슷하게 나올 겁니다. 추력대 중량비만 나뻐지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