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12-22 13:12
[잡담] 천무' 발사대로 200㎞ 미사일 시험발사 성공
 글쓴이 : MK통신소
조회 : 5,198  





군이 국산 다연장로켓 K-239 '천무' 발사차량를 이용해 천무의 기존 최대 사거리(80㎞)보다 멀리 날아가는 신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를 발사하는 시험에 성공했다. 22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군은 지난 15일 충남 태안 소재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에서 천무를 이용한 신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시범사격을 실시했다. 이번 시험발사에서 신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는 200여㎞를 날아가 표적에 명중했다. 

우리 군의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이다. 기존 KTSSM(사거리 180㎞)의 경우 고정형 발사대에서만 쏠 수 있는 반면, 신형 무기는 차량에 장착된 천무 발사대를 이용할 수 있어 기동성이 높아진 데다 사거리도 늘었다. 신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가 앞으로 전력화되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3축 체계' 가운데 '킬체인'(Kill Chain·선제타격)과 '대량응징보복'(KMPR)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천무 발사대에선 239㎜ 유도 로켓과 230㎜ 무유도 로켓을 쏠 수 있고, 유도 로켓의 경우 최장 80㎞ 떨어진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K-136 다연장로켓에서 사용하던 130㎜ '구룡' 로켓도 천무 발사대에서 쏘는 게 가능하다. 천무 제작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4일 폴란드 군비청과 35억5000만달러(약 4조5000억원) 규모의 천무 수출 1차 이행계약을 맺었다. 이로써 올해 우리나라의 방산 수출 수주액은 사상 처음으로 170억달러(약 22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신형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시험발사는 해외 군·방산업계 관계자들에 대한 국산 무기체계 시연행사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 행사엔 사우디아라비아와 노르웨이, 이집트, 스웨덴, 아랍에미리트(UAE), 폴란드, 필리핀 등 7개국 50여명이 참석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2-12-22 14:13
   
사거리가 300km는 되어야지......좀 아쉽네요.
     
노닉 22-12-22 14:15
   
그 이상은 현무가 있죠....
          
땡말벌11 22-12-22 14:21
   
아하~ 그런데 위의 물건은 에이테킴스 1A 대체형 아닌가요?
그래서 좀 아쉽다고 느껴집니다.
현무의 발사차량과 천무는 다르다 보니깐요.
천무에서도 300KM정도의 사거리 발사체 운용을 했으면 하는 것이죠.
               
MK통신소 22-12-22 16:19
   
천무3도 나온다고 하니 기대해야죠
               
기가듀스 22-12-22 21:12
   
에이테킴스의 사정거리 165km일때 자탄이 950개 였는데
1A는 사거리가 300km로 향상되면서 자탄이 275개로 대폭 하향되었죠.
연료를 더 넣는 만큼 폭약을 왕창 빼야한단 얘긴데
대한민국 포방부가 그딴걸 용인할리가....
     
archwave 22-12-22 21:26
   
사거리 300km 이상은 수출 제한도 걸리고, 탄도미사일 규제에 포함됩니다.

그 이상 사거리 늘리면 MLRS 탄에 들어가는 탄두 중량도 줄어들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지고요.
     
혜성나라 22-12-23 09:35
   
우리 국방부는 항상 겸손하게 30% 성능을 하락시켜 짱국은 50% 과대포장하고
프로스포츠 22-12-22 21:21
   
UAE와 폴란드에서 구매할듯
먼저간다 22-12-23 04:41
   
방법은 연구하면 될것이고
200km도 저는 현재 대북용으로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우린 한번 손대면 끝을 보는 민족 아닙니까
시간이 필요하겠죠
     
archwave 22-12-23 07:17
   
갑자기 엄청나게 효율 좋은 로켓 연료가 만들어질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MLRS 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300 km 까지 사거리 늘리면 탄두 중량 대폭 낮춰야 하니 위력이 대폭 떨어집니다.

원형 파이프 형태가 아니라 넓적한 타원형 파이프 형태로 만들면 위력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사거리 늘릴 수 있을거 같은데, 이 경우에도 중량이 늘어난 것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하니 기존 MLRS 와 호환성은 물음표가 붙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