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05-17 12:20
[뉴스] 예비군 346만명 '불필요한 전력' Vs. '북 위협 차단'
 글쓴이 : 똥파리
조회 : 2,984  

- 예비군 345만8000명, 연간 전력유지비는 1천억원대 불과해
- 동원예비군 2박3일 훈련에 1만1000원 지급
- 육군 20대 예비군사단 운영..감축시 군 고위간부 보직 감소

0.jpg
총기난사 사고로 사격훈련이 잠정 중단된 내곡동 예비군훈련장 내 사격장.

1968년 1월 21일 김신조를 비롯, 31명에 달하는 북한 무장공비가 수도권에 침투했다. 우리 군의 복장과 수류탄, 기관단총으로 무장한 북한군이 서울 청운동까지 잠입한 사건은 전국민에게 북한의 위협에 대한 공포를 일깨웠다. 이 사건을 계기로 박정희 대통령은 ‘국가안보 우선주의’를 선언, 같은 해 4월 향토예비군을 창설했다. 

‘일하면서 싸우고, 싸우면서 일한다’는 표어 아래 예비군은 올해로 창설 47주년을 맞았다. 예비군은 총 345만 8000여명(2014년 기준). 현역 군인(63만여명)까지 합하면 무려 400만 대군이다. 

예비군 제도 폐지론은 창설 당시부터 계속해 제기됐으나 모두 무위로 돌아갔다. 1968년 김영삼 국회의원 등 41명이 ‘향토예비군법 폐지안’을 발표했고, 1972년 김대중 신민당 대통령 후보가 ‘예비군 폐지’ 공약을 들고 나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최근 들어서는 2008년 대선 정동영 후보가 예비군 의무제를 폐지하고 약 50만명 수준의 자원 예비군을 운영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군당국은 현역 병력이 120만명, 예비군 병력이 770만여명에 달하는 북한군에 비해 우리 군 병력이 상대적으로 열세라는 이유로 예비군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예비군의 활약상은 돋보였다. 예비군은 1968년 울진·삼척 공비소탕 작전에 참가해 침투한 120명의 무장공비 중 107명을 사살하고 7명을 생포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후 예비군은 거의 매년 무장공비 소탕작전에 투입됐다. 하지만 무장공비 침투가 급감한 1980~1990년대 이후로는 예비군 편성은 훈련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특히 남북간 대치상태가 고착화·안정화되면서 예비군 훈련 안전, 부족한 훈련비와 장비 문제 등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지난 13일 발생한 사상초유의 ‘예비군 총기난사 사건’은 허술한 예비군훈련 안전관리 실태를 그대로 보여줘 국민들에게 충격을 줬다. 

국방부는 곧바로 ‘예비군훈련 총기사고 재발방지 안전대책’을 내놨다. 사격훈련시 일대일로 조교를 배치하고 안전고리를 반드시 운용하도록 우선조치했다. 우발상황을 대비해 사격통제 요원들에게 신형 방탄헬멧과 방탄복을 지급하고 실탄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로 사이에 방탄유리로 된 칸막이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문제는 예산이다. 전체 국방예산이 37조원에 달하지만 예비군 예산인 예비전력유지비는 연 1000억원대에 불과하다. ‘예비전력 정예화’가 구호로만 끝날 수 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이자, 동원예비군 사격장마다 CCTV를 설치하고, 사로와 사로 사이에는 방탄유리 칸막이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군의 발표에 미심쩍은 시선을 보내는 이가 적지 않은 이유다.

생업에 종사하는 예비군들이 훈련으로 뺏기는 시간과 경제적 손실도 크다. 

올해 기준 동원예비군 훈련비는 교통비 5000원, 보상금 6000원을 합친 1만 1000원에 불과하다. 예비군 제도로 인해 젊은 남성이 생산현장에서 벗어남으로써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연간 1조 3000억원에 달한다는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연구결과는 1990년대 초반에 나왔다. 현재 가치로는 경제적 손실 규모가 연 10조원대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예비군 제도를 50년 가까이 운영하면서 자연스레 확대된 군 조직에 대한 개편 없이는 예비군 폐지는 쉽지 않은 과제다. 육군은 전체 42개 사단 중 12개 향토방위 사단, 8개 동원보병 사단 등 20개의 예비군 관련 사단을 갖고 있다. 예비군 부대는 일반부대에 비해 현역병력이 20% 수준에 불과하지만 이를 지휘하는 장군 등 지휘관의 자리는 일반부대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예비군 편성을 줄이면 그만큼 군 고위간부들의 자리가 줄어든다는 얘기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백척간두 15-05-17 12:43
   
예비군은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사람들이다.
하루 만원 그것도 밥값을 제하면 버스비도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
KCX2000 15-05-17 12:44
   
연간 345만 8천명이 훈련 받는데 그중에 한놈이 설쳤다고 나머지 345만명이 받는 교육 방식을 바꾼데 ㅋㅋ
예상은 했지만 참 거시기 하네
확율이 1/345만 인데 말이지
사로에 칸막이 설치하고 조교랑 1:1로 붙고...
전쟁터져도 옆사람과 엄폐물 보면서 움직이고 준사관급 한명이 병사한명당 붙어야 하나?

그런 ㅄ짓거리 하지말고 훈병시절처럼 정신 못차리게 훈련에만 임할수있게 진짜 예비군 다운 그런 훈련을 생각할 똥별은 없나?
Centurion 15-05-17 12:56
   
솔직히 옛날 예비군은 훈련가면 지겨워죽겠던데..
요즘 체험식 서바이벌로 바뀌었다던데 해보신 분 있나요?

갠적으로 페인트탄은 에러인거 같고.. 공포탄 + 마일즈기어가 딱 좋죠..
하루종일 전투 형태로 굴리고, 이긴팀 오전 퇴소, 진 팀 오후 퇴소하면 아주 볼만할듯. ㅋㅋ

화생방이나 수색매복 같은 병공통 과목은
간략하게 체험식이랑 설명식으로 기억 되살리는 수준에서
체험 후 통과식으로 하던가.. 짧게 살짝만 하고..

민방위도 앞쪽은 이론이랑 정신교육. 뒤쪽은 체험식 훈련이더군요.
무말랭이 15-05-17 13:05
   
예비군훈련을 실효성 있게 하려면 주특기별로 편제해서 해야지요. 군에서 주특기 주어져서 훈련하고 생활 했는데
예비군으로 와서는 모두 보병아닌가 싶습니다. 도대체 예비군 훈련에 대한 체계가 있는지.
전쟁후에 주특기로 가지 않고 보병으로 참가하라는 것인지...
이렇게 할꺼면 그냥 폐지가 옳습니다.
아. 전 예비군 끝났습니다
     
Centurion 15-05-17 13:13
   
일부는 주특기 대로 가는 쪽도 있나보던데요. 포병 같은 경우는..

근데 대체로 보병일 수 밖에 없는게..
주특기있는 사람도 막상 전쟁나면..
현역 때처럼 많은 양을 암기하고, 써먹기 어렵지요.. 

게다가 대규모로 죽어나갈 최전방 보병인력 땜빵용이거나,
북한의 후방 침투 특작부대 대비용에 가까우니까요.

그리고 전방사단의 경우.. 예비군들이 현역보병분대에도 할당되는데..
11번 소총수~13,14 번 소총수 형식으로 편성된다고 하더군요.
          
무말랭이 15-05-17 13:30
   
저는 주특기가 전차승무였고 5 년정도 근무를 했는데. 예비군은 현역에서 사용했던 숙달된 . 몸에 벤 것을 상기시키는 것에 연장선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어렵게 예산들여가며 주특기 교육을 시키고 자대에서도 그것에 따라 훈련하고 근무를 했는데. 이것을 무용지물로 만든 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전쟁나면 보병만 죽는것이 아닌 전차도 파괴되고 포병도 죽고 할텐데. 그러면 보다 숙달된 예비군들이 파병되면 신병들보다는 훨 좋은 성과를 만들텐데하는 것이지요
               
바람노래방 15-05-17 14:02
   
님의 의견이 상식적이죠.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는 이유는 예비군에 대한 계획도 철학도 의지도 없는 군의 자세 때문이라고 봅니다.
               
Centurion 15-05-17 14:10
   
굳이 그런걸 할려면 미국식 예비군제도를 도입하는게 맞을겁니다.
다만, 한국예비군과 달리 미국식 예비군은 투잡 형태지요.

2박3일, 3박4일로는 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그런 난이도가 있는 분야에는 전역한 고급인력들을 1년에 잠시 교육해봐야..
전투력 유지 보존과 확보에 효과적일지는 잘모르겠습니다.

아예 하려면 연간 훈련기간을 늘려
현역 수준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월급쟁이 예비군이 낫겠지요.

물론 다수의 보병 예비군들은 그냥 현상 유지하면서 말이죠.
휴로이 15-05-17 16:03
   
전시에 동원했을때.. 동원예비군 병력은 현역병보다 더 잘합니다.
현재의 현역병들은 .. 졸병들도 많아서 시키는 것들만하거나 어설픈 경우가 많으나..
예비군들이 제대로 정식 병력으로 차출되면.. 정말 잘합니다.

단지 체력 부분에 문제가 생기는데.. 감안해서 병력구성하면 충분해요.
리퓨에 15-05-17 17:25
   
전쟁터지면 전방 현역은 총알받이고 북진하는 주 전력은 예비군인데 이걸 폐지하면....휴전선같이 적과 대치살황이 아니면 예비군이 필요없지만 전방은 전쟁 발발시 초토화인데 그 병력만 유지하다가는 그냥 밀려 버리죠 우리같은 상황에서는 예비군은 필수라 보이는데
멍텅구리 15-05-17 17:54
   
거짓말 안하고 예비군이 비록 껄렁껄렁 하지만 조기퇴근만 붙이면 현역보다 더 뛰어나다는건 현역애들조차 인정하는데.  내가 3년차때 4.2. 박격포 겨냥대 수포까지 완벽한 차려포 대결을 하는데 예비군 전부 대충.. 하지만 일찍 끝내주겠다는 말 한마디에 거짓말 하나 안보태고 현역보다 2배 가까이 빠르게 했음.  난 op였는데 배우긴 커녕 오히려 현역
op에게 조언해주고 가르쳐줬음..이게 당연한게 현역은 아직도 배워나가는 단계지만 대부분의 예비군들은 거의 대부분이 말년병장까지 다 거치며 여러가지를 경험해본 사람들이기 때문.

물론 4년차 이상되니까 잘 기억안남... ;;

수백만 예비군중 또라이 하나 때문에 예비군 존재 가치를 논하고 방식이 어쩌구 자체가 웃길 뿐임.
정어리 15-05-17 21:44
   
결국 해심은 예비군사단 운영..감축시 군 고위간부 보직 감소 이거네요..
정닭밝 15-05-17 23:41
   
예비군 훈련에대한 개혁은 필요하지만 저건 너무 오바하는거죠. 예비군은 시가지전 훈련정도하는게 딱 좋은거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