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12-19 02:24
[기타] 램제트 ramjet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523  

램제트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군용병기. 초음속 유도탄 분야을
생각해 본다면. 향후. 미래전의 모습은 지금 현대전과는. 사뭇 다른 그림이 그려질듯 하네요 ㅎ

저고도의 아음속 순항 유도탄

비행 고도를 낮게하여. 레이더 탐지에 노출률 줄여 타격을 행하던. 현대전의 첨병 역활이
입지가. 군사위성의 기능강화 레이더 성능의 발전등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변화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따라서 다음단계의 기술력. 성과물이 램제트가 아닐까요?

비행마하수를 1.8~3.0 높이거나. 특정기술 이 적용되어 마하5로 비행이 가능하다면
정말 초전에 훌갈수 잇는 중요한 요소네요
(스크램제트로 5~10이 라면. 휘유~)
이러한 램제트의 종류로는
먼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고체램제트
고제추진제에서 가스발생기로 가스를 만들어 가스를 연료로 하는 덕티드 램제트
추력조절과 장시간 작동이 유리한 액체 램제트
가 있습니다

액체 램제트 기술 보유국으론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러시아 중국 일본이스라엘등이 잇으며
미국. 프랑스. 러시아가 상위기술 보유로 선도국가 위치에 잇다고 하네요
토마호크. 차세대 유도탄 격이라고 해야할까요?  페스트 호크의 미국
ANNG의 프랑스 다용도 유도탄? 러시아의 YAKHONT가 대표적이면서도 가장 최신기술이 들어간
결과물이라고 하는군요

개인적으론. 페스트 호크와 야혼트는 가장 훌륭한 램제트 바탕의 초음속 유도탄이라 생각되어지네요 ㅎ

마하4에항속거리1260km 의 액체 램제트엔진에
공기역학적 인젝터로 연소불안정 문제해결 냉각장치는 연소실과 엔진을 냉각. 미사일내 열변형을방지및
높은온도에서 장시간 엔진가동이 가능한 내부기능요소에 추력방향을 조종하는 신기한기능은 연소효율 안정화 압력손실을 이루게 까지하며

순항2.5사거리300km로 호크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이지만. 미사일로써
보기드문 범용성 (지대함 지대공 함대공 함대지 함대함 공대지 공대함 공대공?잠대지 잠대함)

범용성이 높다는것은 복합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한 핵심기술이존재한다는것인데
삽입부스터와 고난이도에 해당하는 부스터 분리방식이 다양한 부스팅을 가능케하여 보여주는 범용성으로 보이네요

덕티드 램제트
저온의 연료 엔진내부의 저압으로 인해 고고도에선 쫌 문제가 잇고
급격한 가속 선회의 고기동을 위한 램제트 라네요 ㅎ?
그렇지만 실험다계가 아닌 실용화 단계. 실전배치가 되엇는지는. 흐음
Meteor BVRAAM은 잘모르는지라.......

초음속 유도탄을 위해서라면. 램제트의 연구개발. 더나아가. 국산화라는 숙제가 잇겟네요

(램제트 상위단계 스크램제트는. 우주항공 선진국에서만 연구가 가능한 분야라는군요
기술적 난제 막대한 연구비용 전문인력 설비등 때문에 말이죠)

OTL.  극초음속 분야에 접근하는. 미국
HyFly.SED.HyTech.Spaceliner.Hyper-x등 다수의 프로그램은 미공군 미해군등 여러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상위그룹. 국방부와 NASA의 관리를 받는다 하는데 휘유
만약에 극초음속 전술 유도탄이 등장한다면

상대측 정말 데멍꿀이 되겟네요 ㅎㅎ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omalia 12-12-20 00:47
   
웃기는게... 우리나라도 아음속대함미사일 해성을 배치한지 얼마나 됐다고
몇 년 이내에 초음속대함및 대지 순항미사일 개발완료 예정이네요.
뭐, 이정도 얘기 나올정도면 상당한 진행상황이라 보이기도 하지만,
기술협력의 중요함을 일깨워주는 부분이죠.
뭐 경제력/군사력 되는 나라치고 스크램젯 연구 안하는 나라 없으니, 우리나라도
하고 있을거라 보셔도 될거 같아요.

예산이 없어서 공군 계획의 삭감을 지켜보는게 안타까울뿐이지만요..
오카포 12-12-20 15:19
   
램제트 엔진은 러시아 기반기술로 개발중인 것으로 암. 헐~
스마트MS 12-12-20 19:02
   
(가칭)현무4. 가 훗날 등장한다면. 일단. 초음속 단계의 유도탄일것이라는 희망찬 상상이 그려 지네요 ㅎ
스크램젯. 극! 초음속은. 주작?!!!......이엿으면 하나요 ㅎㅎ. 빠르고 강렬해 보이잔아요 ㅎㅎ
러시아가 어느정도 기술지원을 해줄진 모르지만. 램젯을 기반으로. 공대공 미사일도 등장하엿으면 하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