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3-03-04 14:55
[기타] 옛.조선시대.무관 직책
 글쓴이 : 스마트MS
조회 : 3,901  

조선시대 장교의 진급제도
 
1. 조선시대의 무관의 보직 수는 얼마나 되었나?
 
조선시대 무관이 보임될수 있는 곳은 경관직 京官職 3.324
 
외관직 外官職 502으로써 총 3.826자리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3.110곳은 체아직 遞兒職(근무성적이나 근무일수에 따라 일정기간 3개월~1년만
녹봉을 받는 일종의 순환직 이자 임시직이라고 하네요
 
정직 녹관 正職祿官:녹봉을 받는 정식무관은 821자리에. 불과하여 조선시대 무관들은 진급경쟁이
.
현대와 별반 차이 없이 매우 치열했을것으로 보여지네요.

아아..공무원계의..비정규직의 근원인가요...OTL
 
ps.문관직은  무관보다 더 적었다고 하네요? 이외죠?
 
문관의 경관직은 741. 외관직은 1038. 총합 1779개가 문관의 보직개소이였다고 하네요.
단.

 정직녹관은 1579개. 무록관 (봉급따윈 지급되지 않는 관리)은 95. 체아직은 105개
어찌보면... 봉급지급 분야에선. 무관직이. 차별받고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2.조선시대는 어떻게 장교가 될수 있었을까?
 
조선시대. 장교. 군관이 될수 있는 길은 크게 세가지로.
 
1)장교의 정상적인 임용은 정부에서 실시하는 무과 武科시험에 합격하는것으로
3년마다 실시되는 식년무과式年武科 나라에 좋은일 있을때 실시되는 특별이벤트 기간
별시무과 別詩武科가 있다고 합니다.
.
두 무과의 합격자에 한해서는 향후 진급에는 차별성은 없었다고 하네요.
(육사 출신이니.삼사출신이니. 하는...에휴우.)
 
2)군부대마다 필요에 따라 관무재.도시.시재.시사 등과 같은 간단한 임용고시를 통해 임용되는 방법.
 
3)조상들의 공적을 인정하여 그 자손들은 관료로 등용하는 음서.蔭敍제도가 있었다 합니다.
 
대신.
음서를 통해. 관리가 된 경우. 요직이나 고급관직에 등용되기가 쉽지않아으므로
 
음직으로 들어온후. 다시 과거시험을 보는 경향이 많았다고 합니다.
 
ps.충무공 이순신의 후손들은...선택권이 없이 계속 오랜세월동안 무관직만 수행해왔을까요?
 
3. 무과
 
전국의 인재를 고르게 임용하겠다는 취지를 반영하여
 선발인원은. 한정된인원으로 배정하였다고 합니다.
 
함경도:10명  평안도:10명  황해도:10명  강원도:10명  전라도:25명  충청도:25명  경상도:30명
 
뭔가 미묘하긴 하나. ㅎㅎ;;
도의 인구비례에 따라 합격자 인원수를 배분함으로써 최대한 균형있게 선발할려고한 의지가 보인다고 할까요? ㅎㅎ
 
전국의 인재 190명은 서울로 가. 2차시험 복시(1차 시험은. 무예만으로 이루워 졌다면. 2차는
사서오경.중 1개
무경칠서:손자.오자.육도.삼략.사마법.이위공문대.울료 중 한가지 과목 선택.
이어서. 통감.병요.장감.박의.무경.소학 중 다시 한과목을 선택
 
필수과목으로 경국대전은. 기본적으로 하여 4개과목을 시험.190명중 25~30명가량을 뽑아.
고급지휘관 능력을 시험하죠.
 
3차시험인 전시는 국왕이 참석한 자리에서. 뽑힌 30명 가량의 등수를 결정하는 시험자리로.
.
.
.

말을 타고 하는 기격구.  땅에서 하는 보격구로..만 2과목만 실시합니다...;;;
 
으음. 뭐지?

4.장교들의 계급제도
 
자아. 이렇게 어려운 시험을 통과하고 국가 공무원의 길을 시작하였으니. 높은 목표가 보일겁니다.
 
조선시대 무관들이 걸어야 하는 산꼭대기는 무엇이였을까요? ㅎㅎ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 상보국숭록대부.보국숭록대부
 
종1품 숭록대부.숭정대부
 
정2품 정헌대부. 자헌대부
 
종2품 가정(가의)대부.가선대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문관들의 독식자리-
 
정3품당상:절충장군
정3품당하:어모장군
종3품:건군장군.보공장군
정4품:진위장군.소위장군
종4품:정략장군.선략장군
정5품:과의교위.충의교위
종5품:현신교위.창신교위
정6품:돈용교위.진용교위
종6품:여절교위.병절교위
정7품:적순부위
종7품:분순부위
정8품:승의부위
종8품:수의부위
정9품:효력부위
종9품:전력부위
 
......결론은...조선시대 군인들에겐. 계급은 없고. 품계와 직책만 있었다는거죠..우후후후
 
 
-참고자료.국방부 군사 편찬연구소. 조선시대 군사전략 中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산골대왕 13-03-04 15:52
   
호오..이런건 또 ㅎㅎㅎ 첨 접해 보는군요.
스마트MS 13-03-04 16:05
   
사극에 나오는 개그 캐릭터 무관이라도....

OTZ

뛰어난 인재였다는..고증을 엿볼수 있다고 할까요 ㅎㅎㅎ
모래곰 13-03-04 16:46
   
충무공 이순신의 집안은 원래 문관이라고 들었는데
임진왜란 이후 너무 뛰어난 조상을 둔 덕분에
후손들은 소질과 상관없이 무관으로 많이 차출됐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음서의 경우 정2품 이상은 승급이 제한됐다고 어디서 봤던 것 같습니다.
판서가 정 2품이죠?
진로소주 13-03-05 03:31
   
문관집안이 맞습니다 대펴적인 예로 율곡 이이 분이 계신죠 덕수 이씨 같은 파에서 이순신장군이 왕에게 충무공이라는 호칭을받로 충무공파가 생신거에요 실제 예로 저희집안에서도 이순신장군 보다 율곡 이이 선생을 더 대접합니다 문관이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