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2-10-11 22:18
[사진] Mi-28 하복이래요~
 글쓴이 : 오카포
조회 : 2,568  

MI-28NE-42.jpg MI-28NE-43.jpg MI-28NE-44.jpg MI-28NE-45.jpg MI-28NE-46.jpg MI-28NE-47.jpg MI-28NE-49.jpg MI-28NE-50.jpg MI-28NE-51.jpg MI-28NE-52.jpg MI-28NE-53.jpg MI-28NE-54.jpg MI-28NE-55.jpg MI-28NE-56.jpg MI-28NE-57.jpg MI-28NE-58.jpg MI-28NE-59.jpg MI-28NE-60.jpg MI-28NE-61.jpg MI-28NE-62.jpg
 
 
1982년 10월 10일 첫 비행에 성공한 밀사의 Mi-28 공격헬기 시제 1호기는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에 관측되면서 1980년대 중반 하보크(Havoc)라는 암호명을 부여 받게 된다. 구 소련 공군은 1983년부터 1984년 까지, 밀사의 Mi-28 공격헬기와 카모프사의 Ka-50 호컴(Hokum) 공격헬기의 시제기를 비교 평가한다. 구 소련 공군은 신형 공격헬기로 야간 공격 능력이 우수하고, 공중전 성능이 뛰어난 카모프사의 Ka-50 공격헬기를 낙점하게 된다. 그러나 경쟁에서 패배한 밀사는 Mi-28 공격헬기를 포기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한다. 1988년 1월에는 Mi-28A 공격헬기가 등장한다. 1989년 6월 Mi-28A 공격헬기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파리 에어쇼에도 참가해, 서방세계에 첫 선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1991년 구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로 국가 체제가 바뀌면서, 러시아는 정치적 혼란과 경제난이 심화되었다. 결국 밀사는 1993년 Mi-28 공격헬기의 개발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게 된다. 그러나, Mi-28 공격헬기의 뛰어난 점이 드러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한 동안 개발이 중단되었던 Mi-28 공격헬기는, 1995년 야간 공격 능력이 강화된 Mi-28N 공격헬기로 새롭게 부활하게 된다. Mi-28N 공격헬기는 1996년 첫 비행에 성공한다. Mi-28N 공격헬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메인 로터(Main Rotor)위에, 아파치 공격헬기에 장착된 롱보우(Longbow) 레이더와 유사한 레이더가 장착된 점이다. 이밖에 적외선 전방 감시 장치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Mi-28 공격헬기는 이전의 Mi-24 공격헬기와 달리 철저하게 공격 전용 헬기로 개발되었다. Mi-28 공격헬기는 최고 시속 300Km 이상의 빠른 속도를 자랑하며, 수송능력이 최소화 되면서 기동성이 향상되고 보다 많은 무장을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i-28 공격헬기는 Mi-24 공격헬기 보다 강화된 생존성을 자랑한다. 엔진의 경우 동체 양 옆에 각각 장착하여, 적의 공격에 동시에 파괴될 가능성을 줄였다. 조종석은 방탄유리와 두터운 장갑이 장착되어, 12.7mm 중 기관총탄이나 23mm 기관포탄에 공격을 받아도 조종사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Mi-28 공격헬기의 착륙장치와 좌석은 초속 12m의 추락 시에도, 조종사의 부상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MI-28 공격헬기는 공격전용헬기임에도 불구하고, 유사시 2~3명을 기체 내부에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공간은 적지에 추락한 조종사나 특수부대 요원들을 수송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탑재 무장으로는 기수 아래의 회전포탑에, BMP-2/3 장갑차에 사용되는 2A42 30mm 기관포를 장착하고 있다. 2A42 30mm 기관포의 최대발사속도는 900여 발에 달하며, 높은 포구초속으로, 전차의 상부장갑을 관통하는 강력한 화력을 자랑한다. 기관포외에도 Mi-28 공격헬기는 최대 16발의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한다. AT-6 스파이럴(Spiral) 대전차 미사일과 최신형 대전차 미사일인 아타카(Ataka)가 탑재되며, 레이저 빔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아타카 대전차 미사일의 경우 최대 8Km의 사정거리를 갖는다. 이밖에 각종 기관포 포드(Pod)와 로켓포를 장착할 수 있다.
 
강력한 공격력과 생존성을 가진 Mi-28 공격헬기는 덩치 면에서도 세계 최고를 자랑한다. 자체 중량의 경우, 8.6톤(t)으로 현존 하는 공격헬기 가운데 가장 무거운 공격헬기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냉전 종식 후에 러시아가 두 차례의 체첸전쟁을 치르면서, 공중전에 특화된 Ka-50 공격헬기는 쓸모 없는 존재가 되어 갔다.

 
오히려 Mi-24 공격헬기와 많은 유사성을 가진, Mi-28 공격헬기가 러시아 군의 사랑을 받게 된 것이다. 결국 2003년 러시아 군은 Mi-24 공격헬기의 대체기로 Mi-28N 공격헬기를 선택한다. 2006년부터 러시아 공군에 인도된 Mi-28N 공격헬기는 2015년까지 67대가 도입되어, Mi-24 공격헬기를 완전히 대체할 예정이다.
 
출처 : 보배드림. 당근덮췬토끼님.
 
--------------------------------------------------------------------------------------------
 
며칠천 어떤 분이 아파치는 다른 러시아제 공격헬기의 무장의 3배 더 무거운 걸 실을 수 있다라는 것으로
러시아제를 깎아내렸죠. 그런데말이죠. 그러면 아파치에 순항미사일이라도 실린답니까? 아니면 몇톤짜리
폭탄이라도 달린답니까? 어차피 그 무게 다 못써요. 이글에 나오는 하복이나 아파치나 무장 능력은 거기서
거기입죠.  어차피 달수 있는 무기는 대전차 미사일, 로켓포 정도로 제한 되어 있고, 대형 폭탄이라도 달수
있는 것도 아니고.......
밸런스 문제 때문에 헬파이어 가득 실으면 앞에 기관포 포탄 덜어내야 하는 아파치나 이 하복이나 뭔차이
랍니까? 
 
공격헬기로 공중전 펼칠것도 아니고, 러시아제는 탱크를 못잡는 것도 아니고..
전 러시아제고 뭐고 간에 값싸고 평범한 성능이면 좋겠네요.
또. 우리나라도 만만찮게 러시아 무기나 기계들도  많아요. T-80 이라던가 BMP-3 라던가.. 그거 들여오
면서 거기에 달린 기관포나 기관총 심지어 핼멧도 러시아제 그대로 씁니다. 이글라 미사일 기억하시는지
그것도 잘만 쓴 것으로 알아요. 산림청이나 해경에 가면 러시아제 헬기 잘만 날아다닙니다.
해군의 무레나 공기부양정도 잘 다니고 있구요. LG 인터네셔널에서는 러시아제 카모프사 헬기의 동아시아
지역 AS를 담당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제 수출무기 다운그레이드 문제를 말하시던데..
공격헬기가 다운그레이드 되면 탱크 못 터뜨려요?
 
 서방제 전자장비와의 호환성?
러시아 공격헬기는 지금 수출형 개발도 다 되어 있답니다.
돈만주면 서방제 전자기기 통신기기 다 달아준다고요..
옛날 같은 줄 아나봐.
기관포 같은 건 그냥 서방제로 달아도 문제 없는 걸로 알구요~
 
뭐. 조금 답답해서 뻘글 적어봤습니다.
맨날 아파치~ 바이퍼~
졸라리 비싼 것만 노리고. 댓수는 생각도 안하나~
아파치 들여오면~ 헬파이어는 없어도 돼?
우리나라 코브라헬기는 헬파이어 쏘나봐~
 아파치 들여와서 헬파이어 새로 사오나~하복들여와서 스파이럴이나 아타카 미사일 새로 사오나
뭐가 달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낭만저씨 12-10-11 22:25
   
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잔향 12-10-11 22:34
   
동감합니다
그리고 러시아제를 사면 미국애들이 압력넣겠죠 아마~
오카포님 안녕하세요!!
레옹레옹 12-10-11 22:46
   
내말이 그것임 아파치좋은 헬기임 그런데 돈이 없슴...그러면 차선책을 생각해야함 저것을 들여와서 개량을 함께 하는 것이 백번 나을 수도 있슴 아파치 하나살때 저것 세개를 사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슴
군은 아파치사서 좋겠지만 국민세금으로 국방비부담율이 큼....그래서 신중해야하는 것임...
헬기가 비행기처럼 제공권장악이 안하는 한 작전반경이나 전투상황에 충실하면 되는 것임...
won2355 12-10-11 22:46
   
알찬글이라 누가썼나봤더니 오카포님이셨군요.

한동안 안보이시더니 다시 밀게에서 보이시네요.

좋은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레옹레옹 12-10-11 22:49
   
일단 아파치롱보레이더의 역활도 기동전투가 함께 묶어서 가능하다는 것 아님....저것에 돈많이 들이느니 군대의 눈 정찰기에 제대로 쏟아부어서 정보력키우고 그래야함
user386 12-10-11 23:14
   
장난감 가게에 들어간 7살 짜리 아이처럼 육방부 나리들 아파치만 콕 집어 사달라고 조른것이
10년이 훌쩍 넘는데... 다른게 눈에 들어 오겠습니까?

누가 아파치 좋은거 모르는 사람있나?... 문제는 더럽게 비싸다는 것인데, 돈 없다고 사형 선고만
기다리고 있는 KFX사업 같은것도 있는데... 육방부만 돈이 넘쳐나나 봅니다.
아니면 칼자루 쥔 양반들이 콩고물 가득 묻은 아파치 주무르면 콩고물 잔뜩 떨어지길 바라거나...
S클래스 12-10-12 06:27
   
오카포님 좋은글 많이 부탁드려요~ ㅎ
참치 12-10-12 11:05
   
러시아 무기 내구성 좋아졌나 모르겠음.... 들여올땐 싼데.. 유지비가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말이 있어서....
굿잡스 12-10-12 12:59
   
좋은 글 잘봤습니다.

기본 전투기에 웬만한 유도 미슬 달면 탱크 몇십대는 싹쓸히 되는 상황에서 제공권 장악도 제대로 못하면서 공격형 헬기만 아파치 급으로 전투기 가격대로 뽑아 사용할 울 나라 재정 형편인지 참. 웬만한 좋은 기종들도 있는데 무슨 아파치 아니면 공격형 헬기는 없다는 식은 뭔지? 에구.
제삼의눈 12-10-12 14:29
   
절대 동감~
ibetrayou7 12-10-12 16:36
   
천조국도 아니고...
적은 국방예산으로 효율적인 무기를 산다면...
요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천리마 12-10-14 18:07
   
좋은 정보 입니다. 여기에 지연신관탄을 장착 할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