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6-08-30 12:38
[해군] 아스튜트급 원잠 제작과정
 글쓴이 : 떠벅
조회 : 4,381  




수상배수량

7,000톤

수중배수량

7,400톤

전장

97.0m

전폭

11.3m

흘수선

10.0m

동력원

롤스로이스 PWR2 가압수형 원자로 x 1

기관출력

27,500마력

수중속도

30노트 이상

잠항심도

300m

승무원

98명

무장

533mm 어뢰발사관 x 6

스피어피쉬 어뢰 
UGM-109 토마호크


출처: https://namu.wiki/w/%EC%95%84%EC%8A%A4%ED%8A%9C%ED%8A%B8%EA%B8%89%20%EC%9E%A0%EC%88%98%ED%95%A8

공격용 원잠이라면 이정도는 되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CX2000 16-08-30 13:01
   
잠항심도가 왜 저것뿐이 안돼지해서 찾아보니 300미터 맞네요.
손원일급이400미터인데...뭔놈의 원잠이 디젤잠샴보다 잠항심도가 떨어지냐
그리고 현재나온 러샤나 미국 최신잠샴은 평균 잠항심도 500이고 일본도 오야시오급부터 500미터 달성인데
현대에 나온 최신 원자력 잠샴이 300미터라니....

미국 LA급이 HY80강으로 심도 300미터 달성했는데 영국이 제철기술이 많이 떨어지나보네요
     
스포메니아 16-08-31 04:32
   
울프급 잠항 심도 600미터, LA급 450미터
sunnylee 16-08-30 13:15
   
잠수함 잠함심도  발표자료는 대부분 일반적인 작전 잠항심도 인듯 합니다.
미국 전략핵잠 오하이오급도  일반적으론 240m 정도로 알려졌지만..
다른 자료로는 최대 잠항심도 650m 까지 가능한것 알려 졌음..
그만큼 민감한 사항이라....
     
KCX2000 16-08-30 14:07
   
통상적으로 안전 잠항심도는 금속의 피로연한을 계산해서 어떤재질로 얼마나 두껍게 제작해서 나오는값입니다
이건 속일수가 없습니다 단, 어떤재질,잠수함 외피 두께를 알아야하죠
그렇다고 전혀 짐작할수 없는것도 아니죠
현재까지 나온 재질중 신일본 제철에서 나온 HY120강이 제일 질깁니다
일본 오야시오 미국 버지니아급이 120강으로 만든겁니다
미국 LA급처럼 80강쓰고 두깨를 두겁게하면 300미터도 잠수가능하나
무작정 두껍게 할수도없죠
최대잠항심는 금속피로도를 무시하고 극한까지 잠수한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장수함 수명이 줄겟죠

잠수함 잠항심도란게 기밀사항이긴한데 관련 자료나 야간의 지식만 있어도 계산가능합니다
          
sunnylee 16-08-30 21:08
   
시울프급/버지니아급에  HY130강 이 사용 되었습니다.
오야시오선체의 구조재로 신일본 제철만든건 NS110강 이고요
물론 발표자료에선 강도는 동급 이라지만...

다른의미로 질긴다는 표현도 틀린말은 아닌지만.
좀더 정확한 표현으로 고장력강의 특성은
인장력( 압력에 의한 밀도변화)에 강한 제질를 뜻하는것 같습니다..
.
그리고 잠항능력에서 강철의 재질이 먾이 좌우 하지만.
절대적 이라고 이야기 하긴 힘들다고 생각랍니다.

더중요한것 밑에분 말대료 
잠수함 내부 선제구조 설계와 제작,용접기술, 그리고 잠수압을
 견디기위한  압력선체구조 계획등 복합적으로 맞물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제 오야시오급부턴 이전급보다 선체 내외 구조변경 했다고 발표
(일설에는 버지니아급 설계사상를 많이 받아 들였다고...)
2000년 초반에 NS110강으로 건조한 오야시오급 보단

이미 그런 강제가 개발도 안됀( HY120,HY130강  제작과정의 상당히 난이도가)
80년대 건조한 유인 탐사잠수정의 잠항심도가 20000 -6500m에 이르는
 신카이 2000 .6500(1981,1989 건조)
 이중 신카이 6500는 지금까지 운용하고 있는 실정에서
고장력강 사용 기준으로 잠항심도을 따지는건
절대적이라고 판단하긴 힘들다고 생각 합니다.
 
물론 님 의견대로 전투용잠수함의 운용상 금속 피로도 따른 고장력강의 필요성
강의 종류에 의한 잠항심도 계산 유추 가능의견은 충분히 공감합니다..

제가 이야기한 잠항심도에관한 의견은 일반적인 대외 발표자료 이니
실제 작전상 잠할심도와는 차이가 있을것 같다는 의견 일뿐 입니다.
서울뺀질이 16-08-30 18:04
   
In December 2003 the contract modifications were signed, with the MOD agreeing to add another £430 million to the programme and BAE Systems assuming £250 million of the cost overruns.[9] The MOD also enlisted the advice and expertise of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through a U.S. Navy contract.[15][16] Eventually, a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employee became the Astute Project Director at Barrow.[8]
/////////////////////////////////////////////////////////////////////////////////////////////////////////////////////////
영국 BAE 사에서  설계가 안되어서  결국  미국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에 도움을 요청 했고 사실상  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직원이  the Astute Project Director가 되었습니다. 

이유는  영국이 한 동안 잠수함 건조를 등한시 했고 그 사이에  직원들이 은퇴 하거나  다른 곳으로 가벼려서  3D CAD software를 운용할 인원이 전무한 상태라서  영국의 원잠 대체 계획이 계속 지연되었습니다. 

결국 미국의 도움 없엇으면  영국 삽질 할 뻔 햇지요.  Astute 급 원잠 대당 가격이 대략 2조원 정도 되고  LA 급 공격핵잠의  75 퍼센트 수준 정도의 성능을 갖습니다. 

원래 조선업 이라는 것이  한번 죽으면 다시 살리는데 시간도 많이 걸리고 숙련공 키우는데도  쉽지가 않습니다. 잠항 수준이 떨어지는 건 어쩔 수 없어요.  영국 조선업이 망해서  맨땅에 헤딩하는 수준으로 만든겁니다.  한국은 조선업이 죽지 않고 계속 유지 되어 왓으니  Astute 급 보다 잠항 심도가 더 낫겟지요.

제가 듣기로는  잠항 심도는  금속 재질과  용접에 달려 잇는데  숙련공이 용접할수록  잠항 심도나  잠수함 사용 년수가 늘어 나겟지요.

  대우조선에서 90년 초반에 잠수함 처음으로 만들어서 시험 운행 하는 걸 거제도에서  본 적이 있는데  외삼촌이 대우 조선소에서 일하셔서 일화를 들었지요.  처음 만든 거라서  물이 새고  난리도 아니었다고 합니다.  ㅋㅋ  지금은 최소한 물새는 잠수함 만들지는 않겟지요.  20년이 넘는 짬밥이 있는데.

그리고, 영국의  barrow shipyard에서  군함이나 잠수함이 건조 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Astute-class_submarine
뻑가리스웨… 16-09-01 01:32
   
다들 영어 잘하시나 보다
무슨소린지도 몰것고 답답하기만 하네요 ㅋ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