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5-30 12:37
[잡담] 중국 희토류 보복 땐 미국 F-35·토마호크에 불똥 튄다
 글쓴이 : 니내아니
조회 : 3,060  

희토류 문제가 재미지긴 합니다..


https://news.v.daum.net/v/20190530101732030?f=p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굿잡스 19-05-30 12:48
   
     
니내아니 19-05-30 12:51
   
기사 마지막 문구에 ..시간싸움이라고도 나오지만..거기에 가격 문제 또한 포함되지 않을까요?
          
굿잡스 19-05-30 13:07
   
미국은 워낙 자본시장 원리로 돌아가는 나라이니 희토류가 돈이 된다면 얼마든지 자체든 해외든 뽑아낼겁니다.

안보까지 걸린 문제면 달러를 풀어서라도.( 짱국만 돈지랄 하는게 아니니 ㅋ)
모래니 19-05-30 12:57
   
400kg까지 들어갔다면, 스텔스 도료에 들어갔겠네요. 반도체에 깨작깨작 들어간게 400kg까지 가진 않을테니까.
     
니내아니 19-05-30 13:11
   
설마 도료에 그렇게 많이 들어갈까요? 거의 반톤인데
맙소사 19-05-30 13:16
   
이게 환경오염이 엄청나서 미국내에서는 안할것 같고 아프리카 같은 곳에 희토류 광산 만들지 않겠나 싶네요...아마도 아프리카에 돈만 쫓는 독재자 물색 중일듯

 다까끼 마사오 같은 놈은 '그거 내가 하겠소'하면서 손들고 나설 놈인뎅...우린 천만다행이다
바람노래방 19-05-30 13:19
   
포스코가 바닷물에서 희토류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하던데, 그건 어떻게 되어 가는지 궁금하네요.
     
맙소사 19-05-30 13:23
   
그건 박그네 때 나온 말이고....그 때는 한달이면 AESA 레이더도 만든다고 했지요.....
추출하는 기술이 어려운게 아니라 생산원가가 문제라서....중국에서 희토류로 전쟁 들어가면 그때 급한데로 손해보면서 견디겠다 그런거죠...
          
카라스 19-05-30 13:38
   
없는소리하지마세요 한달내 가능하다고 하지도않았습니다
               
맙소사 19-05-30 17:23
   
https://news.v.daum.net/v/20160427205503942

1달이라는 글이 그렇게 마음에 안들어요????ㅋㅋㅋㅋ
아마 위에 링크된 뉴스에  박그네 때 kfx 4대 핵심기술 미국에 달라고 했다가 뺀찌 맞았지요. 그리고 하얀 가운 입은 카이스트 교수 녀석이 건물에 붙어 있는 쬐그마한 잔디 위에서 저기 위에 시제품 가져다 놓고 aesa 레이더 기술 거의 다 확보했다고 지.랄하던게 눈에 선하네요..그리고 분명히 그때 카이스트 교수 녀석이 기술 완성 시점도 얘기 했는데....1달이건 1년이건 구라라는 변함 없음....ㅋㅋㅋㅋㅋ알바가 흥분하셨네........분명 박그네때 카이스트 교수 녀석이 내가 말한 식으로 거짓선동했거든요
                    
카라스 19-05-30 21:17
   
LIG넥스원, ‘AESA 레이다 시험개발-II 사업’ 본격 참여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325711&sca=&sfl=wr_subject&stx=lig&sop=and
AESA레이다 시제 우선협상 대상업체 선정 관련 방위사업청 입장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67&pn=1&num=907
그저 웃지요 그리고 자꾸 알바라고 하는데 나 알바 아닌데?

2014년 록히드마틴은 F-35 절충교역(무기 거래에서 무기를 판매하는 국가가 사가는 나라에 기술 이전이나 부품 발주 등의 반대급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21개 기술항목을 제안했다. 방위사업청은 KF-X 개발 위험을 경감하는 차원에서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기술(AESA 레이더, 적외선 탐색 및 추적장비(IRST), 전파방해장비(RF Jammer), 영상광학표적탐색 및 추적장비(EO TGP) 등 4개 항공전자장비를 KF-X에 탑재해 주(主)임무 컴퓨터와 연동하는 기술(위 4개 항공전자장비를 개발하는 기술과는 별개임)을 미국 정부 ‘E/L(Export License) 승인 시’라는 조건하에 추가하는 것을 협의했다. 

그런데 F-35 구매 대수가 당초 60대에서 40대로 축소되면서 절충교역 규모도 줄었다. 이에 따라 추가 협의된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기술은 미국 정부의 E/L 승인 시 기존의 21개 기술항목 중 일부를 동일 가치규모만큼 대체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아쉽지만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기술 이전은 미국 정부의 미승인으로 무산됐다. 이와 관련해 2015년 나라가 떠들썩했으며 많은 의혹이 제기됐다. 

“미국만 선진 기술 가진 게 아냐”당시 거론된 의혹은 다음과 같다. ‘미국 정부가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기술을 이전해주지 않을 것을 알면서도 승인될 것처럼 국민에게 선전했다’ ‘미국의 기술이전이 무산됐는데 어떻게 4개 항전장비를 개발할 수 있나(우리가 요구한 것은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에 관한 기술이지만, 당시에는 장비 개발에 대한 기술이전을 요구한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 ‘미국의 기술이전이 무산됐으므로 그만큼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것 아닌가’ ‘KF-X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기술이전이 필요하다더니 이제 와서는 기술이전 없이도 개발할 수 있다고 하니 그동안 말한 것은 모두 거짓이고 믿을 수 없다’…. 

이러한 여론은 절충교역 시 기술이전 형태와 기술이전 승인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출발했다고 생각한다. KF-X 기술이전은 록히드마틴이 무엇을 설계해주거나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다. ‘모든 개발은 국내업체가 주관하고 록히드마틴의 엔지니어(TA·Technical Assistance)는 옆에서 조언하고 분석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뿐이다. 즉 우리 엔지니어들도 기본적인 기술은 보유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방위사업청에서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에 대한 기술지원(TA)을 요구한 이유는 모든 개발 수행은 국내업체가 하더라도 록히드마틴 TA들이 일종의 ‘가정교사’ 역할을 해줌으로써 개발 위험을 줄이는 게 목적이었다. 따라서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에 필요한 비용은 사업계획 시부터 4개 항전장비 체계통합 기술이전 여부와는 무관하게 총사업비에 반영돼 있었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0&oid=262&aid=0000010728
조금만 찾아봐도 반박 자료 널렸는데? 내가 님보다 여기 게시판에 오래 있었고 올린거 만 해도 압도적인데 그걸 모르고 있을까 봐? 번데기 앞에서 주름 잡지마요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435600&sca=&sfl=mb_id%2C1&stx
Wombat 19-05-30 13:58
   
ㅋㅋ 무슨 손톱만큼 들어가는 희귀토가 전략적 카드임?
     
니내아니 19-05-30 15:30
   
기사에 나옵니다..f35 어디에 들어가는지 모르지만 417키로그램이나 들어간다고...

스텔스쪽 무기체계에는 희토류가 많이 필요한것인지.....그리고 희토류 전략 카드로 충분히 활용가능합니다..다만 상대가 미국이라는게...ㅎㅎㅎ
     
sangun92 19-05-30 20:27
   
전략 자산 맞음.
희토류가 손톱보다도 적게 들어간 것과 들어가지 않은 것의 성능 차이는
몇 % 정도가 아니라 몇배의 차이가 남.

자석의 경우만 따지더라도
희토류 원소가 들어간 자석 (희토류 자석, Sm-Co 또는 Nd-Fe-B 자석, 반짝반짝 빛남)의 세기는
일반 자석 (거무튀튀한 것들)의 자석 세기보다 적게는 몇 배, 크게는 열배 가까이 강함.

컴퓨터 기록장치 부품에 들어가기도 하는데
들어가고 아니고의 성능 차이가 하늘과 땅 차이임.
그날을위해 19-05-30 18:58
   
하... 미국을 상대로 자원빨 맞다이를 하겠다는 저 대륙의 기상...

미국의 유일한 약점이던 에너지문제를 해결한 이상
이제 지구인은 미국을 이길 수 없어요.
나그네x 19-05-30 21:38
   
희토류를 우습게보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거 현재 전자산업에서 거의 절대적인 쌀같은 광물재료라고하더군요. 저도 몰랐는데 최근에서야 경제 다큐나,경제방송 같은곳에서 심층적으로 이야기하는걸 들어보면 현대문명에서 전자산업에 관련된 모든 곳에 쓰인다고 할 정도입니다. 이 "희토류"라는 희귀 광물은 사실 중국만 있는 희귀광물이 아니라 미국도 매장량이 꾀 있고 각나라마다 어느정도 있다고 하는함. 문제는 광물 채취과정 정재과정에서 엄청난 환경오염이 발생해서 미국에서는 그 많은 매장량에도 규제를 받는다고 함. 중국은 그런거 상관없이 개발하는것이고 더군다나 단가도 저렴. 그래서 전세계 유통량의 70~80%를 차지한다고 함. 북한에도 엄청난 매장량이 있다고 알려짐.
일본은 과거 중국의 희토류 자원전쟁으로 타격을 받은후 희토류가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 전기자동차같은 곳에는 기술개발해서  희토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전기자동차를 개발했다고 함. 한국은 아직은 눈치보는 중이라고...
하지만 일본 사례와 같이 중국이 단기적으로 희토류를 자원무기로 사용할수는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중국도 타격을 받는다고 합니다. 중국이 저걸 자원무기로 사용하는 순간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가 희토류를 개발하거나 대체하는 기술을 일본처럼 개발할테니 단지적으로는 먹혀도 장기적으로는 힘들다고 함.
     
sangun92 19-05-30 23:32
   
제가 석사 과정에서 희토류 원소 중의 하나를 쪼물딱 거렸음. (Tb)
희토류 원소가 들어가면 성능이 어마어마하게 바뀜.
그래서 전자기기 또는 부품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고.

전자기기, 부품 등의 소형화와 성능 향상에 있어서 희토류 원소는 빠질 수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