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4-09-07 09:40
[질문] 이스라엘제였나요? 해리어 전투기에대해 질문이..
 글쓴이 : ANINY
조회 : 3,235  

제가 개인적으로 이 전투기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뭔가 보고있으면 이세상 물건이 아닌듯한 느낌이랄까...;;;;
활주로도 필요없고 기동성도 최고고 특히나 이 vtol이란것이 우리나라같이 영토가 작고 산악지형이 대부분인지역에 딱맞는 형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암튼,, 근데 제가 밀리터리 전문가도 아니고 잘은 모릅니다만, 해리어처럼 실전에 배치되서 적극적으로 쓰이는 vtol기가 이거말곤 따로 없지않나요? 
뭐뭐 vtol로 찾아보니 좀 있긴 하든데 다 처음들어보는것들이고.. 실전에 쓰이지도 않는거같고..
vtol계에선 해리어가 독점하다시피 하는거처럼 보이는데 vtol기 그러니까 해리어에, 특별히 약점이 있다든가  뭐 그런게 아니고선 수직이착륙이란것은 굉장한 메리트라고 보는데, 왜들 개발을 적극적으로 안하는걸까요?
굉장히 만들기 어려운 외계기술도 아닌거같은데...

비행기처럼 슝슝 날다가 어디 적당한 공터만 있으면 간편하게 착률할수있고 헬기처럼 공중정지상태로 공격도 가능하고,, 넘넘 좋지않나요?? 이동속도나 전투범위도 헬기와 비교할바가 못될테고,,
제가 생각하기엔 그야말로 꿈의 전투기인데 왜 vtol은 해리어가 독점하고 있는지?
또 독점하는거에비해서도 생각보다 많이 팔려서 사용되고있는거같아보이지도 않는지?
암튼,, 이런것들이 평소 너무 궁금했었습니다.

얼마전에 보니까 해리어 전문가도 계시는거같든데;; 
미리감사 꾸벅....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본자아 14-09-07 09:46
   
이스라엘이 아니고 영국 일걸요.
그 영국 헤리어 기술로 만드는게 F35 B형 일걸요.
     
나그네21 14-09-09 01:22
   
기술이 다릅니다. 헤리어는 간접분사(?) F35 B는 직접분사(?)(표현이 맞는지 모르겠네요)방식으로 달라서 F35 B 개발비가 산으로 가고있죠. (F35 A는 개발다 됐는데 B 형때문에 가격상승하고있죠, 쌀국꺼 만드느라고 우리나라 A 형 비싸게 파는 형국)
헤리어가 연비가 좋지않아서 F35 B는 방식을 다르게 가고있는는걸로 알아요.
근데 헤리어기 중무장후 수직이륙하면 나중에 수직착륙 힘들지 않나요? 연료때문에, 물론 비행 거리에 따라 다르겠지만.
드림케스트 14-09-07 09:55
   
차기 플랜에서 보잉이 따라한거구요..
록마는 독자기술이였음.. 러샤두 야크가 비슷한 기술사용한걸로
만듬
컬링 14-09-07 09:59
   
저도 밀게는 한번씩 기웃거리는 정돈데... 일단 제가 일기론 폭장량이 떨어져요.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을 위해서는 엄청난 엔진힘이 필요한데...이것만으론 쉽지 않으니까 기체를 가볍게 하는 거죠. 작전반경도 좁아지구요. 수직 이착륙을 위해서 많은 것을 포기한 거죠. 이러다 보니 애매하게 된거죠. 중형급 이상 항공모함에선 활주로가 있으니까 여러가지 단점이 있는 수직이착륙기를 쓸 필요가 없고 결국 경항모에서나 쓰는 건데... 미묘한 상태가 되버린거 같네요. 이제는 번개돌이가 나오니까 더 더욱 불필요한 존재가 되지 않을까요? 아참 고장도 잘난다고 들은거 같은데... 이건 지나가면서 들은거라 정확하진 않아요.
그외에 자세한 대답은 밑에 전문가분께서 말씀해주실꺼예요 ㅋ
참치 14-09-07 10:22
   
수직 이착륙 외에는 장점이 없는 기체임... 하지만 수직 이착륙 자체가 워낙 큰 장점이라.. ㅎㅎ

적은 폭장량, 연료, 아음속의 한계...  다만 편향노즐이 고기동에 효과가 있어서 포클랜드전투의 실전에선 생각 외의 장점이 되었다능 말이 있죠.

하지만 결국, 추력에 발목이 잡히는 기체임... 환상은 깨시기 바람. ㅎㅎ
STONE 14-09-07 10:59
   
해리어는 무장 만재하고 연료 만재하면 수직 이착륙 불가합니다. 간단한 공대공 무장에 연료 2/3 정도까지가 VTOL 한계인걸로 알고 있구요.. 구 소련도 물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전투기가 있습죠.. Yak-38 포져.. 해리어와는 다른 방식이구요..(수직 이착륙용 제트 엔진이 따로 달려 있습죠..) 그 역시 별볼일없는 무장능력에 별볼일없는 항속거리땜시 혹자는 쓰레기라고 부르고 있습죠... 수직 이착륙이 상당한 메리트가 있긴하나 무장 주렁주렁달고 산뒤에서 호버링한다음 기습적으로 어쩌구 저쩌구.. 그런 환상은 애초에 깨시는게.... 좋을듯
영웅문 14-09-07 10:59
   
jet엔진으로 만들어진 vtol기는 일단 이착륙때 엄청난 위험을 초래합니다.
일단은 열의 역류로 인해서 엔진이 멈추는 사고등이 발생할수 있죠.
그래서 서방이나 러시아나 vtol기의 사고가 가장 많습니다.
이것을 일정부분 없앨수 있었던 것은 F-35B형처럼 FAN의 도움으로 열기를 다른 곳으로 분산시킴으로 그런 것을 막을수 있었죠.

그리고 비행기의 원리에 양력이라는 부분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날개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해서 생성하는 것이 양력인데 이것을 추력을 이용해서 하기 때문에 엄청나게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죠.
이 에너지 소모로 인해서 많은 연료가 소모되고 그것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 무게를 줄일수 밖에 없는 구조로 제작됩니다.
그러기에 헤리어엔 많은 무장을 할수 없었고, 무장을 할땐 vtol의 기능보단 항모에 스키점프대를 이용한 이륙을 사용하죠.
그리고 기술적으로 생각해서 엔진이란 고정된 상태의 JET엔진의 추력을 강제적으로 밑으로 가게 만들어 그 힘으로 이륙을 하는데 엄청난 열기를 지탱할 금속재료가 얼마나 되리라 보시는지요.
그 수명 또한 매우 짧겠죠.
그래서 잔고장이 많습니다.

러시아의 경우 수직이착륙기로는 YAK-38, YAK-141이 있는데 YAK-38의 경우 너무 많은 사고로 조종사들이 꺼리는 지경에까지 이르렇죠.
YAK-141의 경우 시험비행중일 겁니다.
YAK-38의 경우 헤리어를 모방했다 보여집니다만, 노즐쪽을 해결하지 못해서 딱딱하게 움직인다고 하네요.
그래서 사고가 헤리어의 몇배나 많다고 하죠.

헤리어의 기술은 영국이 개발했고, 이후에 미국이 기술을 도입해서 AV-8을 만듭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F-35B가 만들어 졌고, 여기에 FAN을 더해서 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sunnylee 14-09-07 12:21
   
윗분들 이야기가 정답..
 vtol 기종은 현재 설계상 엔진추력을 나누어 분사(초기  해리어: 로스롤이사 페가수스 엔진) 방식으로
낮은 익명하중을 맞추기위해  무게를 낮추기위해 주익의 강도(후레임이) 얇게 설계
무장의 폭장량및 종류에 한계가 있음, 또한 4개노즐분사식의 복잡한 엔진은 추력에도 한계가 생김
또한 현제 주력항공기와 같은 추력강화 쌍발엔진 부착은 더 불가능
( 설계가 복잡, 정비, 연료소모로인한 기체무게 증가)

또한 전체 무게줄이기위한 외부에 연료땡크 부착도 어려워 항속거리에도 문제가 생김
현재
 vtol 주무장에 연료땡크 부착하곤 수직 이착륙은 불가능
수직이착륙도 이착륙장에 작은 부속물(엔진에빨려들어가는문제)등 여러가지 제약이 많고요
또한 윗분말대로 착륙시 내부로 열기 역류로 인한 엔진이상도 많이 생기는 걸루 알고 있음.
물론 이런 분사 노즐 방식의 해결책으로 현제 f35에서는  상부 덕트 팬 방식으로 설계가 바뀜..

다만, 주력 정규항모를 보유못한 국가나,
국지적인  선발 타격대의 호위,화력지원용 공격기로 는 유용한 자원인건은 분명합니다.
ANINY 14-09-07 14:07
   
우웃.....  답변들 감사합니다 꾸벅

생각보다 이런저런 제약이 많군요.. 특히나 적재량에 그렇게나 제약이 많을줄은 몰랐네요. 완전무장도 불가능하다니...  뭐 문제점도 아무래도 일반 항공기보다야 많을거구...

해리어는 일반 전투기보다 아무래도 전투헬기하고 비교되겠지요-?
헬기하고 비교하면 적재량은 비교도 안되게 모자를테고,,  고장같은 정비문제같은것도 아무래도 더 많을테고,,
그래도 작전반경과 기동성은 헬기보단 훨씬 높을거같습니다. 헬기보다 속도가 훨씬빠르니 지대공미사일요격등에 대한 생존성도 좀더 높을거같고... 아무래도 비행기 잡는거보다 헬기잡는게 좀더 낫지않겠어요?  o_o
..암튼 서로 장단점이 있겠지만 그래도 헬기로썬 불가능한 vtol기만의 뭔가 그런게 있을거같았거든요. 근데도 생각보다 많이 안쓰이는거같아 많이 궁금했었습니다.
...팬으로써도 아쉽고....
ㅣㅏㅏ 14-09-08 23:24
   
뭐 필요없다고 했던 미국도 결국 가져다 쓴거 보면 유용하긴 유용한 전투기죠...
ANINY 14-09-09 06:02
   
덧글들 다시한번씩 읽어보니 공부가 많이 되는군요
환상이 너무 컸었나 싶네요.... vtol이 주력으로 마음껏 사용되기엔 아직은 좀 시기상조같기도 하고..  혼자 너무 앞서가느라 많은것을 포기한거같네요..

답변주신분들 모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ㅋ
시야4 14-09-09 14:52
   
일단 무지 위험하다는거...그리고 수직 이착륙시 엄청난 연료소모...빈약한 폭장량...

그리고 이착륙을 버틸 활주로 내지...갑판...

그래도 짧은 반경내에 신속한 타격 능력과 짧은 이착륙의 장점 헬기와 같은 공중 저속정지 비행이라는

장점으로 쓰이는 기종
그날을위해 14-09-09 17:35
   
해리어는 영국~
혜리는 사랑~
ㅈ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