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2-03-23 16:59
[뉴스] 바이든, 쿼드 가입국 인도의 러시아에 대한 입장이 다소 불확실
 글쓴이 : 노닉
조회 : 2,359  



현재 쿼드 가입국인 일본과 호주가 적극적으로 대러제재에 참여하고 있는 데 비해 인도는 러시아를 규탄하지도 않고 있음.




(구글번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 및 서방과의 관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러시아에 대해 행동하는 데 있어 쿼드 그룹 국가 중 인도만이 "다소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다른 쿼드 국가(미국, 일본, 호주)는 러시아 법인이나 사람을 제재했지만 인도는 제재를 가하거나 최대 군사 장비 공급국인 러시아를 비난하지도 않았습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월요일 비즈니스 포럼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언급하며 “그의 공격에 대응해 우리는 나토 전역과 태평양 지역에서 통일 전선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 중 일부에서 인도가 다소 흔들리고 있다는 가능성을 제외하고 쿼드는 푸틴의 침략에 대처하는 측면에서 일본이 매우 강했고 호주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땡말벌11 22-03-23 17:07
   
개인적으로 쿼드가 약하다고 보는 것이
가입국마다 중국과의 마찰의 종류와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중국이 내민 당근만으로 빠지거나 미흡하게 대응할 나라가 많을 것이라는 것이죠.
그래서 다자간 안보협약이 중요한 것이구요.

시각의 차이이지만 미국은 당장 중국을 견제해서 외교, 안보의 심리적 제약을 걸고 싶어서
쿼드를 이야기 하지만 중국이 크게 위협적으로 생각 안할 겁니다.
당근에 현혹되어서 중립 깃발 들 나라 많습니다.
미국도 그걸 아니깐 쿼드 가입 여부를 크게 생각하지 않은 듯.
다잇글힘 22-03-23 17:18
   
우리도 중국이나 러시아와 얽혀있는 것들 때문에 주저하는 부분이 많은데 인도같은 경우는 당장 무기체계가 러시아제들이 많아서 멀어졌다간 당장 유지보수에서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겁니다. 당장 서방제로 시스템을 순식간에 갈아탈 수 있는것도 아니고. 인도입장에선 당연
이름귀찮아 22-03-23 17:20
   
미국 호주 일본은 쿼드를 반중동맹체로 가져가고 싶은데

인도는 그러고 싶어하지 않음

그래서 인도는 우리가 쿼드에 들어와 자신들과 같은 목소리를 내주길 원하는데

이번에 정권이 바뀌면 인도가 원하는 목소리를 낼지

아니면 미국 호주 일본이 원하는 목소리를 낼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
Wombat 22-03-23 17:27
   
아베가 지혼자 북치고 장구친거지
인도가 ㅁㅊ다고 중립적 포지션을 스스로 깰것 같음?
범내려온다 22-03-23 17:33
   
애초에 인도는 친서방국가가 아니지.
인도는 중국과의 마찰(및 중국의 파키 지원) 때문에 쿼드에 껴 본거지, 러시아랑 등질일 없도 없고 더군다나 미국만 빨아줄 생각도 없음.

애초에 인도는 역사적으로 오랜기간 등거리 외교를 해왔고 냉전시기에도 미소 양측과 등거리 외교를 하던 나라.
현대에 와서 이슬람 국가인 파키스탄과 전쟁을 하면서도 중동 및 타 이슬람 국가와도 외교관계를 강화해 왔듯 인도는 철저하게 자국 중심의 등거리 외교가 근본이고, 철학이다.
나그네x 22-03-23 22:09
   
인도는 러시아제재에 중립을 선언했다더군요.
인도뿐아니라 기름의 중동국가들, 멕시코 브라질같은 중남미국가들,동남아국가들,아프리카대륙국가들도 거의 다 러시아제재에 중립을 표명했다고 함.
국내뉴스만 보면 거의 세계적으로 다들 제재하는 것처럼 느꼈는데 실상은 직접적인 당사국들인 유럽진영하고 미국그리고 아시아 일부국가들만 제재안에 참여했다는 것 같더군요.
이걸보고 역시 세계는 다들 자국의 이익에 의해 움직인다는걸 알겠더군요.
앞으로 한국의 국제외교가 꾀 힘들어질듯한 느낌.
먼바다로 22-03-24 08:34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은 서방이 우크라이나를 앞세우고 러시아와 대리전쟁을 하는 모습입니다. 젤란스키같은 얼치기 정치인이 우크라이나를 그 역할로 끌어들인 결과입니다 . 과거 625가 양세력의 대리전이었고 중국의 부상에 따라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가 재차 위기를 불러 올 가능성이 농후하여 철저한 국익 최선의 위기관리가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