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4-21 17:35
[사진] 대한광복군 2지대 KIA II 대원들의 사진 (1940년)
 글쓴이 : 노닉
조회 : 2,662  


KIA (Korea Independence Army) II : 대한광복군 2지대 대원들의 기념사진.  China. 1940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군으로서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重慶)에서 창설된  한국광복군의 영어 이니셜 K. I. A를 광복군이 집체 모양으로 보여주고 있다.

A photo from a photo book entitled “Korean Independence Army, the Root and Course” that was published and opened by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on December 21. The soldiers formed the acronym KIA of the army.

한국광복군 창설은 중국정부의 견제로 한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이를 설득, 극복하면서 중국군의 제도를 참조하여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조직조례’를 제정하고 총사령부에 비서처ㆍ참모처ㆍ부관처ㆍ정훈처ㆍ관리처 등 10개의 부서를 두었다.

광복군 창설 당시 총사령관 이청천, 참모장 이범석, 총무처장 최용덕, 참모처장 채원개, 부관처장 황학수, 경리처장 조경환, 정훈처장 안훈, 편련처장 송호성, 군의(위생)처장 유진동이었다.

임시정부는 1940년 11월 광복군총사령부를 전선 가까운 서안으로 옮기고 긴급하게 수행해야 할 과제로 지대(支隊)를 편성하였다. 근거지와 활동구역은 다음과 같다.

제1지대

 지대장 : 이준식

 간부 : 노태준ㆍ안춘생ㆍ노백선ㆍ조인제ㆍ이석화ㆍ김자동ㆍ이건우

 근거지 : 산동성 대동(大同)

제2지대

 지대장 : 공진원

 간부 : 나태섭ㆍ고시복ㆍ이달수ㆍ유해준

 근거지 : 완원성 포두(包頭)

활동구역 : 채합아성 및 하북성

 제3지대

 지대장 : 김학규

 간부 : 오광선ㆍ신송식ㆍ신규섭ㆍ김광산ㆍ오영희ㆍ이복영

 근거지 : 안휘성 부양

 활동구역 : 안휘성ㆍ강소성ㆍ산동성 일부

 제5지대 

 지대장 : 나월환

 간부 : 김동수ㆍ박기성ㆍ이하유ㆍ한유한ㆍ이해평ㆍ김부성ㆍ김용주

 근거지 : 섬서성ㆍ서안

 활동구역 : 섬서성ㆍ하남성ㆍ낙양ㆍ정주. 

일제가 1941년 12월 8일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공격하면서 미ㆍ일전쟁이 발발하자 임시정부는 12월 10일 ‘머일본(對日本) 선전포고’를 발표하고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를 광복군에 편입하는 등 전력을 대폭 강화하였다. 

임시정부는 광복군 총사령부 직제를 개정하여 김원봉을 광복군 부사령 겸 제1지대장에 임명함과 더불어 광복군 종래의 1ㆍ2ㆍ3ㆍ5지대를 모두 통합하여 광복군 제2지대로 개편하였다. 지대장에는 이범석이 임명되었다.

광복군은 태평양전쟁의 전세가 연합국측에 유리하게 전개되면서 대일전을 강화하고자 1942년 5월 다시 2개 지대로 확대 개편하고, 1945년 6월에는 초모병력이 많아지면서 제3지대를 신설하였다.

제1지대

 지대장 : 김원봉

 총무조장 : 이집중

 정훈조장 : 김인철

 제1구대장 : 김 준

 제2구대장 : 이소면

 제3구대장 : 박효삼

 제2지대

 지대장 : 이범석

 총무조장 : 김용의

 정훈조장 : 조경한

 제1구대장 : 안춘생

 제2구대장 : 노태준

 제3구대장 : 노복선

 제3지대 

 지대장 : 김학규

 부지대장 : 이복원

 구대장 : 박영준

 제1소대장 : 김문택

 제2소대장 : 송병하

 제3지대장 : 김재기. 

김준엽 일행이 이범석을 따라 서안에 왔을 때 제2지대의 직제와 진용은 약간 바뀌어 있었다.

지대장 : 이범석

 정훈조장 : 송면수

 총무조장 : 김용의

 제1구대장 : 안춘생

 분대장 : 김태산ㆍ이정식ㆍ오성행

 제2구대장 : 노태준

 분대장 : 이한영ㆍ최전ㆍ박영보

 제3지대장 : 노복선

 분대장 : 최명환ㆍ김희산ㆍ김문호

 광복군의 주력부대는 제1지대 일부가 연안으로 떠나가면서 당시 병력은 약 250명, 서안의 지대본부에 약 170명이 있었고 전방공작대로 파견된 사람이 약 80명이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흑수선 20-04-21 21:57
   
대한민국의 영웅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