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20-07-30 07:14
[전략] 핵융합발전 韓國이 주도.."ITER 부품의 70~80% 도맡아"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604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장치에 들어가는 주요부품과 장비의 70~80%를 한국이 도맡아 제작, 개발 






인류의 꿈인 핵융합 발전에서 

대한민국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기술을 선도해 나가는중... 






*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참여 7개 회원국 현황 

(대한민국, 미국, EU, 인도, 러시아, 중국, 일본)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07-30 07:14
   
내일을위해 20-07-30 07:22
   
도움안되는것들은  빼고가지  쩝
멍때린법사 20-07-30 08:04
   
다른 의미에선 한국이 주로 연구개발해서 남좋은 일들을 도맡아하는 중?
저들은 왜 주도적인 연구성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혹시 저넘들은 예산을 투입할 별생각이 없는 것은 아닐까.

어짜피 한국이 주도적으로 개발해도 본격적인 상업화때... 공동기술임. 한국만의 기술이 아니란 것.
실패하던 성공하던 한국이 돈 투자해서 개발하고 연구성과는 돈 좀 보태줄테니 같이 나눠 먹자는 프로젝트...?
주장은 아니고.. 그런 의심이 든단 이야기. 한국의 연구원들만 공밀레중....


지난 정권때 한국의 한미원전개발중 .. 한국이 주도적으로 수십조를 투자해서 연구해도
미국은 알맹이만 쏙 빼먹는 협상을 진행한 경우도 있었음... 미국이 지난 세월 엄청난 예산을
투자해서 연구하고도 실패한 방식을 허용해주는 조건이 한국이 얼마를 들여서 개발했건 그 성과를
미국에게 싸그리 갖다 받힌다는 협상..

암튼 .. 핵융합기술이 장기적으로 진행되서 그렇지.. 해외에선 별다른 성과가 안나오냐 놓고 볼때..
 연구성과 빼먹기2 같다란 느낌. 마치 한미핵협상 수준은 아닐지라도 .. 뭔가 의심을 한번 정도는..
     
스카이넷 20-07-30 08:20
   
남좋은일 해주는거 안좋죠.
ITER와는 별개로 우리나라 개별로  K-STAR 프로젝트 진행중입니다.
          
케이비 20-07-30 09:27
   
KStar프로젝트가 더 진보된 한국형 핵융합발전이 되길...
     
크레모아 20-07-30 09:36
   
중국이 ITER(국제핵융합실험로)에 참여 하면서
한국의 선진적인 기술들을 카피하여
중국에 자체적인 핵융합실험로에서 응용하여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함.
ITER을 통해서 합리적으로 기술들을 막 가져다 쓰고 있어서
우리는 진짜 남 좋은 일 시켜 주는 것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듬.
     
sasimigosu 20-07-30 09:45
   
제가 알기론 공동기술이 아니라 각자 맡은 분야에 대해선 지분이 더 많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니까 돈만 많이 내고 참여한 나라라고 그냥 기술꿀꺽한다는게 아닌거죠.. 대신 나중에 핵융합기술이 지금의 원전처럼 현실화되고 상용화 되면 저기 참여한 나라에서 건설할땐 약간의 혜택은 주겠죠..
     
방탕중년단 20-07-30 09:59
   
꼭 그렇지도 않다고 봐요.
우리나라가 현재로 선두에 선 것은 플라즈마를 용기에 가두는 기술이 뛰어난 거지만..
그 이상을 넘어갔을때 생길수 있는 상황을 아직 예측하기 어렵기때문에
우리나라가 아닌 프랑스에서 대신 실험해 보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폭발이나 미지의 물질의 생성및 누출로 인한 2차 3차 피해를 이땅에서
발생 시키지 않고 데이타를 얻을수도 있다는 측면도 있죠.
물론 토카막에 대한 정보도 그렇게 쉽게 넘기지는 않을겁니다.
cjfekdrks 20-07-30 08:10
   
일본은 빼라
태강즉절 20-07-30 08:58
   
뭐 일단 공밀레는 아니죠..어거지로 밀어 넣었기보단...그들이 물 만난 고기처럼 신나서들 들어갔으니여..
퇴직을 눈앞에 뒀던 양반들도 졸지에..연장되어..좋아라 그곳으로 갔으니여..황혼을 불태우듯..ㅎ

"그 사람은 죄가 없어도 갖고있는 보물이 죄다"라고...떼거지 하이에나 약탈자들이 강변하는 명분입네다.
만약 어느 일방이 인류사를 뒤집을만한 지식과 기술을 독점한다면..
잘해... 왕따 당하거니...못해..엉뚱한 누명이나 쓰고 집단 린치로 뒈집니다..ㅎ
나쁘게 말해..끝발 쥑이지 못하는자의 숙명이거나..
좋게말해..홍익인간 이념으로다...좋은건 두루두루 공유해야죠..빨대 크기좀 자체 조절하면서..
지식?..그것도 힘이 막강해야 온전하게 독점적으로다 본인 소유가 되는겁네다..그게 냉혹한 현실인거죠.
     
케이비 20-07-30 09:30
   
노병은 죽지 않는다는데 퇴직 엔지니어들도 소중한 자원인데
나라와 기업에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 같아요.
          
태강즉절 20-07-30 09:51
   
저정도에 연관되는 노병은 퇴직해도  업계든 학계든 ..고위직으로 각계에 스카웃됩니다.
진짜로 그분야 세계적(?)전문가거든요..말만이 아닌...실무에서도..
솔까 걱정할 필요가 전혀없는^^
하다못해 연금이고 나발이고...쯩만 대여해도 죽을때까지 걱정없습네다..ㅋㅋ
어찌보면 젊어 놀지도 못하고 죽어라 공부만해댄 그 애잖함의 보상이라고나 할까요?..ㅎㅎ
둥둥이네 20-07-30 09:04
   
우리는 원래 진행하던 ITER 프로젝트에 K_STAR 성과가 상당하자 초청되어 회원자격 얻은거 아닌가요
대부분의 자본은 전에있던 기존 회원국이 대고 우리는 기술력으로 참가했을겁니다.
KSTAR 성과가 좋지만 아무래도 대형으로 추진하는 ITER를 공동으로 개발경험을 얻는것이 우리나라로서는
더 좋겠죠.
성공한다면 핵융합로 거의 대부분을 우리 기술력으로 한국에 바로 지을수 있을겁니다.
     
sasimigosu 20-07-30 09:57
   
우리 K_STAR 성공도 중요하지만 저 ITER 프로젝트가 더 중요한 이유는 만약 저 ITER 프로젝트가성공하게되면 저게 그대로 국제 표준이 되거든요.. 그럼 앞으로 지어질 핵융합로는 대부분 저걸 표준으로 제작하게 될겁니다. 그래서 기술력하나로 참가하게된게 더 의미가 큰거같아요. 만약 미래에 각 나라마다 저런 핵융합로를 건설하게 되었을때 기술력을 인정받고 국제표준이되는 우리나라가 주도적으로 건설하면 거기서부터 나오는 라이센스비는 어마어마할겁니다.
     
방탕중년단 20-07-30 10:01
   
글쵸, 우리가 뒤늦게 핵융합에 뛰어 들려고 했을때 못들어오게 했었죠.
누구때문인지는 최근의 일련의 일들을 보면 딱 한 나라가 보이긴 합니다만..
어찌됐던 우리로서는 참여하고 싶어도 할수가 없어서 단독으로 K-STAR를 시작했고
ITER보다 기술이 앞서가자 ITER로 초대된 거죠.
     
반메흠 20-07-30 10:49
   
맞습니다. KSTAR로 실력증명을 했기때문에 제조파트를 맡게 된거죠.
그래서 다른 참여국들은 돈을 내가면서 참여하지만
우린 참여하면서 낸 돈 이상을 벌어가고 있습니다.
ITER에 필요한 부품과 조립장비를 설계하고 제작할 역량이 있는 나라가 우리밖에 없죠.
하나하나가 거대한 부품들이면서도 동시에 매우 정밀해야 하기 때문에
건설과 조선업 모두에서 최고를 달리는 우리가 맡게된거죠
우리가 일방적으로 퍼주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ITER가 성공하면 저게 국제 표준이 되지요.
그렇게 되면 핵융합로 건설에 필요한 부품과 장비를 제조부터 설계까지 모두 해본 한국이
세계 곳곳에서 핵융합로 건설수주를 하게 되는겁니다.
푸르뎅뎅이 20-07-30 10:03
   
일본과 중국은 제외했으면 하는데, 쩝.
그래자나 20-07-30 11:23
   
아직도 무지 개발해야 분야입니다 한국 혼자서 투자 연구 개발 못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