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5-10-21 17:28
[잡담] KFX만큼이나 깝깝한게 한국형 발사체
 글쓴이 : 자바커피
조회 : 2,577  

일단 만들려는건 75톤급 로켓기술 완성. 
이걸로 우선 날리려는건 4개 묶어서(클러스터링) 300톤급 1단 출력
이거 성공하면 9개 클러스터링 
이거 성공하면 양옆에 9개짜리 놓고 3X9=27 27개 묶은 로켓 

뭐 여기까진 이해 합니다.  러시아 소유즈로켓은 4개 짜리를 5개로 묶어서 로켓이 20개죠. 
스페이스 X도 이렇게 하고 있고요. 

그리고 최종적으로 9개찌리 9개를 엮어 로켓 81짜리를 만들려고 계획중입니다.   
고체로켓 부스터 없이 오로지 액체로켓으로만. 
왜냐하면 한미 미사일 지침에 한국은 군사용은 물론이고 민간용까지도 몇파운드더라?? 
암튼 지금 일본이 쏘아 올리는 우주로켓에 달리는 고체부스터의 1/10 수준의 것만 만들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로켓만 81개를 엮는 엽기적인 수준까지 클러스터링 하겠다는 계획이 만들어집니다. 


정말 골고루 발목잡은 한미미사일지침


다운로드.jpg

맨 왼쪾꺼를 3개 엮어 만든다고 보심 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레스신 15-10-21 18:32
   
그래도 해법은 있으니 다행이네요... 저렇게라도 만들고 기술있다고 보여줘야...
나중에 미사일지침 개정할때 목소리 낼 수 있을거 같네요..
     
대장장이 15-10-21 19:04
   
저게 한개짜리보다 더 까다롭습니다...
저 엔진 하나하나 추력을 조절해야하고...
미국의 세턴로켓이 대단한게 1단로켓의 엔진이 5개죠...
2단도 5개....
로켓의 엔진이라는 것이 저렇게 여러개를 뭉쳐서 쏘면 되는 간단한 물건이 아닙니다..
     
자바커피 15-10-21 19:13
   
저걸 해법이라고 할수 있을까요?  중출력엔진 81개를 엮는걸...
          
늘봄 15-10-21 19:21
   
그럼 손놓고  가만이 있을까요?  뭐라도  할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 해서 조금씩이라도 기술 축적을 해야죠...
               
자바커피 15-10-21 19:35
   
엔진출력을 높여가야죠.  엔진수 늘어날수록, 부품수 늘어날수록 문제발생 요인이 증가하는거니깐요.
                    
늘봄 15-10-21 19:57
   
그걸 몰라서  안할까요?  저래  시작할수 밖에 없으니....일단  시작하는거잔아요.
                         
자바커피 15-10-21 20:22
   
눼 저도 27개까진 이해 해요.  중출력으로 클러스터링 하는데 거기까진 어느정도 가능하다고 증명이 되었으니깐요.

그런데 81개는 아무리 기술력축척을 한다고 해도 위험성이 너무 높다는거죠.

81개의 로켓이 초고열,고진동,초고압상에서 모두 이상없이 작동한다는게 쉽지 않을거라 보는거죠.

애초에 로켓도 원청설계를 우리가 한것도 아니고 원형엔진 가져와 리버스엔지니어링으로 카피한 엔진인데.
                         
늘봄 15-10-21 20:40
   
그럼 현재 27개는  안되고....81개는  위험성이 크고...결국은  아무것도 하지 말고  손놓고 있어야 하나요?  말은 쉽죠....요즘 문제가 많은 한국형전투기 사업...님 말대로라면  뭐가 문제인가요?  4대 핵심기술  만들면  되지...그게 쉽지가 않으니  할수 있는거 부터  해 나가야 된다는  말이죠..그래야  뭐라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죠..
                         
자바커피 15-10-21 21:14
   
아뇨.

현재 1개도 연소실험중이지 안정성 확인된 완제품 완료도 못했습니다.

우려의 근거는 구소련의 예에서 잘 보여줬듯 클러스터링 기술이 안정화라는게 오랜시간 엄청난 숫자의 로켓을 날려 먹으며 얻은 기술이란데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한계점에 이르렀다고  한게 지금의 소유즈구요.  그냥 믿도 끝도 없이 된다 안된다가 아니라 소련과 러시아의 예를 보고 하는 이야기 입니다.

물론 위험을 감수할 예산만 넉넉하다면 말리지 않습니다.  근데 말로만 창조경제에 우주발사체 운운하던 곳에서 예산을 늘리기는 커녕 줄이는거 봐선 그닥 믿음이 안가서요.
     
우주인간 15-11-13 03:01
   
제일 큰 문제는 효율성과 기계적 신뢰성입니다.
로켓의 특성상 무게와 추력이 가장 중요한데, 여러 저출력 엔진 묶음보다 소수의 고출력 엔진이 더 효율적이고, 이는 같은 연료량으로 더 많은 페이로드를 올릴 수 있게 합니다.
기계적 신뢰성은 말 그대로 저 엔진들 중 하나라도 꺼지면 헬게이트 오픈 열리는데, 나로호도 2번이나 고장났는데, 저 엔진 다발들이 모두 다 정상적으로 작동할까요?
노닉 15-10-21 19:11
   
최소한 일본 수준까지만이라도 개정했으면....
일본은 되는데 왜 한국만 규제하는건지?
진격 15-10-21 19:36
   
박대통령이 이번에 미국가서 우주항공분야 협력하자구 오바마한테 말했잖아요
오바마는 생각해본다고 했지만 <<청화대는 성과라고 포장해서 발표했죠
생각해본다는게 ....
     
자바커피 15-10-21 19:50
   
이미 예약 잡혀 있는게 있어요.

작년인가에 한창 우리가 달탐사 운운하던것 있었죠.

그거 달탐사 우리 로켓으로 가는게 아니라 미국꺼에 자리남아서 당시 NASA와 협력중이던 항우연에게 탐사장비 넣어 줄수 있다고 제안한게 저렇게 된겁니다.

애초에 박근혜대통령이 공약으로 걸었던 2020 달탐사운운은 애초에 예산도 없었어요.
그러던 차에 NASA에서 탐사선 보내는데 낄꺼냐고 항우연에 제안한걸 저렇게 써먹는거죠.
도나201 15-10-21 19:59
   
한미미사일협정에서 민간분야에 한정해서.. 어느정도 플어준것으로 아는데...
     
자바커피 15-10-21 21:19
   
민간분야가 풀렸으면 로켓이 저런모양이 되지 않겠죠.
archwave 15-10-22 00:01
   
이걸 왜 남 탓 하는지 모르겠네요.

우주 발사체 용도의 액체로켓은 대형화하는데 제약 받는 것이 없는 것으로 아는데요.

그냥 우리가 대형 발사체 만들 기술이 아직 없어서, 작은거 여럿 묶어서 쓴다는거죠.
     
자바커피 15-10-22 00:12
   
한미미사일지침에 의해 미국이라는 남에 의해서

쉽게 추력을 올릴수 있는 로켓부스터에 제한을 받고 있으니깐요.

지금 액체로켓 기술과 이미 확보중인 고체모터기술을 결합시기면 더 쉽게 추력을 올릴수 있는데 못하니깐요.

한미 미사일지침 떄문에 절름발이가 되야 하니깐요.
          
archwave 15-10-22 01:37
   
50 년전 새턴 로켓도 액체 로켓이었습니다. 고체 로켓 부스터 같은 것은 없었죠.

소유즈 올리는 것도 액체 로켓 only.

우주왕복선 같은 무시무시한 페이로드 올릴때나 고체 로켓 부스터를 액체 연료 로켓과 함께 썼습니다.

무슨 우주 왕복선 스케일하는 것도 아니면서, 고체 로켓 쓰는 것을 미국이 막는다고 하는 것은 핑계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로켓 여러개 묶는 것은 각 로켓을 아주 정밀하게 콘트롤해야 하는데, 이런 콘트롤을 위해서는 액체 로켓이 훨씬 유리합니다.

고체 로켓 부스터까지 끼워서 클러스터링하겠다는 것은 걷지도 못 하면서 날겠다고 하는 꼴.

우주 발사체를 위해 고체 로켓 어쩌고는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archwave 15-10-22 02:04
   
고체 연료 로켓은 추력 조절이 거의 안 된다고 보는 편이 편한 물건입니다.

단지 추력 대비 무게/부피를 액체 연료 로켓에 비해 좀 줄일 수 있다는 것만 장점이죠.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할 경우에도 추력의 상당수는 액체 연료 로켓에 의해 얻어져야 합니다.

고체 로켓 부스터는 추력 미세 조절이고 뭐고 그냥 무조건 힘만 내다시피 하고, 정밀한 자세 제어는 액체 연료 로켓에 의해 이뤄져야 하죠. 따라서 액체 연료 로켓의 추력이 고체 로켓 부스터 이상으로 강해야먄 의미있습니다.

양쪽에 달린 고체 로켓 부스터의 출력이 불균일해도 그걸 액체 로켓쪽에서 보상해줘야 하는거고, 그럴려면 기본적으로 액체 연료 로켓에도 강력한 추력이 요구되는거죠.

하여튼 액체 연료 로켓만으로도 클러스터링하든 뭘 하든 우주 발사체 올릴 정도는 만들어놔야 명함이라도 내미는겁니다. 그거까진 해야 고체 로켓 부스터를 누구 때문에 못 한다 소리할 자격이라도 있는거죠.

참고로 북한이 인공위성(?) 쏜 것도 액체 연료입니다. 북한도 하는 것을 한국이 왜 못 하나요 ? 미국이 막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ㅣㅏㅏ 15-10-22 11:30
   
우리가 액체연료로켓 기술이 없어서 그럽니다. 고체연료로켓 기술은 예전부터 축적된 기술이 있기 때문에 더 쉽게 개발이 가능한데 미사일 협정때문에 개발할 수가 없어서 액체로켓을 개발하는거죠. 근데 액체로켓은 기술이 없으니 헤매고 있는 겁니다.
우리 미사일들 보면 자세제어 편향추력 미세제어 가능한 기술이 있는데 대용량의 액체로켓은 이제 시작이니 당연히 힘들 수 밖에 없죠.
          
archwave 15-10-22 12:08
   
위성 발사를 고체 연료 로켓으로 하는 국가는 없으며, 고체 연료 로켓으로 위성 발사는 말도 안 되는 얘기입니다. 미사일하고는 전혀 다른 얘기입니다.

미사일 협정 때문에 개발할 수 없었다는 것은 완전히 번지수 어긋난 핑계.

액체 연료 로켓 개발은 미국이 막지도 않았고, 그냥 우리가 우주 발사체 쪽으로 기술이 없는 것 뿐이죠.

기술 안 주니까 미국 책임이다 식의 말은 설마 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