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 게시판
 
작성일 : 19-03-12 12:35
[뉴스] 보잉737 맥스8 추락은 설계오류로 추정
 글쓴이 : TTTTTTT
조회 : 2,396  

https://www.bnnbloomberg.ca/boeing-drops-as-it-struggles-to-contain-crisis-from-second-737-max-crash-1.1226818

The flight-control software is activated without pilot input when a sensor measuring the angle a plane’s nose is flying relative to the wind indicates the aircraft may be approaching a mid-flight stall.

But the software only operates when a plane is being flown manually with its flaps retracted, according to a Nov. 10 memo provided to Southwest Airlines pilots following the Lion Air crash. Flaps are typically extended to provide lift as airplanes climb after takeoff.

Boeing responded to the earlier crash by advising pilots that the Max’s so-called angle-of-attack sensor can provide false readings, causing the plane’s computers to erroneously detect a stall.

That in turn can prompt the aircraft to dive for as long as 10 seconds to regain the speed the computer thinks is needed to keep flying. Pilots could counteract the sudden downward tilt by flipping two switches and manually holding the aircraft stable, the planemaker said.

==============================================

이거 보잉737 맥스8 추락이 설계오류로 추정되네요.

보잉737 맥스8/9/10 시리즈는 짧은 랜딩기어 때문에 대형엔진을 달기 위해 엔진 마운팅 포지션이 이전 737보다 올라갔다가 합니다. 그래서 엔진이 주익에 가깝기 때문에 풀쓰로틀 시에 추가 양력으로 기체가 앞으로 뜨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합니다.(코안다 Effect. C-17이 단거리 이착륙에 사용하는 효과) 이렇게 조종사가 모르게 기수가 올라가면 STALL될수가 있는 데 여기에 대한 대처가 컴퓨터가 자동으로 기수를 낮춰 10초동안 다이브하는 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보잉이 이런 기능을 매뉴얼에 제대로 언급을 안했고, 대부분의 조종사들이 이걸 모른다고 합니다. 이륙후 상승중에 갑자기 기체가 스스로 하강하려고 하자 라이언에어와 이디오피아항공 조종사들은 조종간을 당기게 되고 그러면 컴퓨터는 또 다이브를 하고, 이렇게 조종사와 컴퓨터가 싸우다가 추락한다고 합니다. 아까 BBC방송 듣다가 American Airline의 맥스8 조종사가 이런 기능이 있다는 소릴 못들었다고 노조가 맥스 시리즈 운행중단을 주장했는데 경영진은 씹었다는 군요.

맥스8/9/10 타실일이 있으신 분들은 가급적 피하길 바랍니다. 

https://airlinesfleet.com/wp-content/uploads/2018/06/American-Airlines-Boeing-737-Max-8-Engines-Photos.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케이비 19-03-12 12:37
   
ㄷㄷㄷ...이제 항공권 발권할 때 비행기 기종도 확인해야 하겠네요..
     
TTTTTTT 19-03-12 12:40
   
ㄴ 기존 737은 괞찮습니다. 737 맥스 시리즈만 이런다고 합니다.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9031202007

지난해 11월 29일 탑승자 189명 전원이 사망한 인도네시아 저비용 항공 라이언에어 사고기도 이번 사고기와 같은 기종인데, ‘MCAS’ 오작동이 라이언에어 사고 원인으로 꼽혔기 때문이다.

당시 인도네시아 교통안전위원회가 조사해 공개한 비행 기록에 따르면, 라이언에어 사고기는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사가 새로 장착한 ‘MCAS’이 오작동해 추락 전 11분 동안 30차례나 자동으로 기수를 낮췄다. ‘MCAS’는 항공기가 너무 천천히 혹은 가파르게 비행해 속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을 때 자동으로 기수를 낮춰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다.
회색돌 19-03-12 12:47
   
그렇게 물고빨던 보잉님이 이래서 가슴 아프시겠군요.
로레얄 19-03-12 12:58
   
보잉도 많이 부패했구만, 비행기 역사와 경륜이 얼만데 저따구 사고가 발생하나
     
TTTTTTT 19-03-12 13:17
   
ㄴ 랜딩기어를 늘리자니 돈많이 들어가니까 소프트웨어로 기체가 앞으로 뜨는 현상을 해결하려다 실패한 케이스이지요.
          
토미 19-03-12 13:27
   
랜딩기어를 단순히 늘리는게 그냥 늘리면 되는게 아니지요.
늘어난만큼 랜딩기어 수납공간도 늘어나야하고 그게 단순 개조수준이 아니지요.
               
TTTTTTT 19-03-12 13:40
   
ㄴ 그래서 돈많이 들어간다고 한겁니다.
세트 19-03-12 13:42
   
보잉 btx도 저런 꼴 나길 ㅋ
Alice 19-03-12 13:52
   
에어버스 얼굴관리 잘 해야 할듯.ㅋㅋ
     
루크007 19-03-12 15:16
   
에어버스:  ^--------------^
     
자파리 19-03-12 16:02
   
에어버스 : d ^_.._^ b
자파리 19-03-12 16:06
   
근데 저런 내용을 아는 조종사들은 별 무리 없이 조종한다는 얘긴가요? 그러면 다행입니다만....
     
TTTTTTT 19-03-12 16:23
   
ㄴ 플랩을 올리면 시스템 작동이 해제된다고 합니다.
새끼사자 19-03-12 17:33
   
보잉은 가끔 보면 GM보는 듯 함...너무 이익에만 집중된 듯 한 ....기업운영방침...
더글라스가 돈아끼려고 하다 사고치고 망한 거 따라가지는 말길....그 회사 보잉이 샀는데 그런 과거까지 가져올 필요는 없잖아...쩝...문짝하나 고치는데 돈 쓰기 싫다고 비행기 몇대 사고낸 거...그거로 망한게 더글라스인데...
그 DNA 가져오지 말라고...
강산 19-03-12 17:51
   
TTTTTTT 님~, 글로 내가 이해하기로는.

보잉이 신형엔진이 커서, 지면과 좀 거리를 두기 위해 엔진을 날개 앞으로 조금 당겨 설치했고.
결과적으로 날개밑쪽으로 빠른 공기흐름이 너무 많아서, 양력이 아니라 승강타를 올리는 효과를 내어서.
양력이 충분하지 않는데 비행기 앞쪽이 올라가기에, 보잉이 프로그램MCAS 으로 엘리베이터를 내리도록 했는데...

자..이륙시에.플랩내리고, 최대 출력으로 v2지나 이륙했는데.
MCAS프로그램이 개입해서 기수를 내렸고.
조종사는 왜 이렇지? 하면서, 조종간을 당겨서, 고도가 위, 아래로 요동치다가.
기체가 이상하다고 판단하고, 관제탑으로 회항하겠다고 보고하고. 이후 급강하로 추락.

라이언에어 사고후에 보잉은 bulletin에 mcas끄고 운항하라고 올렸다는데.
이번사고 블랙박스회수되었다고 하니까. mcas작동여부가 궁금하네요.
archwave 19-03-13 01:12
   
왠 일로 TTTT 님이 보잉을 다 깐다냐 ? 이번엔 내가 보잉 쉴드 쳐주게 생겼구만..

이건 설계오류보다 매뉴얼 작성의 문제가 더 커보이네요.

저 메커니즘을 조종사에게 충분히 알려주고, 비행 매뉴얼을 작성했다면 사고까진 안 날 수도 있어보이니까요.